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Associated With th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s(PPEs) Wearing of Workers in Small Scale Industries

일부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들의 개인 보호구 착용에 관련된 요인

Kim, Yong-Kyu;Kim, Hyun-Joo;Lee, Soo-Jin;Jang, Eun-Chul;Rho, Sang-Cheol;Song, Jae-Chul
김용규;김현주;이수진;장은철;노상철;송재철

  • Published : 20020900

Abstract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wearing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in small scale industries. Methods: In a cross-sectional study, the data were obtained from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 special health examination and the industrial hygiene records. The study included 230 workers in small-scale industries (the print industry and automobile repair shops), which were provided with a subsidiary occupational health program funded by government in 1998. The authors used the Precede-Proceed model. Results: Among the subjects who were recommended to wear a PPE, 32.7% (35/107) wore the gas/vapor respirators, 43.9 % (101/230) wore the particulate respirators, and 44.3 % (102/230) wore hearing aids. Among them, 64.3 % (148/230) wore one of the above PPE. The wearing of PPE wearing was associated with knowledge (OR=2.34), the value of prevention (OR=3.46), social support (OR=2.78), the type of task (OR=2.18-4.47), and income level (OR=7.64). Conclusions: In small scale industries, the proportion workers wearing PPE was low. To increase this proportion, the reinforcing, enabling, and environmental factors as well as the predisposing factors need to be modified.

목적 : 상시근로자 50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들의 개인 보호구 착용과 관련된 요인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8년 소규모 사업장 보건관리 기술지원 사업장 근로자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함께 작업환경측정 및 특수 건강진단 결과를 검토하였고, 개인 보호구 착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Precede-Proceed 모형을 적용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은 주로 남자(97%), 기혼(64.8%), 고졸 이상(77.8 %)이었고, 연령은 평균 34.8$\pm$8.3세였다. 종사 업종은 인쇄업 46.1 %, 자동차 수리업 53.9 %이었고, 동일 업종 근무기간은 평균 11.9$\pm$7.2년이었다. 개인 보호구의 종류별 착용률은 유기용제용 마스크 32.7 %(35명), 방진마스크 43.9%(101명), 청력보호구 44.3%(102명)이었고, 이중 하나 이상의 개인 보호구 착용자율 64.3%(148명) 이었다. 개인보호구 착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다변량 분석 결과 ’유해인자의 건강영향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음(OR=2.34), ‘개인 보호구의 예방 가치’에 대한 인식이 높음(OR=3.46), ‘사회적 지지’가 높음(OR=2.78), ‘지속적인 노출특성을 갖는 작업공정’ (OR=2.18-4.47), 소득수준이 높음(OR=7.64) 등이 유의한 관련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 근로자 수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의 개인보호구 착용률은 중,대규모(50인 이상)의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에 비해 저조한 편이며, 그 착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향요인 뿐 아니라 강화요인, 가용요인, 환경요인에 대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상백, 장세진, 조영봉, 최홍렬, 안재순 등. 이성적 행동 이론에 의한 제조업 근로자들의 호흡보호구착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석, 한국산업위생학회지 2000;10(2):27-39.
  2. 김현욱, 김형아, 노영만, 장성실. 우리나라 소규모사업장 근로자들의 호흡보호구 사용실태 및 착용기피 원인 분석.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998;8(1) :133-145.
  3. 노동부. 산업재해 현황통계, 2001.
  4. 노동부. '97 작업환경측정자료집, 산업보건환경과, 1998 이경용, 이관형. 경인지역 도금사업장 근로자의 산업보건 관리제도에 대한 인식. 대한 산업의학회지 1992; 4(1):32-44.
  5. 이성관, 이미영, 윤능기, 이승훈. 유해부서 근로자의 산업보건에 관한 지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992;4(2) :162-180.
  6. 이성림, 손혜숙. 경기지역 모 공단내 사업장 노동자 및 보건담당자의 노동자 보건관리에 관한 지식과 태도, 대한 산업의학회지 1993:5(1) :15-28.
  7. 통계청. 2000년 사업체 기초통계조사 보고서, http://kosis.nso.go.kr 2002년 7월 28일 접속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재해 원인통계 1999.
  8. Bertera, RL. Planning and Implementing Health Promotion in the Workplace: A Case Study of the DuPont Company Experience. Health Education Quarterly 1990;17(3) :307-327. https://doi.org/10.1177/109019819001700307
  9. Cohen A. and Colligan MJ. Handbook of health behavior research II: provider determinants, Plenum press, NewYork, 1997.
  10. Deloy DM, Murphy LR, Gershon RM. The influence of employee, job/task, organizational factors on adherence to univertial precautions among nurses. International J of Industrial Ergonomics 1995;16:43-55. https://doi.org/10.1016/0169-8141(94)00075-E
  11. Gielen AC, Mcdonald EM. The precede-proceed model,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1996, 2nd Ed, pp359-383.
  12. Gochman DS. Labels, Systems, and Motives: some perspectives on future research, Health Edu Quarterly 1982;9:167-174.
  13. Green LW, Kreuter MW. Health Promotion Planning: An Educational and Ecological Approach. 3rd ed. Mountain View, Calif.: Mayfield, 1999.
  14. Karasek RA. Job demand, job decision latiitude, mental strain; Implication for job redesig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June 1979, Vol. 24, pp. 285-308.
  15. Laird IS, Pack RJ, Carr DH. A survey on use and non-use of repiratory protective equipment in workplaces in a provincial New Zealand city. Ann Occup Hyg 1993; 37(4) :367-375. https://doi.org/10.1093/annhyg/37.4.367
  16. Marmort M. Social class, occupational status, and cardiovascular disease, occupational medicine, 2000; 15(1) :46-49.
  17. Mullen PD, Hersey JC, Iverson DC. Health Behavior Models Compared.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987;24(11) :973-981. https://doi.org/10.1016/0277-9536(87)90291-7
  18. NIOSH. Guide to Industrial Respirator Protection US Dep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ub No. 87116, 1987.
  19. Suchman EA. Health Attitudes and Behavior. Archieves of Environmental Health 1970;20(1):105-109. https://doi.org/10.1080/00039896.1970.10665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