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Manufacturing Workers' Job Conditions and Stress

제조업 근로자의 작업환경인지도와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연구

Oh, Young-A;Lee, Myung-Sun;Rhee, Kyung-Yong
오영아;이명선;이경용

  • Published : 20020900

Abstract

Objectives: In this study we performed an analysis of the stress associated with the working conditions of 6,764 workers based on ‘A survey of healthy condition of workers on 1999’by the Korean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health education and management for industrial workers’health promotion. Method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0.0 program. Results: When the degrees of stress were analyze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emales were found to have higher levels of stress than males (p$\prec$0.001). Furthermore, as age was lowered and as the work space became larger, the degrees of a stress were also found to be higher (p$\prec$0.001 and p<0.01, respectively). When the degrees of stress were analyzed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s, longer working hours (p$\prec$0.001) and reduced break times (p$\prec$0.05), gave rise to higher degrees of stress. Also, as the work space was reduced in size and as the work intensity was augmented, the degrees of a stress were made higher (p$\prec$0.01). In terms of physical working conditions, humidity and a lack of sense of security resulted in higher degrees of stress (p$\prec$0.01). When the workers sense that their environment is noisy or dusty has poor lighting or ventilation or that the rest room and cafeteria facilities are inadequate, the degrees of stress are found to be higher. As regards the social environment, when the workers sensed that the degree of job demand or job control was higher or that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was lower, the degrees of stress were increased (p$\prec$0.001). Among those factors which influenced physical stress in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primary factor was found to be the safety of the working place (5.1 %). Other factors which influenced physical stress were degree of job demand, age, work intensity, humidity, sexual discrimination, length of working hours, size of work space and the existence or not of a regular break time in this order. Total R2 due to these factors was 12%. Among those factors which influenced mental stress in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primary factor was the degree of job demand (4.8 %). Other factors which influenced mental stress were humidity, age, sexual discrimination, the degree of a job control, safety of the working place, degree of social support, a working site, size of the work space, quality of lighting, the existence or not of a regular break time and length of working hours in this order. Total R2 due to these factors was 13.1 %. Conclusions: The above results shows that working conditions are strongly related to stress. Furthermore, when both physical and social working conditions are continuously managed and improved, workers may not only reduce their levels of stress but also maximize their working efficiency.

