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mical Proper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Bamboos(Phyllostuhys sp.)

대나무 열수추출물의 화학적 특성

  • 김낙구 (경남농업기술원 식품환경과) ;
  • 조숙현 (경남농업기술원 식품환경과) ;
  • 이상대 (경남농업기술원 식품환경과) ;
  • 류재산 (경남농업기술원 식품환경과) ;
  • 심기환 (경상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Chemical composition of the water extract of three different kinds of bamboos was investigated to access nutritive sources. Bamboo stalks and leaves were extracted massively and concentrated to 3°Brix, and crude protein and fat contents of the extracts were respectively 0.56∼0.69% and 0.28∼0.58%. Main mineral contents of the extracts were K, P and Mg in order, and those were the highest in Wangdae stalks. In free sugar analysis of the extracts, Maengjongjuk stalks contained 1.1% sucrose, Somdae stalks contained 0.51% fructose and Wangdae stalks contained 0.6% glucose as the highest level. Organic acid contents of the extracts showed high level in acetic and malic acid which were 54.0 and 44.2mg% in extracts of Wangdae stalks respectively. Among amino acids, aspartic acid was contained the highest level in stalk extracts, and their concentrations were 42.2, 39.9 and 34.6mg% in Wangdae, Somdae and Maengjongjuk respectively. In leaf extracts, glutamic acid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the other amino acids, and those were 19.3, 18.5 and 15.7mg% in Maengjongjuk, Wangdae and Somdae, respectively.

대나무 줄기 및 잎의 열수추출물의 영양학적 가치를 검토코자 화학성분을 분석하였다. 대나무 줄기와 잎 추출물의 고형분은 줄기가 3.0-3.5%, 잎이 2.6-2.9%로 줄기에서 더 높은 함량을 보였고, 조단백질은 0.56-0.69% 범위로 왕대의 줄기와 잎 추출물에서 모두 0.69%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조지방은 0.28-0.58% 범위였는데, 솜대의 밀이 0.58%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무기성분의 함량은 K, P, Mg 순으로 높았으며 K와 P의 함량은 왕대의 줄기 추출물이 각각 658.7, 94.0mg%로 가장 높았는데, 특히 K의 함량은 모든 죽종의 줄기 추출물에 잎 추출물에 비해 현저히 높은 함량을 보였다. Mg은 맹종국줄기 21.2mg%, 솜대줄기 13.5 mg%, 왕대줄기 13.3mg%이고, 맹종죽잎 25.3mg%, 솜댓잎 23.0mg%, 왕댓잎 35.0mg%로 해당 죽종의 줄기 추출물이 잎 추출물에 비해 낮은 함량을 보였다. 추출물의 유리당 함량은 sucrose가 맹종죽줄기에서 1.1%, fructose는 솜대줄기에서 0.51%, glucose는 왕대줄기에서 0.6%의 함량으로 가장높았는데 전체적으로 줄기 추출물이 밀 추출물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추출물들의 유기산 함량은 malic acid 및 acetic acid가 높게 나타났으며, 왕대 줄기에서 magic acid 44.2m7% 및 acetic acid 54.0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아미노산 함량은 줄기 추출물에서는 aspartic acid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는데, 왕대 42.2mg%, 솜대 39.9mg%, 맹종죽 34.6mg% 순이었다. 잎 추출물에서는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맹종죽 19.3mg%, 왕대 18.5mg%, 솜대 15.7mg% 순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