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bstetrical and Statistical Aspects of the Unmarried mother

미혼모의 산부인과적 고찰

Kang, Min-Su;Lee, Jung-Yeun;Lee, Sang-Hyeok;Oh, Eun-Hee;Lee, Chul-Woo;Choi, Beom;Shin, Yong-Duk;Kim, Dong-Jin
강민수;이정윤;이상혁;오은희;이철우;최범;신용덕;김동진

  • Published : 20020800

Abstract

Objective : We focus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on the obstetrical and statistical aspects of the unmarried mother, especially teenage pregnancy and 20's pregnancy. Methods : The 112 well-documented records in the 130 unmarried mothers who delivered at Gangnam general hospital public corporation from 1998 to 2000, were enrolled in our study. Unmarried mothers were divided into three age groups; teenage group, 20's group and 30's group, then, each group was analyzed by liable methods, SPSS (Version 10.0.7) and data were processed by Student's t-test and accepted as the significant meaning within p-value less than 0.05, 95% significant level. Results : In this study, teenage mothers were delivered lower birth weight babies than those of other groups (p=0.000001). Sex partners of teenage mothers, most school boy friends, were similar age to those mothers and low economic state. Despite desire of bringing up children (teenage 11% versus 20's 36%), they gave up their babies because of monetary tnallers and social bias. And teenage mothers felt stronger affection for babies than 20's. Teenagers' and 20's unmarried mothers have poor information about contraception (teenage group 42%, 20's 31%). Conclusion : The unmarried mothers have been constituting many social problems. Fortunately, the absolute number of the unmarried mothers have not increased but the teenage pregnancy has the majority of unmarried mothers ($\geq$50%). It is necessary for unmarried mothers to take the education of contraceptive measures, the social systems of bringing up the boarder babies and the retraining courses of unmarried mothers.

목적 : 미혼모 중에서 특히 10대, 20대 미혼모의 산부인과적인 측면에 대한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통계적인 분석을 시도함.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1998년부터 2000년까지 지방공사 강남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분만한 미혼모 130명 중, 설문 기록이 양호한 112명을 통계 처리하여, 나이의 분포, 산과적인 측면, 사회적인 측면을 분석해보았다. 통계에서는 SPSS (버전 10.0.7)를 이용하여 Student's t-test, 유의 수준 95%로 검증했다. 결과 : 10대 미혼모가 전체 50%를 차지했으며, 신생아의 출생 체중과 산정 진찰, 신생아에 대한 애착에 있어서는 연령별 차이가 유의했으며(p<0.05), 산전 진찰의 횟수가 일반 산모에 비해 적고, 피임에 대한 상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기를 분만하여 키우려고 임신을 지속했다고 대답한 경우 (10대 11%, 20대 36%)가 많았지만, 분만후 경제적인 문제와 사회적인 편견으로 인해 대한사회복지기관에 모두 위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피임에 대한 교육과 10대 미혼모들이 현실을 인정하고 보호할 수 있는 교육과 제도, 양육하기를 원하는 미혼모들은 위한 탁아 시설의 확충과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미혼모 실태보고서. 2001; 미출간자료.
  2. 한나라당 김홍신의원. 미혼모 실태에 대한 국회제출자료. 2001; 미출간자료.
  3. 구병삼, 이찬, 신재철, 김탁, 송준, 홍명호 등. 10대 여성 성(sex)에 관한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1996;39:1010-11.
  4. 한혜원. 국내 고교생의 성의식과 성교육 실태조사. 교육인적자원부 연구의뢰 2001; 미출간자료.
  5. Satin AJ, Lveno KJ, Shennan ML, Reedy NJ. Lowe TW, Mcintire DD. Maternal youth and pregancy outcomes: Middle school versus highschool age groups compared to women beyond tbe teen years. Am J Obstet Gynecol 1994;171:184.
  6. 한상순. 한국 미혼모의 실태 및 미혼모 시설의 현황. 낙태반대운동연합 가을정기 세미나 발제 2001; 미출간자료.
  7. 엄애현. 미혼모의 산전간호 중요성 인식정도와 실행정도에 관한 조사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8. 김상원, 이양재, 박순정, 김수련, 송은일. 여자고등학생의 성의식 및 성실태조사연구. 한국성문화연구소(대한가족계획협회 부설) 1998; 미출간자료.
  9. Kumbi S, lsehak A. Obstetric outcome of teenage pregnancy in nonhwesrem Ethklpia. East Aft Med J 1999;76(3):138-40.
  10. Toro Calzada RJ. Pregnancy in adolescents. Complications. binh weight. somatometry of the newborn and Apgar score, comparison with the general population. Gynecol Obstet Mex 1992;60:291-5.
  11. 통계청. 2000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2001; 미출간자료.
  12. 보건복지부. 미혼모시설입소자조사. 2000; 미출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