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a- and Inter-Examiner Reliability on the Estimation of Masticatory Efficiency : by Pulverizing Peanuts with a Sieve-System

저작분쇄율의 신뢰도에 관한 연구

Kim, Seung-Ki;Kim, Mee-Eun;Kim, Ki-Suk
김승기;김미은;김기석

  • Published : 20020900

Abstract

저작은 소화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저작기능은 구강건강뿐 아니라 전신건강에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저작기능을 유지하고 회복시켜주는 것이 치과치료의 중요한 목적이 된다. 사람의 저작기능을 평가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설문지를 이용하여 주관적인 평가를 하는 방법과 저작능률과 저작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으로 대별된다. 여기서 저작능률이란 일반적으로 저작시 음식물을 감소시키는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개인의 저작능률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어 왔는데, 그중 특정 음식물을 일정시간 또는 일정주기 동안 저작시킨 다음 체(sieve)로 걸러내어 평가하는 분쇄율 조사(pulverization test)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검사에 이용되는 음식물의 종류와 특성, 저작시간 또는 저작횟수 및 사용되는 체의 크기 등의 다양한 변수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저작능률은 개개인의 치아 상태나 혀와 다른 구강 연조직상태, 저작습관 및 턱관절장애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서도 좌우된다. 임상에서는, 저작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턱관절장애나 구강악안면 영역의 외상 및 치과치료와 관련하여 발생한 저작능력의 변화정도를 평가하거나 저작능력의 장애정도를 판정해야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이러한 평가나 비교분석을 위해서는 연령별 정상인의 저작능력에 대한 표준자료의 확보가 필요하고, 신뢰할만한 저작능력 검사법의 개발이 그 선행조건이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저작기능, 특히 저작능률 평가방법 중 분쇄율을 조사하는 방법이 신뢰할만한 방법인지를 알기 위하여 검사자간 및 검사자내 신뢰도를 조사하였고, 이때 2.0, 1.0, 0.5, 0.25mm의 간격을 가진 네 가지 표준체를 사용하여 어떤 크기의 체에서 보다 더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를 함께 평가하였다. 피검 재료로는 비교적 크기가 일정하고 저작 후에도 분쇄된 덩어리로 남아 있으며 쉽게 구할 수 있는 땅콩을 선택하였고, 15명의 건전한 자연치열을 가진 피검자를 대상으로 10초간 약 5g의 땅콩을 저작하도록 한 다음, 체에 걸러 검사자간 및 검사자내 신뢰도를 조사하였다. 2.0, 1.0, 0.5mm간격의 체를 이용한 경우 4일 간격을 두고 반복 시행한 조사(검사자내 신뢰도 평가)에서 두 검사자 모두 상당히 높거나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며, 두 번의 측정치 평균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같은 날 시행한(검사자내 신뢰도 평가) 두 검사자간 측정치에 대한 상관계수도 아주 높거나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며, 두 측정치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0.25mm간격의 체에 대한 조사에서는 검사자내 신뢰도 조사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나 검사자간 신뢰도에서는 두 검사자중 한 사람의 상관관계가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분쇄율 조사는 상당히 신뢰도가 높은 저작능률 평가방법이며, 특히 0.25mm의 작은 간격을 가진 체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0.5mm이상의 간격을 가진 체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Jablonski S: Illustrated dictionary of dentistry, Saunders p476-477, 1982
  2. Carlson GE: Masticatory efficacy : the effect of age, the loss of teeth and prosthetic rehabilitation, Int Dent J., 34:93-97, 1984
  3. Tzakis M, Kiliaridis S, Carlsson GE: Effect of chewing training on masticatory efficency, Acta Odontol Scand., 47:355-360, 1989
  4. Carlsson GE. Bite force and chewing efficiency, In Kawamura Y(ed.) Frontiers of Oral Physiology of mastication 1, Physiology of mastication, Basel: Karger, 265-292, 1974
  5. Agerberg G, Carlsson GE: Chewing ability in relation to dental and general health, Analyses of data obtained from a questionnaire, Acta Odontol Scan., 39:147-153, 1981
  6. Gunne HSJ, Bergman B, Enbom L, Hogstrom J: Masticatory efficiency of complete denture patients, Acta Odontol Scand., 40:289-297, 1982
  7. Helkimo E, Carlsson GE, Helkimo M: Chewing efficiency and state of dentition, Acta Odont Scand., 36:33-41, 1978