목적 : 한국산업안전공단의 '1999년 근로자건강실태조사'를 분석의 기초자료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인 전국의 근로자 6,764명을 대상으로, 신체적 스트레스, 정신적 스트레스와 일반적 특성, 작업조건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방법 : 표본으로 추출된 근로자들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1:1 면접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자료는 SPSS 10.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결과 :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으며(p<0.001), 연령이 낮을수록(p<0.001), 규모는 클수록 그 수준이 높았다(p<0.01). 2. 근로조건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은 작업시간이 많을수록(p<0.001), 휴식시간이 없을 때(p<0.05) 그 수준이 증가하였고, 작업공간이 좁고 작업밀도가 강할 때 스트레스가 높았다(p<0.001). 물리적 작업 환경에서는 습도와 작업장안전에서 문제가 있다고 느낄 때 스트레스가 높았으며(p<0.01), 소음이 문제가 있고(p<0.01), 분진 및 환기와 휴식공간과 식당, 채광조명에 문제가 있을 때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다(p<0.05). 사회적 작업환경에서는 직무요구도와 직무통제성이 높고, 사회적지지가 낮을 때 스트레스 수준이 증가하였고,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3. 다단계 중회귀분석을 통한 신체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작업장 안전이 5.1%로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여주었고, 다음으로 직무요구도, 연령, 작업밀도, 습도, 성별, 작업시간, 규모, 공식적인 휴식시간 유무의 순으로 선정되었는데 이들 요인에 의한 전체 설명력은 12 %였다. 또한 정신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직무 요구도가 4.8 %로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여주었고 다음으로 습도, 연령, 성별, 직무 통제성, 작업장 안전, 사회적지지, 작업공간, 규모, 채광조건, 공식적인 휴식시간 유무, 작업시간의 순으로 선정되었는데 이들 요인에 의한 전체 설명력은 13.3 %였다. 결론 : 근로자의 작업환경이 스트레스와 관련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근무조건, 물리적 작업환경, 사회적 작업환경을 꾸준히 관리하고 개선할 때, 근로자의 스트레스가 감소할 것이고, 작업능률을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공득희. 산업장 근로자의 보건교육 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1994.
  2. 권순일. 직장스트레스의 환경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부산여대논문집 1997;35.
  3. 김근조. 일부 방직생산 여성근로자들의 건강실태 조사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91.
  4. 김규상, 노재훈, 이경종, 정호근, 문영한. 중소규모 사업장의 작업환경과 건강장해에 관 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993; 5(1) :3-14.
  5. 김매자. 간호사가 근무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을위한 도구개발연구. 간호학회지 1984;14(20).
  6. 김모임, 조원정. 산업장 보건간호 관리가 생산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 1997;17(5) :55-66.
  7. 김정희,강혜자, 한인순. 스트레스대처방식척도 제작을 위한 예비적 연구. 행동과학연구 1988.
  8. 김현주. 직무만족과 작업오류행동에 미치는 스트레스 효과에 대한 집단성 지각과 내외통제성향의 중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9. 문영한, 박종연, 이경종, 조명화. 근로자들의 건강상태가 작업환경 인식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1992; 4:81-91
  10. 박경옥. 산업장 소음환경수준이 생산직근로자의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11. 송현종. 산업장 보건교육과 근로자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12. 안덕환. 직장활동 참여에 따른 작업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에 관한 분석.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13. 양명석. 부모전환기에서의 역할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1993;11:121-131.
  14. 오옥경. 직무와 스트레스 관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15. 유민규. 일반건강측정도구(PWI)를 이용한 사무직 근로자들의 스트레스와 관련요인.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16. 윤진.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와 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17. 이경용. 근로자 건강실태 표본조사: 델파이를 통한 산업보건지표 배갈.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1997.
  18. 이경용. NIOSH 직업 스트레스 조사표의 신뢰도 및 타당도.보건과 사회과학 2000;8: 57-112.
  19. 이동배. 일부 사무직 여성근로자들의 스트레스관련 요인.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20. 이동영. 현대 산업조직에 있어서 직무와 스트레스관계에 관한 실증적 고찰. 서울여대 1985;15.
  21. 이명선. 작업환경과 근로조건의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한보건협회지 1991;17(2) :101-110.
  22. 이명선.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상태와 건강습관과의 관련요인분석.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995;12(2):48-60.
  23. 이명하. 임상간호사의 스트레스관리를 위한 조직적 전략. 중앙의학 1991;56.
  24. 이영수. 산업 근로자들의 스트레스와 건강습관에 관한 조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25. 이유진. 여성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26. 이학종. 조직행동론:이론과 사례연구. 서울:세경사 1990.
  27. 정교태. 근무환경과 직무만족에 관한 실증적연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28. 정영호. 작업조건과 정신신체자각증상의 관련성.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29. 장세진. 우리나라 직무스트레스의 실태.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0.
  30. 장병기. 기업환경변화에 의한 근로자들의 스트레스가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구효성카돌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31. 조현순. 근로자 스트레스대처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32. 지성애. 간호상황에 대한 지각이 스트레스로서 대처행위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중앙의대지 1986;11:395-409.
  33. 차봉석. 일부 제조업 근로자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1988;21(2) :365-373.
  34. 한광현.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실증적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35. 한국산업안전공단. 근로자건강실태조사보고서 1999.
  36. 한국산업안전공단.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건강장해 예방전략 2000.
  37. 홍근표. 간호사의 소진경험에 관한 분석적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4.
  38. A.A.Abdel-Halim. Effects of role Stress-job design Technology interaction on employee work satisfac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1981;5(4) :739-754.
  39. A.J.Elkins, P.J.Rosch. Promoting mental health at the workplace: The prevention side of stress management Occupational Medicine: State of the Art Review 1990;5(4) :739-754.
  40. A.P.Brief and R.J.Aldag. Correlates of Role Indic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76;61: 468-472
  41. A,P.Brief, R.S.Schuler. Managing Job Stress, Little, Brown & Company 1981.
  42. Baldwin and Bailey. Psychology of effective living. Brooks Cole pub 1980.
  43. C.L.Cooper J.Marshall. Occupational Sources of Stress :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lating to Coronary Heart Disease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1979;49.
  44. G.S.Every and R.H.L Feldman. Occupational Health Promotion, John Wiely & Sons 1985.
  45. Hans Selye. Stress and Health A Perspective on Aging and Retirement; Handbook of Organizational Stress Coping Strategies, Ballinger Pub.co 1984.
  46. J.R.P.French, J.r. W. Rogers and S. Cobb. Adjustment as Person Environment Fit, Coping and Adoption, ed., G.V.Voelho, D.A. Hanburg, and J.F. Adams(New York;Basic Book) 1974.
  47. J.S.House, A.J.McMichael, J.A.Wells, B.H. Caplan & L.R.Landerman.Occupational Stress and Health among factory workers.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79;30:139-160.
  48. J.E.McGrath. A Conceptual Formulation for Research of Stress,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Stress, ed. J.E.McGrath,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1982;175-209.
  49. P.Graft-Toft&J.G.Anderson. Organizational Stress in the hosiptal: Development of a Model for Diagnosis and Prediction. Health Services Research 1981;19:373.
  50. R.Karasek. Job demands, Job decision Latitude, and Mental health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979;24:285-398. https://doi.org/10.2307/2392498
  51. S.Gor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in Moderating the Health Consequences of unemploymen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78;19:157-165. https://doi.org/10.2307/2136531
  52. T.Theorell,A.Hamsten. Tree growth and environmental stresses. Univ.ofWashington Pr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