Socio-Economic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Aged

노인의 건강과 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분석

  • 김숙희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강혜경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주현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0.01.01

Abstract

Various kinds of living circumstances are making population structure of Korean changed. That is, number of the children is decreased and that of the aged is increased. It is predicted that population of the children and the aged will be almost same until 2020. With above, as the expectation of the aged on healthy living might be increased, some special programs for the aged will be needed strongly. At this point, Korean aged population might be economically poor, comparing with other generation. In general, economic factor affects the subjective living-satisfaction and health status of them. Moreover, educational status, household shape and family tieing also affect their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foreign articles, health status of the aged might be related to income, educational status, job, employed or/not, marital status, family structure, sex, and childhood condition. decrease of the income or unemployment could make the death rate of the aged higher. During childhood, discordance among the family might affect their health status after. IGUR is also important factor to affect the adulthood health. Positive life style of the aged would lessen their unequality of the health among them. Nutritional status of the Korean aged population might be indicated under the nutritional recommendation. It is affected by their income, education level, social class, and residing place. (Korean J Nutrition 33(1) : 86-101, 2000)

노화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이 죽음을 향해서 변화해가는 과정을 포괄적으로 말한 것으로 사람들은 위의 과정을 일생이라 정의하는데, 이를 세분하여 성장, 성숙 또는 유지, 노화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러한 입장에서 보면 노화는 초기 성장단계로부터 연계되고 또한 노화이전의 결과가 노화로 나타난다고 말 할 수 있다. 올해는 유엔이 정한 노인의 해이다. 과학의 발전과 경제적 조건의 향상으로 전세계적으로 인간의 평균 수명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이로써 65세 이후의 노인의 비율이 각 나라마다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노인들의 건강한 노후를 위해 다각적인 배려가 모색되어야 한다. 이런 입장에서 노인의 건강과 영양섭취 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경제적 요인을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한국의 경우, 65세 이상의 노인의 비율이 1997년 현재 전 인구의 6.3%로 다른 OECD국가에 비해 노인인구의 비율은 낮지만 평균 수명의 증가로 점차 그 비율이 높아지고 있어 프랑스, 스웨덴과 같이 노인 인구가 10%를 넘는 고령화 국가에는 아직 못 미치지만 점차로 그에 접근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추세라면 2020년경에는 노인 인구가 아동인구를 앞설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여러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한국의 노인들은 경제적으로 궁핍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런 경제적인 조건이 노인들의 주관적인 생활 만족도와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교육 정도가 높을수록, 가족간의 결속력이 클수록 노인들이 느끼는 주관적 건강 상태가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수입, 교육, 직업, 고용상태, 결혼상태, 가족구성원, 성, 어린시절의 조건 등이 노인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수입의 감소는 노인의 사망률을 증가시키며 결혼 한 경우는 결혼하지 않은 경우보다 사망률이 낮았다. 고용상태와 직업의 경우도 사망률에 영향을 주는데, 고용된 사람의 경우 비고용된 사람의 경우 보다 사망률이 낮았으며 비전문직 종사자보다 전문직 종사자의 사망률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어린 시절의 조건은 노인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건강에 대한 관심도에 의해 중재될 수 있는데, 노인의 어린 시절에 발생한 가족간의 불화는 건강에 대한 관심도를 낮추어 그후 노인기 건강에 영향을 준다고 한다. IUGR은 신생아의 크기와 모양의 차이를 가져오며 성인기의 상이한 질병을 유발시키므로 태아기의 성장 손상은 성인의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생활방식은 사회경제적 차에 의한 건강 불평등을 야기시키는 한편, 생활방식의 차는 사회경제적 차에 따른 건강 불평등을 다소 완화시킬 수 있다. 생활방식이 양호한 경우 노인의 자가건강 만족도는 증가된다고 한다. 그러나 생활방식에 의한 영향은 사회경제적 요인에 비해 그 영향이 적다고 한다. 한국노인의 영양섭취상태는 권장량에 비해 부족하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수입, 교육, 계층의식 등의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라 영양섭취량과 식습관, 우울도 등이 영향을 받는다. 또 도시거주노인에 비해 농촌거주노인이, 재가노인에 비해 시설노인의 영양상태가 부족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거주상태에 따라 노인의 건강과 영양상태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결론적으로 노인들과 연관된 사회경제적 요인은 노인의 건강과 영양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노인들이 영향을 받고 있는 사회경제적 요인의 복합적인 분석을 통하여 노인의 건강과 영양상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FAO Constitution on the Health FAO
  2. 1998 Yearbook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Department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3. OECD Public Health Statistics OECD
  4.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Statistic Office
  5. The changing and regional difference of aging of population in Korea Seung TW
