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the Soil Properties on Growth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and Dendropanax morbifera stands in Warm Temperate Forest Zone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이 난대지역의 구실잣밤나무와 황칠나무생장에 미치는 영향

Kang, Jin-Taek;Park, Nam-Chang;Chung, Young-Gwan
강진택;박남창;정영관

  • Published : 2002120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suitable site of tree growth through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growth of tree in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and Dendropanax morbifera stands, for resource utilization and conservation of plant diversity with broad-leaved evergreens of warm temperate forest zone distributing along the coast and island in kore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The soil texture was silt loam including silt of above 50% in both stands. Soil pH was 5.2 and 5.3, organ matter content of 5.1%, 7.7%, available P2O5 of 5.3, 4.9ppm, and cation exchange capacity(C.E.C) of 13.0, 13.3me/100g, respectively. The result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oil properties and tree diameter growth, the soil pH, available P2O5 and sand content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ndexchangeable Ca2+ and organic matter content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 Casta.nopsis cuspidata var.sieboldii stands Total nitrogen, exchangeable Ca2+ and soil pH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nd exchangeable K+, silt content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 Dendropanax morbifera stands. The results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significant soil factor effecting tree growth, soil pH, exchangeable M2+ and exchangeable Na+ were effected in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stands, and exchangeable K+, exchangeable Na+ and C.E.C were effected in Dendropanax morbifera stands.

