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f Depression and Relates in Rural Elderly

농촌지역 노인의 우울수준과 관련요인

  • Sohn, Seok-Joon (Department Preventive Medicine,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and The Research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Shin, Jun-Ho (Department Preventive Medicine,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and The Research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Shin, Hee-Young (Department Preventive Medicine,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and The Research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ung, Eun-Kyung (Department Preventive Medicine,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and The Research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Bum, Min-Sun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weon, Sun-Seo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eo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손석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전남대학교 의과학연구소) ;
  • 신준호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전남대학교 의과학연구소) ;
  • 신희영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전남대학교 의과학연구소) ;
  • 정은경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전남대학교 의과학연구소) ;
  • 범민선 (전남의대 의학과) ;
  • 권순석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The questionnaire survey using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CES-D)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related factors in the rural elderly. The subjects were 922 individuals of 60 years of age and over, living in Chonnam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prevalence rates of depression were 14.6% in male and 24.4%, in female. As the age increased, the prevalence rate increased and the rate was higher in non-educational and widowhood group. The prevalence rate was lower in the group of having good health habits and having a good health status. In the regression analysis,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depression were sex, education, physical activity, perceived health status and body image. In conclusion, main, characteristics which had close relationship to depression in the rural elderly were physical function and self-rated health status.

농촌지역 60세 이상 노인 922명을 대상으로 CES-D(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s)를 이용하여 우울증의 유병률을 구하고 우울증과 관련이 있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60세이상 노인의 우울증 유병률은 남자 14.6%, 여자 24.4%로 전체적으로 20.5%로 나타났다. 2.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우울증 유병률은 증가하였으며 무학군과 배우자가 없는 군에서 우울증 유병률이 높았다. 3. 생활습관별로는 과거 및 현재 음주 또는 흡연군과 수면시간이 짧은 군, 신체적 운동을 안하는 군에서 우울증 유병률이 높았다. 4. 만성질환을 가진군과 자신의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응답한 군, 마른 체형에서 우울증 유병률이 높았다. 5.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성별, 교육정도, 신체적 운동, 건강인지도, 현재의 체형에 대한 인식이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노인들의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인구사회학적, 신체적 요인임을 알 수 있어 향후 노인정신건강과 복지대책을 수립할 때 이러한 요인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전남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