  6. 1993 Yearbook of Death Cause Statistics Statistic Office
  7. Analysis on living subsidy recipients Department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8. The Study on health and medical using pattern of the aged in urban poor areas Kim BJ
  9. 1998 Living situation and welfare expectation of the aged though the country Korean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Society
  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ealth care program of the aged Lee JY
  11.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aged by family type Lee JW
  12. A study on the health needs of the aged in the urban area Lee SH
  13. A study on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in rural area of Korea Shin EY
  14. The effects of personnal characteristics and metamemory on the old adult's memory performance Min HS
  15. Analysis on living situation of the aged and its policy-making Lee GO
  16. Social statistics Statistic Office
  17. A study on depression of the aged living in a home for the aged Jeon TH
  18.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v.87 no.3 Social Class, Health and aging: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Self-reported Morbidity Among the Non-institutionalized Elderly in Canada Cairney J;Arnold R
  19.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85 no.7 US Mortality by Economic,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The national Longitudinal Mortality Study Sorlie PD;Backlund E;Keller JB
  20. The Lancet v.350 no.16 Working EU Mackenbach J;Kunst AE;Cavelaars ARJM;Groenhof F;Geurts JJM
  21.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v.50 Total and occupationally active life expectancies in relation to social class and marital status in men classified as healthy at 20 in Finland Kaprio J;Seppo S;Fogelholm M;Koskenvuo M
  22. BMJ v.311 no.2 Social class, health behaviour, and mortality among men and women in eastern Finland Pekkanen J;Tuomileehto J;Uutela A;Vatiainen E;Nissinen A
  23. Soc Sci Med v.40 no.5 Male and female Health Problems in General Practice: The differential Impact of Social Position and Roles Cecile MT;Wijk GV;Kolk AM;Wil JHM;Bosch VD;Henk JM;Hoogen VD
  24. Soc Sci Med v.44 no.6 Health Inequalities in Later Life in a Social Democratic Welfare State Dahl E;Birkelund GE
  25. Soc Sci Med v.44 no.6 Childhood Conditions, Sense of Coherence, Social Class and Acult III Health: Exploring Their Theoretical and Empirical Relations Lundberg O
  26.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52 no.S1 Fetal growth and adult disease DA Leon
  27. Dental Health v.14 Life circumstances, lifestyles and oral health among older Canadians Community Locker D;Jokovic A;Payne B
  28. Korean J Dietary Culture v.13 no.3 A study on the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Condition of Elderly in Ulsan area Jeong MS;Kim HK
  29. Korean J Nutr v.31 no.9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Dietary Pattern in Korean Elderly Women Kim JH;Kang SA;Ahn HS;Jung IK;Lee LH
  30. Korean J Nutrition v.30 no.8 Effect of age-related changes in taste perception on dietary intake in Korean Elderly Kim WY;Won HS;Kim KO
  31. Korean J Nutr v.31 no.9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Dietary Pattern in Korean Elderly Women Kim JH;Kang SA;Ahn HS;Jung IK;Lee LH
  32. J Korean Soc Food Sci Nutr v.25 no.6 A Study on meal management and nutrient intake of the elderly Hong SM;Choi SY
  33. Korean J Dietary Culture v.13 no.3 A study on the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Condition of Elderly in Ulsan area Jeong MS;Kim HK
  34. J Korean Soc Food Sci Nutr v.28 no.1 A Study on Dietary Status of Elderly Koreans with Ages Chang HS;Kim MR
  35. Korean J Nutrition v.31 no.7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us and immunocompetence of elderly women in urban and rural area Lee JH;Kim HS
  36. Korean J Dietary Culture v.12 no.3 Management of food Service and Health Care in Long-Term Care in Korea -Food Service and Health Care- Kim WY;Yang EJ;Won HS
  37. Korean J Dietary Culture v.13 no.5 The study of food habit and degree of depression in nursing home and private home living elderly Han MJ;Koo SJ;Lee YS
  38. Korean J Nutrition v.28 no.11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Female Elderly Residents in Nursing Home - I. Nutritional and Biochemical Health Status- Song YS;Chung HK;Cho MS
  39. Korean J Nutrition v.28 no.11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Female Elderly Residents in Nursing Home Song YS;Chung HK;Cho 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