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flora of Pig Manure due to composting with some Bulking Agents

보조재료별 돈분 퇴비화 과정중 이화학적 특성과 미생물상 변화

  • Lee, Jong-Tae (Gyongnam Agricu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Nam, Yeun-Gyu (Chungnam Agricu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Lee, Jin-Il (Chungnam Agricu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Published : 2001.04.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during composting process when pig manure was composted with some bulking agents(Saw dust, Rice hull, Crushed wood). The pig manure consisted of 2.95% total nitrogen, 4.55% $P_2O_5$, 2.07% $K_2O$, 81.2% organic matter and 14.0 C/N, dry base. The inorganic content of bulking agents were similar one another, and C/N ratio was Saw dust 392. Rice hull 91.5, Crushed wood 266. The temperature of Saw dust composting slowly increased at initial stage, whereas one of Rice hull and Crushed wood rapidly increased and stabilized similarly to outdoor temperature after about 2 month. The pH of compost increased during initial 1 month after decreasing, but thereafter decreased rapidly. The C/N ratio rapidly decreased at initial stage, and it slowly decreased after 1 month. Total nitrogen somewhat increased according to composting process. Ammonium-nitrogen increased until 60th day, and thereafter it was rapidly inclined to decrease. The population of aerobic bacteria, Bacillus spp., actinomycetes and fungi increased up to > $10^{10}cfu\;g^{-1}$ fresh weight, > $10^7$, > $10^8$ and > $10^6$, respectively in Rice hull and Crushed wood composting, and more than ones in Saw dust composting, and specially actinomycetes. The persuasive Bacillus spp. isolated from composting process were B. lentimorbus, B. licheniformis, B. pumilus, B. megaterium, etc.

돈분과 보조재료로 톱밥, 왕겨 및 파쇄목을 이용한 퇴비화 실험을 수행하여 퇴비화 과정중 이화학적 특성과 미생물상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재료로 사용한 돈분의 구성성분은 총질소 2.95%, 인산 2.07%, 칼리 2.07%, 유기물 81.2%, C/N율은 14였다. 보조재료의 무기성분은 모두 유사하였고, C/N율은 톱밥 392, 왕겨 91.5, 파쇄목 266이었다. 톱밥 혼합구의 초기온도는 점차적으로 상승한 반면 왕겨와 파쇄목 혼합구는 초기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부숙 2개월 후부터 대기온도와 유사하게 안정화 되었다. pH는 초기 1개월 간은 다소 감소하였다가 증가하였고 그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C/N율은 초기 1개월 동안 급격히 감소하다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안정화 되었다. 총질소는 퇴비화가 진행됨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암모니아태 질소는 60일 까지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미생물상은 퇴비화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90일째 조사결과 왕겨와 파쇄목 혼합구는 호기성 세균, 포자생성 세균, 방선균 및 사상균이 각각 $10^{10}cfu\;g^{-1}$(생체중), $10^7$, $10^8$, $10^6$이상이었고 톱밥 혼합구는 사상균을 제외하고 모든 미생물수가 왕겨와 파쇄목 혼합구보다 적었다. 퇴비화 과정중에 채취한 시료로부터 Bacillus속 균을 분리 동정한 결과 B. lentimorbus, B. licheniformis, B. pumilus, B. megaterium 등이 주로 검출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