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cancer Effect of Sorbus commixta Hedl Extracts

마가목의 항암활성탐색

  • Lee, Mi-Kyoung (Schoo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Hyeon-Yong (Schoo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Jin-Ha (Schoo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Oh, Jin-Seok (Dept. of Dairy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oi, Geun-Pyo (Dept. of Food & Life Science, Gangwon Provincial University) ;
  • Kim, Jae-Heun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Jong-Dai (Schoo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이미경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 이현용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 이진하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 오진석 (강원대학교 낙농자원과학과) ;
  • 최근표 (강원도립대학 식품생명과학과) ;
  • 김재헌 (임업연구원) ;
  • 김종대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Published : 2002.12.31

Abstract

We prepared extracts from bark, leaf and fruit of Sorbus commixta Hedl using by water and ethanol. To test for mutagenicity and antimutagenicity on extracts, we used Rec assay and Ames test. The result of Rec assay, the extracts of the Sorbus commixta Hedl did not show a DNA-damage activity. The results of Ames test were provided that extracts of Sorbus commixta Hedl showed $43{\sim}73\;%$ antimutagenic activities. In the inhibition ratio of the growth of several human cancer cells (A549, HepG2, MCF7), 91% of MCF7 cell growth, 94% of A549 cell growth and 91% HepG2 cell growth were inhibited by adding 1mg/ml of fruit ethanol extracts, bark ethanol extracts and fruit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There was a little cytotoxicity on human normal hephatocyte (WRL68), extracts(1mg/ml) showed over the 70% survival.

마가목 잎, 수피, 열매 추출물의 Spore-rec assay와 Ames test에 의한 항돌연변이 활성탐색 결과, 추출물 모두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열매와 수피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MNNC에 대하여 높은 항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었다. 인간 암세포주를 이용한 항암효과 실험은 먼저 정상간세포인 WRL68에 대한 세포독성효과를 검토한 결과, 0.75mg/ml 이하의 농도에서 수피의 물 추출물을 제외하고는 모두 20% 이하의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어 추출물 자체의 세포 독성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간 폐암세포(A549), 유방암세포(MCF7), 간암세포(HepG2)에 대한 세포독성 결과, 수피의 에탄올 추출물이 폐암세포주인 A549에 대하여 1.0 mg/ml의 농도에서 94%의 가장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능을 나타내었으며, 0.75mg/ml 이상의 농도에서 65%이상의 생육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유방암세포주인 MCF7에 대하여서는 0.75mg/ml 이상의 농토에서 58%이상의 생육억제능을 나타내었으며, 열매의 에탄올 추출물이 1.0mg/ml의 농도에서 91%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간암세포주인 HepG2에 대하여서는 수피와 열매의 추출물들이 0.75mg/ml 이상의 농도에서 56%이상의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마가목 잎, 열매, 수피 추출물들은 시료자체의 독성은 낮은 반면 항돌연변이원성 및 암 세포주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이 높아 앞으로 이들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Borisov MI, Zhuravlev NS(1965) Flavonoids of the flowers of Sorbus aucuparia L. Fannatsevtychnyi Zhumal. 20(3) : 50-52
  2. Davli AI, Makarova GV(1967) Study of flavonoids of Sorbus pendula. Farrnatsevtychnyi Zhurnal 22(1) : 50-53
  3. Dool R, Peto R(1981) The causes of cancer: Quantitative estimates of avoidable risks of cancer in the Unitede States today. J. Natl. Cancer lnst. 66(6) : 1192 https://doi.org/10.1093/jnci/66.6.1192
  4. Doyle A, Griffiths JB, Newell DG(1993) Cell & Tissue culture: Laboratory procedures., Wiley
  5. Hirano K, Hagiwara T, Ohta Y, Masumoto H, Kada T(1982) Rec-assay with spores of Bacillus with and without metabolic activation. Mut. Res. 97: 339-347 https://doi.org/10.1016/0165-1161(82)90001-2
  6. Kada T, Moriya M, Shirasu Y(1974) Screening of pesticides for DNA interaction by rec-assay and mutagenesis testing, and framshift mutagens detected. Mut Res. 26 : 243-248 https://doi.org/10.1016/S0027-5107(74)80021-7
  7. Maron DM, Ames BN (1983) Revised methods for the Salmonella mutagenicity test. Mut. Res. 113 : 173 https://doi.org/10.1016/0165-1161(83)90010-9
  8. Micael CA, Domnic AS, Anne M(1988) Feasibility of drug screening with panels of human tumor cell lines using a microculture tetrazo1ium assay. Cancer Res. 48 : 589--601
  9. Moon SH, Kim JO, Rhee SH, Park KY, Kim KH, Rhew TH (1993) Antimutagenic effects and compounds identified from hexane fraction of persimmon leaves. J. Korean Soc. Food Nutr 22 : 334
  10. 김창은, 이승무, 조영일. 탁현기(1972)국산 건조마가목 열매로부터 Sorbic Acid의 분리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4(1) :1-5
  11. 박건영, 학종철, 유영법, 하정옥(1996) Artemisia속 식물들의 항돌연변이 효과 생약학회지 . 27(2) 96-100
  12. 박신영, 김진웅(1992)생약으로부터 항암성분의 검색 및 분리 (1)생약학회지. 23(4) 264-267
  13. 박동기, 임병우, 신흥묵(2000)황금, 정향, 화피 및 마가목으로부터 분리된 BuOH분획이 항체생산능, 지질 대사 및 지질 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동의병리학회 지. 14(1) : 171-182
  14. 박원봉, 함승시, 최근표, 이득식. 강신태(1998) 겨우살이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7(2) 359-365
  15. 함숭시, 박귀근, 박양호, 박원봉(1992) 컴프리 추출액에 의한항돌연변이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21(5) : 539-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