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Health Effects of Pesticide Exposure among Farmers

농약살포 농민의 농약노출로 인한 건강피해에 관한 연구

  • Lee, Kyoung-Mu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Min, Sun-You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ung, Moon-H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경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민선영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 정문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Published : 2000.12.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basic data about the health effects of pesticide exposure among farmers for agricultural health study. We analyzed 412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the male farmers who spray pesticides in Kyoung-ju area, Korea. Survey questions were about chronic symptoms, acute symptoms while pesticide spraying, pesticide intoxication accident, safety rules, protective equipments etc. Th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pesticide exposure and the factors in acute pesticide poisoning and chronic symptoms of farmers were also analyzed. For chronic symptoms, the prevalence of 'tiredness and languor', 'lumbago', 'nocturia', 'shoulder pain', 'numbness', and, for acute symptoms while pesticide spraying, the experience rate of 'itching sense of skin', 'dizziness/headache', 'fatigue', 'eye glaring' were high compared with other symptoms. For 'experience of intoxication accident by pesticide in family', 7.1% of the subjects experienced the accident and the causes were pesticide spraying, food contamination by pesticide, suicide etc. Among safety rules, 'take a bath after spraying', 'change clothes after spraying' were kept relatively well, and, for protective equipments, hat, boots, mask, gloves, protective clothes(lower) were put on relatively well. The factors associated with acute pesticide poisoning were the extent of keeping safety rules, spraying time, orchard cultivation, agricultural area and spraying days per year etc.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hronic symptoms were acute symptoms while pesticide spraying, agricultural area, farming career, extent of keeping safety rules, extent of agricultural work and the pesticide exposure index etc.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o reduce the health effects by pesticide exposure among farmers, the education to promote to keep safety rules and wear protective equipments, and information services should be recommended. And further studies on the long term health effects of pesticide exposure among farmers are required.

본 연구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농약살포를 대부분 담당하는 남성 농민들에 대하여, 농부증을 포함한 만성증상과 농약살포시의 이상증상경험, 이상증상 경험시 살포한 농약, 농약살포시의 안전수칙 준수, 보호구의 착용실태, 가족 중 농약으로 인한 사고경험을 조사하고, 농약노출과 연관된 변수들간의 연관성, 급성중독경험 및 만성증상과 관련된 요인을 고찰하였다. 만성증상으로는 '몸이 나른하고 힘이 없다', '허리가 아프다'. '밤중에 소변을 보기 위해 깬다' 등의 증상이 많았으며, 농약살포 시의 임상증상 경험율은 '피부발진/가려움증', '어지러움/두통'의 경우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조사 대상자의 7.1%가 가족중 농약으로 인한 사고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중 농약살포시 중독, 안전사고 및 자살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농약살포 시의 준수사항 중, '뿌린 후 목욕을 한다'와 '뿌린 후 바로 옷을 갈아입는다' 등의 경우가 준수율이 높았으나, '보호구를 잘 세탁해서 보관한다', '뿌린 후 용변을 볼 경우 손을 씻는다', '한낮에는 뿌리지 않는다' 등의 경우는 낮은 준수율을 보였다. 농약살포시 보호구는 '물에 타서 살포할 경우', '입제를 살포할 경우'에 비해 보호구를 더 잘 착용하였으며, 착용율은 모자, 장화, 마스크, 장갑, 방제복 하의의 순이었다. 농약살포시 이상증상경험과 관련된 요인은 농약살포시 준수사항 준수, 살포시간, 과수재배, 경작면적, 연간 농약살포일 등이었으며, 농민의 만성증상과 관련된 관련된 요인은 농약살포시 이상증상 경험, 경작면적, 농사경력, 농약살포시 준수사항 준수, 전업여부, 농약에 대한 노출 등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농약살포시 준수사항의 준수율과 보호구 착용율을 높이며 농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체제적인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농약에 대한 노출이 농민의 만성증상의 한 원인이라는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우나, 원인적 연관성일 가능성을 배재할 수는 없을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농약노출을 정확히 산출하고, 좀더 명확한 건강영향의 생물학적 지표(biological marker)를 측정하여 이들의 연관성을 고찰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