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ion of Desirable Species and Estimation of Composition Ratio in a Natural Deciduous Forest

천연활엽수림(天然闊葉樹林)의 경영대상(經營對象) 수종(樹種) 선정(選定) 및 구성비율(構成比率) 추정(推定)

  • Yang, Hee Moon (Department of Forest Management,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ang, Sung Kee (Department of Forest Management,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Ji Hong (Division of Forest Management,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양희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삼림경영학과) ;
  • 강성기 (강원대학교 대학원 삼림경영학과) ;
  • 김지홍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산림자원학부)
  • Received : 2001.05.09
  • Accepted : 2001.06.11
  • Published : 2001.09.30

Abstract

Based on the community structural attributes, such as species composition, diameter and height distribution, topographic position, and species diversity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Mt. Gari area, this study suggested desirable species and composition ratio to achieve ecological management of forests so as to maintain forest stability and enhance economical valu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wenty-five tree species were growing in the study forest. Of these Quercus mongolica, Pinus densiflora, Juglans mandshurica, Quercus serrata, Cornus controversa, Acer mono, Fraxinus rhynchophylla, and Tilia mandshurica were selected for desirable species through the evaluation of dominant and dominant potential. Kalopanax pictus, considered to be highly valuable species, was also included. 2. Taking account of different species composition pattern by topographic positions, we select as desirable species of J. mandshurica, C. controversa, Q. mongolica, A. mono, T. mandshurica, and F. rhynchophylla in the valley area, Q. mongolica, Q. serrata, A. mono, T. mandshurica, F. rhynchophylla, and K. pictus in the mid-slope area, and Q. mongolica, P. densiflora, Q. serrata, and Fraxinus rhynchophylla in the ridge area. 3. Based on the estimation of species diversity index for the overstory components, the reasonable forest stability levels of the indices were estimated at 1.96, 1.68, 1.94, and 1.27 for whole forest, valley, midslope, and ridge, respectively. 4. The recommended species composition ratios in the study forest were suggested Q. mongolica to be 30%, A. mono, F. rhynchophylla, Q. serrata, and T. mandshurica to be 10%~15%, J. mandshurica, P. densiflora, and C. controversa to be 5%~10%, and K. pictus to be 5%.

가리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산림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경제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경영대상 수종 선정과 구성비율 추정을 위해 수종구성, 직경급과 수고급별 개체수 분포, 지형적 위치, 종다양성 등 군집 구조적 속성을 기초로 하여 우점수종과 우점 가능 수종을 파악하고, 산림의 적정 안정수준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 산림에는 총 25개 교목수종이 생육하고 있으나, 우점성 또는 우점 가능성이 높게 평가된 신갈나무, 소나무, 가래나무, 졸참나무, 층층나무, 고로쇠나무, 물푸레나무, 찰피나무와 이용적 가치가 높은 음나무 등 9개 수종이 경영대상 수종으로 선정되었다. 2. 연구대상 산림을 지형적 위치에 따라 구분하고, 경영대상 수종을 고찰한 결과, 계곡지역은 가래나무, 층층나무, 신갈나무, 고로쇠나무, 찰피나무, 물푸레나무, 산복지역은 신갈나무, 졸참나무, 고로쇠나무, 찰피나무, 물푸레나무, 음나무, 그리고 능선지역은 신갈나무, 소나무, 졸참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경영대상 수종으로 선정되었다. 3. 연구대상 산림 전체, 계곡, 산복, 능선지역 상층에서는 각각 1.96, 1.68, 1.93, 1.27 이상의 종다양성 수준을 유지해야 현재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4. 산림의 안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신갈나무는 30%, 고로쇠나무, 물푸레나무, 졸참나무, 찰피나무는 10%~15%, 가래나무, 소나무, 층층나무는 5%~10%, 음나무는 5% 가량 유지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