우리나라 남부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난대 상록 활엽수의 롱 다양성 보존과 적지선정과 구실잣밤나무와 황칠나무의 생육 최적지를 구명하기 위하여 토양의 이화나적 성질과 임목직경생장과의 관계를 분석 하였다. 두 수종의 임분내 토양은 미사함량이 50%이상의 미사질양토이며, 토양 pH는 평균 5.2와 5.3로 우리나라 산림토양 평균 pH 5.5보다 낮게 나타났다. 또란 유기물 함량이 각각 5.1, 7.7%, 유효인 산은 5.3, 4.9ppm으로 우리나라 산림토양 평균 25.74ppm 보다 힐씬 낮았으며, 양이온치환용량(C.E.C)은 13.0, 13.3me/100g로 각각 나타났다.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과 두 수종의 생장간의 편상관 분석 결과, 토양산도, 유효인산, 모래함량이 유의적인 정의 상관, 유기물함량, 칼슘함량은 부의 상관으로 나타났으며, 황칠나무에서는 전질소, 치환성칼슘, 토양산도가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보였고, 치환성칼륨, 미사함량이 부의 상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수종의 생장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토양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실잣밤나무에 있어서는 토양산도, 치환성 마그네슘, 치환성 나트륨이었고, 황칠나무에서는 치환성 칼륨, 치환성 나트륨, 양이온치환용량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세현. 1996. 황철나무의 생태와 우량개체 선발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0p.
  2. 김세현, 신창호, 정남철, 나천수, 김영중. 2000. 황철나무 분포 임지의 식생구조 및 업지 환경. 한국임학회지 89(1) 93-104
  3. 김용식, 오구균. 1996. 난대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립 복원 모형 (II) - 회귀 및 멸종위기 식물과 귀화식물 - 환경생태학회지 10(1) : 128-139
  4. 김종영, 이정석, 오광인, 장석기, 박진흥. 2000. 보길도 붉가시나무림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한국임학회지 89(5) : 618-629
  5. 김철수, 박연우, 양효식, 오장근. 1990. 다도해 해상국립공원내의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물 사회화척 연구(lll) - 거문도의 식생을 중심으로-. 연안생물연구 7(3) : 1-22
  6. 산림청. 난대림 생물휴양자원 개발 및 복원 실연 연구(I). p271
  7. 산림청. 2000. 난대림 생물휴양자원 개발 및 복원 실연 연구(II). p37
  8. 손영모, 정영관. 1994. 지형, 토양 및 기상 인자가 해송의 수고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83(3) : 380-390
  9. 오구균, 검보현. 1998.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니터링(I). 환경생태학회지 12(3) : 279-289
  10. 오구균, 검보현, 김용식. 1997a.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 (V) - 사례지의 복원전략 - 환경 생태학회지 11(3) : 334-351
  11. 오구균, 검보현, 김용식. 1997b.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 (V) - 사례지의 복원전략 - 환경생태학회지 11(3) : 352-365
  12. 이일구. 1981. 동남해 도서지방의 상록활엽수림의 분포와 그의 보존상태에 관하여. 한국자연보존협회 3: 89-109
  13. 이일구, 황경수, 송종석. 1980. 서남해 도서지방의 상록활엽수림의 분포와 보존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자연보존협회. 2: 13-33
  14. 이천용 1998. 산림환경토양학. 보성문화사 pp 350
  15. 임경빈, 이수욱. 1975. 조림학적으로 본 온도인자 -온량지수와 한량지수를 중심으로-.한국임학회지 No. 25: 1-12
  16. 정영관. 1980. 토양의 이화학적성질 및 환경 인자가 편백 생장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농연보 14: 1-29
  17. 吉良龍夫. 1976. 陸上生態系槪論. 共立出版. 東京. 2: 12-47
  18. Allen, S.E., H.M. Grimshaw and A.P. Rowland. 1986. Chemical analysis in moore, P. D. and S. B. Chapman, ed Methods in plant ecology. 2nd ed. Black well Scientific Pub. Oxford
  19. Garcia, M., J. Miragaya, S. Flores and N. Chacon. 1994. Soil chemical properties under individual evergreen and deciduous trees in a protected Venezuelan savanna. Acta Oecologica 15(4) : 477-484
  20. Joo, SH., T. Suzaki and K. Gyokusen. 1989. Study on the soil environments at ornamental plantations. (I). Soil conditions and tree growths of evergreen roadside trees in coastal area. Bulletin of the Kyushu University Forests 60 : 17-34
  21. Kajihara. N., J. Tsukamoto and S. Nyuuta. 1999. Type of unergrowth vegetation and susceptibility to soil erosion of Japanese cypress(Cahmaecyparis obtusa Endl, .) plantations on slopes. Journal of Japanese Forestry Society 81(1) : 42-50
  22. Klock, G.O.. R.G. Cline and D.N. Swanston. 1984. Forest Handbook(Second Edition).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New York. 83-96
  23. Kondo, T .. K. Hasegawa, R. Uchida and M. Onishi. 1998. Absorption of atmosphere C2 -C5 aldehydes by various tree species and their tolerance to C2-C5 aldehyde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24 : 1-3, 121-132 https://doi.org/10.1016/S0048-9697(98)00207-1
  24. Mader, D. L. 1976. Soil-site productivity for national stands of white pine in Massachusett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Process 40(1) : 112-115 https://doi.org/10.2136/sssaj1976.03615995004000010030x
  25. Mckee, W.H. 1978. Slash pine seedling response to potassium and Calcium on imperfectly drained coastal plain soil. Plant and Soil 50(3) : 615-624 https://doi.org/10.1007/BF02107213
  26. Bargali, S.S., M. Joshi and K. Bargali. 1997.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etabolic activity of soil in poplar plantations replacing natural broad-leaved forests in Kumaun Himalaya. Journal of Arid Environment 35(1) : 161-169 https://doi.org/10.1006/jare.1996.0149
  27. Nishikami, A. and S. Ishibashi. 2000. Stand structure of broad-leaved naturally regenerated forest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anto district - analysis of sapling structure in ' forest floor space'. Forest Resources and Environment 38 : 107-121
  28. Tang, C.Q. and M. Ohsawa. 1999. Altitudinal distribu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their leaf-size pattern on a humid subtropical mountain, Mt. Emei, Sichuan , China. Plant Ecology 145(2) : 221-223 https://doi.org/10.1023/A:1009856020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