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Phyllostachys sp.) Extracts

대나무 추출물의 기능성 및 항균활성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Yields of bamboo extracts were 1.0∼1.5% in stalks and 3.1∼3.2% (w/w) in leaves.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extracts from stalks was 62% in Maengjongjuk, 55% in Somdae and 52% in Wangdae, while that of leaf extracts showed very low level. On the contrary, nitrite-scavenging activity was higher in leaf extracts than stalk extracts, and the activity was 63, 57 and 55% in leaf extracts of Maengjongjuk, Wangdae and Somdae, respectively. Antimicrobial activity was examined against 7 major strains which cause food poisoning, and extracts of bamboo stalks showed somewhat activity, while leaf extracts showed merely or no activity according to strains. But all extracts showed relatively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and extracts of Somdae stalks and Maengjongjuk leaves showed antimicrobial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ose strains on 100${\mu}\ell$/disc concentrate.

대나무의 추출물을 3$^{\circ}$Brix로 조정하였을 때 추출수율은 줄기가 1.0~1.5%였고, 잎은 3.1~3.2%로 잎의 추출수율이 줄기에 비해 높았다. 전자공여작용은 대조구인 죽력이 86%, BHT 93%, BHA 95%였고 줄기 추출물에서는 맹종죽 62%, 솜대 55%, 왕대 52%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잎 추출물에서는 미약하거나 나타나지 않았다. 아질산염소거능은 잎 추출물이 줄기 추출물에 비해 높게 나타내었는데, 맹종죽 63%, 왕대 57%, 솜대 55%의 순이었고, 줄기 추출물은 솜대와 왕대가 모두 10%를 나타내었으나, 맹종죽에서는 그 기능이 나타나지 않았다. 추출물의 항균환성은 주요 식중독균 중 그램 양성균 3종과 음성균 4종으로 시험하였는데, 전 죽종의 줄기 추출물은 각 균주에 대해 항균력을 보였으나, 잎 추출물은 줄기 추출물에 비해 약한 항균성을 보이거나 균주에 따라서는 전혀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균주중 Stapfylococcus aureus와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 모든 추출물이 비교적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솜대줄기와 맹종죽잎의 추출물의 경우 이들 균주에 대해 100${\mu}\ell$/disc 이상의 농도에서 항균력이 인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