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mation and Evolution of the Paleo-Seomjin River Incised-Valley System, Southern Coast of Korea: 1. Sequence Stratigraphy of Late Quaternary Sediments in Yosu Strait

한반도 남해안 고섬진강 절개곡 시스템의 형성과 진화: 1. 여수해협의 후기 제 4기층에 대한 순차층서

  • Chun, Seung-Soo (Faculty of Earth Systems & Environmental Sciences, Basic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ang, Jin-Ho (Department of Marine Resources, Mokpo National University)
  • 전승수 (전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지구환경과학부) ;
  • 장진호 (목포대학교 해양자원학과)
  • Published : 2001.08.31

Abstract

Detailed interpretation of some high-resolution seismic profiles in Yosu Strait reveals that Late Quaternary deposits consist of three allostratigraphic units (UH, LH, PL) formed by fluvial and tidal controls. The top mud unit, UH, thins onshore, and overlies the backstepping modem Seomjin delta deposits, which is interpreted as a transgressive systems tract (757) related to Holocene relative sea-level rise. The unit LH below the unit UH is composed of delta, valley- and basin-fill facies. The delta facies (Unit $LH_1$) occurs only in Gwangyang Bay and shows two prograding sets retrogradationaly stacked, thus it is also interpreted as a transgressive systems tract(757). On the contrary, the valley- and basin-fill facies (Unit $LH_2$), interpreted as 757, occur between the units UH and PL (Pleistocene deposits) in Yosu Strait. The bounding surface between UH and $LH_2$ can be interpreted as a tidal ravinement surface on the basis of trends thinning toward inner bay and becoming young landward. Furthermore its geomorphological pattern is similar to that of recent tidal channels. This allostratigraphy in'ffsu Strait suggests that two 757 deposits (UH and $LH_2$), divided by tidal ravinement surface, have been formed in Yosu Strait, whereas in Gwangyang Bay backstepping delta deposits ($LH_1$) without tidal ravinement surface have been formed during Holocene sea-level rise. These characteristics indicate that different stacking patterns could be formed in these two areas according to different increasing rate of accommodation space caused by different geomorphology, sediment supply and tidal-current patterns even in the same period of Holocene sea-level rise.

한반도 남해안의 여수해협에서 지역적으로 대비가 가능한 3 개의 단위층(UH, LH, PL)이 탄성파(3.5 kHz) 자료의 분석을 통해 세분되었다. 단위층 UH는 최상부에 위치하는 펄층으로서 북쪽으로 가면서 얇아지면서 본 해역의 북부(광양만 입구)에 이르러 삼각주에 얹히는 특징을 보여 현세의 해수면 상승과 관련된 해침체계역 (transgressive systems tract)으로 해석된다. 그 하부의 단위층 LH는 본 해역의 북부에서 후퇴경향을 보이는 삼각주 퇴적체($LH_1$)로서 해저면에 노출되는 반면, 본 해역의 중${\cdot}$남부(여수해협)에서 하곡, 계곡, 소분지 등을 충진한 해침퇴적체($LH_2$)로서 UH층과 PL층(플라이스토세 퇴적층)사이에 놓이는 특징을 보인다. 그리고 단위층 UH와 $LH_2$의 경계면은 북쪽으로 가면서 점차 얕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그것의 지형도는 현재 발달되어 있는 조류로의 모습과 매우 유사하여 북쪽(육지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젊어지는 조석침식면(tidal ravinement surface)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마지막 빙하최성기(last glacial maximum) 이후의 범세계적 해수면 상승(eustatic sea-level rise)은 본 해역의 중${\cdot}$남부를 침수시켜 조석침식면에 의해 두 층(UH와 $LH_2$)으로 세분되는 해침체계역을 형성시킨 반면, 본 해역의 북부에서는 조석침식면이 없이 두 개의 후퇴형 삼각주 로브로 구성된 독특한 해침체계역 ($LH_1$)을 형성시킨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동일한 해수면 상승시기에도 불구하고 지역에 따라 퇴적층의 누적양상(stacking pattern)이 달라지는 이유는 지형, 퇴적물 공급, 조류 등의 지역간 차이 때문이며, 특히 본 해역의 북부에서 해수면 상승과 더불어 조석침식면이 발달하지 못한 까닭은 비교적 넓고 반폐쇄적인 분지형 지형과 섬진강으로부터 많은 퇴적물 공급, 그리고 비교적 약한 조류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섬진강 조사보고서 건설부
  2. 연안해역 기본조사 보고서 국립지리원
  3.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한국 서해 천수만 사장포 해안의 조간대층의 퇴적환경과 진화 감여상
  4. 한국지구과학회지 v.19 한국 남서해안 함평만 조간대의 퇴적작용과 형성과정 김여상;장진호
  5. 한국해양학회지 v.19 광양만의 퇴적환경에 관한 연구 박용안;이창복;최진혁
  6. 한국지구과학회지 v.17 광양만 및 여수해만 퇴적환경 변화-퇴적물 특성과 점토광물을 중심으로 이연규;황진영;정규귀;최정민
  7. 한국해양학회지-바다 v.1 한국 서해안 곰소만 조간대의 제4기 층서와 해수면 변화 장진호;박용안;한상준
  8. 한국해양학회지-바다 v.5 광양만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함량 및 분포 조영길;이창복;고철환
  9. 광양만 수리모형실험 및 조사보고서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10. 여수도폭(1:25,000) 한국자원연구소
  11. 해저유물 잔존구역의 생화학적,지질학적 특성 해군사관학교
  12. Estuar. Coast. Shelf Sci. v.52 Tidal-flat sequence controlled by Holocene sea-level rise in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Chang, J.H.;J.Y. Choi
  13. Nature v.342 A 17,000-year glcio-eustatic sea-level record: influence of glacial melting melting rates on the younger Drays event and deep-ocean circulation Fairbanks, R.G.
  14. Mar. Geol. v.48 Gamagyang Bay, southen coast of Korea: sedimentation on a tide-dominated rocky embayment Kang, H.J.;S.K. Chough
  15. Geo-Mar. Lett. v.20 Late Quaternary sedimentation in the Kadeok region Lee, C.S.;Y.H. Chung
  16. Geo-Mar. Lett. v.15 Acoutic characters and distribution pattern of modern fine-grained deposits in a tide-dominated coastal bay:Jinhae Bay, southeast Korea Park, S.C.;K.W. Lee;Y.I. Song
  17. Mar. Geol. v.98 Shallow seismic stratigraphy and distribution pattern of late Quaternary sediments in a macrotidal bay:Gunhung Bay, west coast of Korea Park, S.C.;Y.S. Kim;S.K. Hong
  18. Science v.265 Worldwide initiation of Holocene marine deltas by deceleration of sea-level rese Stanley, D.J.;A.G. Warne
  19. Mar. Geol. v.125 A global sea-level curve for the late Quaternary:the impossible dreams? Stanley, D.J.
  20. Spec. Publs. Int. Ass. Sediment. v.18 The effects of rate of base-level fluctuation on coastal-plain, shelf and slope depositional systems: an experimental approach. In: Sequence stratigraphy and facies associations Wood, L.J.;F.G. Ethridge;S.A. Schumm;Posamentier, H.W.(ed.);C.P. Summerhayes(ed.);B.U. Haq(ed.);G.P. Alle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