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ODE OF POLYMERIZATION OF LIGHT-CURED RESTORATIVE MATERIALS CURED WITH PLASMA ARC LIGHT CURING UNIT

Plasma arc light curing unit을 이용한 광중합형 수복재의 중합양상

  • Woo, Youn-S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Jeong, Tae-S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Sh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우연선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정태성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신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2.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distance of light tip to resin surfaces and exposure time on the polymerization of surface and 2 mm subsurface of composite resins cured with two light sources; conventional halogen light (XL 3000, 3M, U.S.A.) and plasma arc light (Flipo, LOKKI, France) and compare the uniformity of polymerization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of resin surfaces according to polymerization diameter cure with two light sources. From the experi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Difference of relative light intensity decrease in plasma arc light smaller than that of conventional halogen light(p<0.05). 2. In all groups, microhardness of top surfaces was decreased when distance of the light tip to resin surfaces is more than 2mm and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e of exposure time(p<0.05). 3. Difference of microhardness of the 2mm subsurface was rapidly decreased when distance of light tip to resin surfaces is more than 4mm(except, plasma arc light exposure time of 3 seconds). and the distance of light tip to resin surfaces and exposure time more affected 2mm subsurface rather than top surface(p<0.05). 4. Although exposure time was increased, difference of microhardness of the 2mm subsurface with the distance of light tip to resin surfaces was relatively high in groups between below 4mm and 6 mm(p<0.05). 5. Plasma arc light exposure time of 6 to 9 seconds produced microhardness values and microhardness change according to various distance similar to those produced with 40 to 80 second exposure to a conventional halogen light(p>0.05). 6. In all groups, microhardness was decreased gradually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of resin surfaces(p<0.05).

본 연구는 할로겐광과 비교하여, 고강도의 단축된 중합 시간을 장점으로 하는 플라즈마광의 효율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첫째, 중합 시간과 중합 거리에 따른 중합도의 변화를 검토, 광조사 시간을 증가시킬 경우 특정거리 이상에서도 수복물 하층까지 충분한 중합이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고, 둘째, 중합 반경에 따라 균일한 중합이 이루어지는지 보기 위해 광조사 부위의 중심부와 외측 변연부의 중합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2mm 두께의 복합레진 시편의 상 하면 미세경도 측정을 통해 중합도를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거리증가에 따른 상대광도의 감소는 할로겐광에 비해 플라즈마광에서 그 차이가 적었다(p<0.05). 2. 플라즈마광, 할로겐광 모두 상면의 미세경도는 중합거리 2mm 이상부터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중합시간의 증가에 따라 증가되었다(p<0.05). 3. 플라즈마광 3초를 제외하고, 하면의 미세경도 변화는 4mm 이상에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상면에 비해 중합시간과 거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p<0.05). 4. 플라즈마광, 할로겐광 모두 조사시간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4mm와 6mm 사이에서 하면의 미세 경도차는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p<0.05). 5. 플라즈마광을 $6{\sim}9$초 적용한 때와 할로겐광을 $40{\sim}80$초 적용한 때의 미세경도치 및 거리에 따른 경도 변화는 유사하였다(p>0.05). 6. 플라즈마광, 할로겐광 모두 레진 시편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미세경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