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nimation Materials for a Unit related to

중학교 화학전지에 관련된 동영상교수 자료의 개발 및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2.10.2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effects of an animation materials developed with the macroscopic particle moving sight. The 11 animation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showed the movements of molecules, ions, and electrons. The materials were developed for teachers to use when they taught "electrochemical cell' unit. The subjects were 151 students of 9th grade who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nd were taught during 16 hours. In order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udent before the instructions, a short-version GALT(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and the pretest of conceptions were carried out. After the instructions, students tested 3 types of exam; the posttest of conceptions, attitude test connected with science, cognition test. After 4 months later, students tested the posttest of conceptions agin for long-term memory effec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the developed animation material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conceptual understanding than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also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the long-term memory test and attitude test than control group. The results mean that animation materials which shows the macroscopic particle movement help stu-dents to understand scientific concepts and to elevate interests.

이 연구의 목적은 눈에 보이지 않는 미시세계의 현상을 눈으로 볼수 있도록 애니메이션 자료를 개발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개발한 11개의 애니메이션 자료는 분자, 이온, 전자 등 입자 수준의 미시세계를 동영상으로 나타내었으며 교사가 ''전기화학''단원을 가르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3학년 151명이었으며,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애니메이션 자료를 이용한 수업과 전통적 수업을 16차시 동안 실시하였다. 처치 전에 학습자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논리적 사고력 검사와 사전 개념 검사를 실시하였고 처치 후에는 사후 개념 검사, 과학에 관련된 태도 검사, 수업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4개월 후에 파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 개념 검사를 다시 한번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애니메이션 자료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한 실험 집단이 개념 이해 검사에서 통제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파지 검사와 태도 검사에서도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는 눈으로 볼 수 없는 미시세계에서 입자의 움직임을 보여준 수업 자료가 학생들의 개념이해와 학습 흥미도 증진에 효과적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홍우 Bruner 교육의 과정; 배영사신서: 서울, 1987
  2. 노태희;전경문;김혜경 화학교육 1996, 23(1), 42
  3. 채종락,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7
  4. Anderson, C. W.; Berkheimer, G. D. Matter and Molecules; Teacher's Guide: Science Book; Institute for Research on Teaching; College of Educ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Occasional Paper No. 121-122, 1988.
  5. 백성혜 한국교원대 교원교육 1999, 15, 169
  6. 백성혜 교사가 주최가되는 한교현장 교실수업개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0, pp 191-213
  7. 백성혜 한국교원대 교원교육 1999, 15, 160
  8. 김수현, 청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9. 서정환,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10. 차정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8.
  11. 이동준, http://www.science.or.kr/lee/, 2000.
  12. 신철호,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13. 정영철,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14. 서정환,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15. 신철호,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16. 김시중;정완호;한복수;우종옥;이종면;임경배;정근화;민경덕;구창현;이광석;최돈형;김병국;이상진;박범익 중학교 과학 3;금성교과서(주); 서울, 1997
  17. 백성혜;김진규;남금표, http://cc.knue.ac.kr/~shpaik/, 2002
  18. 서형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19. 노태희;차정호;김찬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99, 19(1), 128
  20. 김수현, 청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21. 구자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5.
  22. Williamson, V. M.; Abraham, M. R. The effects of computer animation on the particulate mental models of college chemistry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995, 32(5), 521. https://doi.org/10.1002/tea.3660320508

Cited by

  1. 중학교에서 공-막대 모형을 이용한 수업의 효과 분석 vol.48, pp.1, 2002, https://doi.org/10.5012/jkcs.2004.48.1.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