  8. Tzakis MG, Dahlstrom L, Haraldson T: Evaluation of masticatory function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patients with craniomandibular disorders, J Craniomandib Disord Facial Oral Pain., 6:267-272, 1992
  9. Lucas PW, Luke DA, Voon FCT, Chew CL, OW R: Food breakdown patterns produced by human subjects possessing artificial and natural teeth, J Oral Rehabil., 13:205-214, 1986
  10. Helkimo E, Carlsson GE, Helkimo M: Bite force and state of dentition, Acta Odontol Scand., 35:297, 1977
  11. Heath MR: The effect of maximum biting force and bone loss upon masticatory function and dietary selection of the elderly, Int Dent J., 32: 345, 1982
  12. Haraldson T: Functional evaluation of bridges on osseointegrated implants in the edentulous jaw, Thesis, Faculty of Odontology, University of Goteborg, Sweden
  13. Helkimo E, Heath MR, Jiffry MTM: Factors contributing to mastication: an investigation using four different test foods, J Oral Rehabil., 10:431, 1983
  14. Tallgren A, Holden S, Lang BR et al: Correlation between EMG jaw muscle activity and facial morphology in complete denture wearers, J Oral Rehabil., 10:105, 1983
  15. Bates JF, Stafford GD, Harrison A: Masticatory function-A review of the literature, J Oral Rehabil., 3:57-67, 1976
  16. Gunne J: Masticatory ability in patients with removable dentures, Swed Dent J., suppl 27, 1985
  17. Kayser AF: Clinical aspects of shortened dental arches, Proc Europ Prosthodontic Assoc., 1979
  18. Manly RS, Braley LC: Masticatory performance and efficiency, J Dent Res., 29-448-462, 1950
  19. österberg T, Steen B: Relationship between dental state and dietary intake in 70-year-old males and females in Gotenberg, Sweden : a population study, J Oral Rehabil., 9:509, 1982
  20. Wayler AH, Chauncey HH: Impact of complete dentures and impaired natural dentition on masticatory performance and food choice in healthy ageing men, J Prosthet Dent., 49:427, 1983
  21. Jiffry MTM: Analysis of particles produced at the end of mastication in subjects with normal dentition, J Oral Rehabil., 8:113-119, 1981
  22. Lindquist LW, Carlsson GE, Hedegard B: Changes in bite force and chewing efficiency after denture treatment in edentulous patients with denture adaptation difficulties, J Oral Rehabil., 12:21-29, 1986
  23. Dahlberg B: The masticatory effect, Acta Medica Scand., 39 suppl. 139, 1942
  24. Yurkstas A, Manly RS: Value of different test foods in estimating masticatory ability,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3:45, 1950
  25. Kapur KK, Soman S: The effect of denture factors on masticatory performance, Part I, J Prosthet Dent., 15:54-64, 1965
  26. Kapur KK, Soman S: The effect of denture factors on masticatory performance, Part II, J Prosthet Dent., 15:231-240, 1965
  27. Kapur KK, Soman S: The effect of denture factors on masticatory performance, Part III, J Prosthet Dent., 15:451-463, 1965
  28. Kapur KK, Soman S: The effect of denture factors on masticatory performance, Part IV, J Prosthet Dent., 15:662-670, 1965
  29. Kapur KK, Soman S: The effect of denture factors on masticatory performance, Part V, J Prosthet Dent., 15:857-866, 1965
  30. Tzakis MG, Linden B, Jemt T: Oral function in patients treated with prostheses on Brånemark osseointegrated implants in partially edentulous jaws: A pilot study,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5:107-111,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