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roductive Ecology and Early Life History of Paradise Fish, Macropodus chinensis (Pisces; Belontidae) in Aquarium

버들붕어, Macropodus chinensis의 생식생태와 초기생활사

  • Song, Ho-Bok (Department of Bi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Choi, Shin-Sok (Department of Bi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송호복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최신석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2000.09.30

Abstract

The reproductive ecology and the early life history of Macropodus chinensis were investigated in aquarium. Mature male made the bubble nest and spawned with wrapping the female and reverse posture. The parental male protected the offspring until the larvae depart the bubble nest. Egg productivity and egg hatching rate were the highest at water temperature in $28^{\circ}C$ and $26^{\circ}C$ respectivity than any other artificial temperature. The eggs were buoyant, globular and 0.95${\sim}$1.05 mm in diameter. Cleavage was progressed at intervals of 15 minutes. Eggs hatched in 42${\sim}$44hours after fertilization and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3.0${\sim}$3.2 mm in total length. The lawae were 4.5${\sim}$5.4 mm in 4${\sim}$5 days after hatching and fed on the food with dispersion from the nest. In 40${\sim}$45 days after hatching, all fin rays completely developed, and juveniles reached 18.2${\sim}$23.5 mm in total length. In 90${\sim}$110 days after hatching, body from of young fishes were similar to adult with 37.4${\sim}$48.2 mm and represented secondary sexual characters longer than 45.0 mm in total length, and about 120 days, fishes began spawning(water temperature for ontogenesis: $26.0{\pm} 1^{\circ}C$).

버들붕어, M. chinensis를 실험실에서 사육하면서, 생식생태와 초기생활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적으로 성숙한 수컷은 수표면에 기포소를 만들고 세력권을 형성하였으며, 암컷을 기포소 밑으로 유인한 후, 180$^{\circ}$ 회전한 자세로 산란과 방정을 하였다. 산란 행동은 1${\sim}$3시간 동안 계속되었으며, 수컷은 산란직 후부터 자어가 기포소를 벗어날 때까지 보호행동을 하였다. 다양한 수온 조건 중, 28$^{\circ}C$에서 산란 횟수와 산란수가 가장 많았으며, 난의 부화율은 26$^{\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난은 투명하고 부성이었으며, 물 흡수 후 난의 크기는 0.95${\sim}$1.05 mm, 난황은 0.75${\sim}$0.80mm였다. 수온 26.0${\pm}$1$^{\circ}C$에서 난할은 약 15분 간격으로 진행되었으며, 42${\sim}$44시간만에 부화되었다 (전장 3.0${\sim}$3.2 mm). 부화 후 4${\sim}$5일 (전장 4.5${\sim}$5.4 mm)부터 먹이를 섭취하고 기포소 밖으로 흩어져 독립생활을 시작하였으며, 약 40${\sim}$45일 (전장 18.2${\sim}$23.5 mm)에는 치어기에 달하였다. 부화 후 90~110일에는 전장이 37.4${\sim}$48.2mm로 체형이 성어와 같아지고, 45.0 mm 이상의 개체들은 이차성징이 나타나 성구별이 가능하였으며, 전장 50.0 mm 전, 후에 달하는 약 120일 이후에는 산란에 이르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