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Regions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Jeong, Jin-Hyeon;Gu, Gyo-Sang;Lee, Chung-Hwa;Kim, Chun-Sik
정진현;구교상;이충화;김춘식

  • Published : 2002120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the sustainable management methods of soil resources with determining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regions. 915 soil profiles CA horizon: 810. B horizon: 915) were investigated between 1984 and 1990. Dominant soil texture of two soil horizons CA. B) was loam except for Jeju with silt loam. Soil particle size also showed similar distribution except f.or Jeju and Gyongnam regions. Three phases of A horizon was 41.5% in gaseous phase. followed by 34.5% in solid phase. and 24.0% in liquid phase. Soil bulk density was O.88g/crn' in A horizon and 1.01g/ ern' in B horizon. Soil particle density was 2.54g/em' in A horizon and 2.61g/crrl in B horizon. Soil pH was 5.48 in A horizon and 5.52 in B horizon. but Gangwon regions with the soil distributed from limestone showed pH 5.8. Soil organic matter content was 10.4% in Jeju followed by Jeonbuk. Gangwon. Jeonnam and Gyonggi regions. The lowest value in organic matter content was 2.1% in Chungnam. Total nitrogen content of A horizon was 0.43% in Jeju. followed by Gangwoll and Gyonggi regions. Available phosphorus was higher in Jeju, Gangwon, Gyunggi and Jeonbuk regions than in other regions. The magnitude ofexchangeable cations in A horizon were Ca2+(2.44cmo1c/kg)>Mg2=(1.01cmo1c/kg)> K=(0.23cmo1c/kg)>Na+(0.22 cmolc/kg).

본 연구는 엄엽연구원에서 1984년부터 1990년까지 전국의 산림토양올 대상으로 실시한 915 7»(A총 : 810 , B총 : 915)의 토양단면조사결과를 중섬으로, 지역별 산림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을 파악하여 지역특 성에 척함한 산렴토양자원의 효융적인 이용방안올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우리나라 산렴토양의 물리 적 성질 중 토성은 A층, B총 모두 제주도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역이 양토로 분류되었다. 토양 내 업 경훈포도 제주와 경남지역을 제외하고는 지역 간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토양 삼상은 제주 를 제외한 전지역이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A층은 71 상(4 1. 5%) >고상(34.5%) > 액상(24.0%) 순으로 나타났다. 토양용척밀도는 A층 0.88g/e미 .B총 1. 01g/cm' , 토양업자밀도는 A층 2.54g/em' , B총 2.61g/e따로써 두 층위사이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토양 pH는 A층이 5.48. B층은 5.52의 약산 성으로 총위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지역별로는 주로 석회암을 모재로 하는 토양이 많이 분 포하는 강원도지역이 토양 pH 5.8로써 가장 높은 값을 보이고 있다. 토양유기물함량은 A층의 경우 제 주도가 10 .4%로 가장 높았고 전북, 강원, 전북, 전남, 경기도 순이었으며 충남지역이 2.1%로 가장 낮 게 나타났다. 전질소 함량 역시 제주도의 A층이 0.43%로써 가장 높은 값을 보이고 있으며 강원, 경기 순이었다. 산림토양 내 명균 유효인산 함량은 경기, 강원, 전북, 제주도가 25ppm 이상이었으며 타지역 은 20ppm이하로 나타났다. 치환성양이온의 경우(K+. Na' ’ Ca2+, Mg2+) 강왼도를 제외하고는 뚜렷 한 차이가 없었으며 A층을 기준으로 할 때 Ca2+(2 .44cmole/kg) > Mg2+O.01cmolc/kg) > K+(O .23cmole/kg) >Na+(0. 22cmole/kg) 순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