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sitivity Analysis and Estimation of the Depth of Investigation in Small-Loop EM Surveys

소형루프 전자탐사의 감도분석 및 가탐심도 추정

  • Song Yoonho (Geophysical Exploration and Mining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 ;
  • Chung Seung-Hwan (Geophysical Exploration and Mining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
  • 송윤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탐사개발연구부) ;
  • 정승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탐사개발연구부)
  • Published : 2002.11.01

Abstract

We have derived an analytical expression for the sensitivity of the frequency domain small-loop electromagnetic (EM) surveys over a two-layer earth in order to estimate the depth of investigation with an instrument having the source-receiver separation of about 2 m. We analyzed the sensitivities to the lower layer normalized by those to the upper half-space and estimated the depth of investigation from the sensitivity analyses and the mutual impedance ratio. The computational results showed that the in-phase components of the sensitivity to the lower layer dominates those to the upper layer when the thickness of the upper layer is less than 20 m, while the quadrature components are not sensitive to the lower layer over the entire frequency range. Hence we confirmed that the accurate measurement of the in-phase component is essential to increase the depth of investigation in the multi-frequency small-loop EM survey. When conductive basement of 10 ohm-m underlies the upper layer of 100 ohm-m, an accurate measurement of the in-phase components ensures the depth of the investigation more than 10 m even accounting a noise effect, from which we conclude that the small-loop EM survey is quite effective in imaging the conductive plume down to a considerable depth.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ce of the resistive basement of 1,000 ohm-m, the depth of investigation may not exceed 5 m considering the instrumental accuracy, which implies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mall-loop EM survey is not recommended over the resistive environment other than detecting the buried conductor.

소형루프 전자탐사의 가탐심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주파수영역에서 2층구조에 대한 감도를 해석적으로 유도하였다. 이를 기초로 송수신 간격 2m 내외의 다중주파수 전자탐사 기기의 감도를 분석하고, 반응의 크기를 기준으로 가탐심도를 추정하였다. 먼저 감도 계산 결과는 하부층에 대한 감도는 동상성분이 이상성분에 비해 매우 높고 상부층의 두께가 20m에 이르더라도 저주파수 대역에서는 상부층의 감도에 비해 절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나타낸 반면, 이상성분은 하부층에 대한 감도가 매우 약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다중 주파수를 이용한 소형루프 전자탐사에서는 동상성분의 정확한 측정이 가탐심도의 증대에 필수적임을 입증하였다. 전기비저항이 100ohm-m인 상부층 밑에 10ohm-m의 전기비저항을 갖는 하부층이 존재할 경우에는, 동상성분의 정확한 측정을 통하여 잡음 수준을 고려하더라도 10m까지의 가탐심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따라서 매립장의 침출수 분포 범위 영상화 등을 위해서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전기비저항이 1,000ohm-m로 높은 기반암이 존재할 경우에는 비록 하부층의 감도는 상부층에 비해 매우 높으나 반응의 절대값이 매우 미약하여 탐지가 어려우며 이상성분 자료와의 복합적인 해석을 통해서도 기기의 정확도를 고려할 때, 가탐심도가 5 m를 넘기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기비저항이 높은 지역에서는, 송수신 간격이 2m 내외로 짧은 다중주파수 소형루프 전자탐사법이 금속성 매설물의 탐지를 위해서는 유용하지만 기반암의 심도 규명에는 적절치 않다.

Keywords

References

  1. 설순지, 송윤호, 조성준, 손정술, 정승환, 2002, 소형루프 전자탐사법을 이용한 매설물 탐지 및 지하 전기비저항 영상화: 물리탐사, 5, 이번 호
  2. 송윤호, 박삼규, 설순지, 조성준, 정승환, 2001, 물리탐사를 이용한 국내 유류오염지역 조사 사례: 환경오염지역 평가를 위한 물리탐사 기술,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1 정기총회 및 제3회 특별 심포지움, 122-140
  3. Fullagar, P. K., and Oldenburg, D. W., 1984, Inversion of horizontal loop electromagnetic frequency sounding: Geophysics, 49, 150-164
  4. Kaufman, A. A., and Hoekstra, P., 2001, Electromagnetic soundings: Elsevier Science B.V.
  5. McGillivray, P. R., Oldenburg, D. W., Ellis, R. G., and Habashy,T. M., 1994, Calculation of sensitivities for the frequency-domain electromagnetic problem: Geophys. J. Int., 116, 1-4
  6. Sasaki, Y., 2001, Full 3-D inversion of electromagnetic data on PC: J. Appl. Geophys., 46, 45-54
  7. Song, Y., Kim, J.H., and Chung, S.H., 2001, An efficient 2.5-D inversion of loop-loop EM data: Proc. 5th SEGJ Internal. Symp., 153-160
  8. Spies, B. R., and Frischnecht, F. C., 1991, Electromagnetic sounding, in Nabighian, M. N., Ed., Electromagnetic methods in applied geophysics - Applications: Soc. Expt. Geophys., 285-426
  9. Ward, S. H., and Hohmann, G. W., 1988, Electromagnedc theory for geophysical applications, in Nabighian, M. N., Ed., Electromagnetic methods in applied geophysics, Vol. I: Soc. Expt. Geophys., 131-312
  10. Won, I. J., Keiswetter, D. A., Fields, G. R. A., and Sutton, L. C., 1996, GEM-2: A new multifrequency electromagnetic sensor: J. Environ. Eng. Geophys., 1, 129-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