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odle- Making Properties of Domestic Wheats Cultivars

국내산 밀의 제면 적성에 관한 연구

  • 남재경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한영숙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현영희 (수원여자대학 식품과학부) ;
  • 오지영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Seven domestic wheat cultivars, Suwon 261, Suwon 265, Eunpa, Kobun, Alchan, Olgru, and Kumgang, and a standard wheat, ASW(Australian Standard White Wheat), were compared in noodle-making properties. The ash contents of domestic wheats and flours were 0.1-0.3% higher than that of ASW. Therefore, domestic wheats required the control of ash contents during milling process. The protein contents which suggest the flour gluten content were 10.32, 11.3, and 9.57% in Suwon 261, Suwon 265, and Kumgang cultivars, respectively. Valorimeter values of Eunpa, Olgru, and Kumgang which indicate the dough formation time and stability were similar to that of ASW. Resistance rate of domestic wheats was lower than that of ASW. Maximum viscosity in Amylograph for Eunpa, Olgru, and Kumgang were in the range of 500-800BU, which were suitable for making noodles. Increase in weight and volume of Olgru noodl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tein content. Turbidity was not positively correlated with weight and volume increase, but domestic cultivars except Suwon 265 and Eunpa showed a similar turbidity with ASW.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wet and dry noodles were evaluated by TPA test before and after cooking.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of wet noodles increased by cooking, and the domestic cultivars showed higher values than ASW.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of dry noodle were not increased by cooking in any cultivars. Gumminess, chewiness and hardness of domestic wheat cultivars showed higher values than that of ASW. In the tensile test, wet noodle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domestic cultivars and ASW. But dry noodles of domestic wheat cultivars showed higher values than ASW. In the color test for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flour and dough of domestic wheat cultivars and ASW. In the sensory evaluation, Kumgang wheat cultivar was the most preferred among the wet and dry noodles of other domestic wheat cultivars and ASW. These results suggested Kumgang wheat cultivar to be a practical wheat variety for noodle-making.

국내산 밀로 수원 261, 수원 265, 은파, 고분, 알찬, 올그루, 금강밀 및 표준밀 ASW(Australian Standard White Wheat)의 제면 적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국내산 밀의 원맥과 밀가루의 회분함량은 표준밀 ASW보다 0.1-0.3%정도 높게 나와 제분시 회분의 조절이 더 요구되었다. 단백질 함량은 밀가루의 가공공정을 좌우하는 것으로 국내산 밀 품종 중 수원 261, 수원 265, 금강밀이 각각 10.32, 11.3, 9.57%로 제면용으로 적합하였다. Farinograph의 valorimeter value(v.v.)는 은파, 올그루, 금강밀이 각각 68, 67, 61 v.v.로 표준밀인 ASW의 70v.v.와 비슷한 값을 나타내어 중력분에 속함을 알 수 있었다. Extensograph의 형상계수가 적을수록 박력분인데, 본 결과에서는 국내산 밀의 형상계수가 표준밀 보다 낮게 나타났다. 전분의 호화특성을 측정하는 amylograph에서 최고점도가 500-800 BU가 제면용으로 적합한데 국내산 밀 중 은파밀, 올그루밀, 금강밀이 이에 속하였다. 국내산 밀과 표준밀의 건면, 습면의 조리특성은 무게증가, 부피증가, 탁도로 나타내었는데 단백질 함량이 낮아 수분 침투가 많았던 올그루밀의 무게 , 부피증가가 높았다. 탁도는 무게, 부피의 증가와 비례하는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수원 265밀과 은파밀을 제외한 국내산 밀 품종은 표준밀 ASW와 비슷한 값을 보였다. 국수의 기계적 조직감을 습면, 건면으로 제조한 후 조리 전, 후로 나누어 TPA test를 측정하였다. 습면의 경우 조리에 의해 탄력성과 응집성을 증가시키며 국내산 밀이 표준밀 ASW보다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건면의 경우 탄력성, 응집성은 조리 전, 후 품질간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고 검성, 씹힘성, 견고성의 경우 전반적으로 국내산 밀 품종이 표준밀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인장력의 경우 습면은 시료간 차이가 없었으나 건면의 경우 국내산 밀이 표준밀보다 높은 인장력을 보였고, 표준밀은 습면의 인장력과 비슷한 값을 보였으나, 국내산 밀의 경우는 습면과 비교시 2-3g force전도 인장력이 상승되었다. 국내산 밀 품종과 표준밀 ASW의 색도는 밀가루와 반죽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표준밀이 적색도가 낮았고, 습면의 경우 밀가루보다 백색도와 적색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건면의 경우도 시료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표준밀 ASW가 국내산 밀보다 역시 적색도가 낮았으며 습면과 비교시 백색도는 비슷하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되었다. 관능검사 항목은 습면과 건면으로 나누어 측정하였으며 습면, 건면 모두에서 금강밀이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금강밀이 제면용으로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