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Effect of Intervention Program in Shipyard Workers

조선소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질환 양상과 중재적 보건관리 효과

Chae, Hong-Jae;Lee, Seong-Kwan;Lee, Kang-Jin;Moon, Jai-Dong
채홍재;이성관;이강진;문재동

  • Published : 20021200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the effect of intervention program in shipyard workers. Methods: Information on work related absences, due to musculoskeletal disorders, were collected between January, 1 2000 and August, 31 2002. Age, duration of work, job type, anatomical site of disease, cause and duration of absence due to sickness were investigated. Results: From a total of 158 cases there were 108(68.4%) and 50(31.6%) cases of back, and other musculoskeletal complaints, respectively. 55(34.8%) of the cases were caused by repetitive trauma and 103(65.2%) were due to non-repetitive causes. 90(83.3%) of the back complaint cases were due to non-repetitive causes, but there was a repetitive cause of other musculoskeletal complaints in 37(74.0%) cases. Back complaints were higher in workers carrying heavy materials, but other musculoskeletal complaints were higher in painting workers. Half of workers after an absence due to sickness had returned to work within 32.0 weeks and 25.4 weeks, in the cases of back and other musculoskeletal complaints, respectively. After the application of an intervention program for musculoskeletal disease, the incidence rate of absence due to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as reduced significantly. Conclusion: The introduction of a musculoskeletal intervention program reduced absences due to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목적 : 조선소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양상을 파악하고 근골격계 질환의 관리 프로그램 운영이 조선소 근로자들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 관리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여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0년 1월 1일부터 2002년 8월 31일까지한 조선업체의 전도, 협착, 추락, 낙하 및 충돌 등 외상을 제외한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으로 요양을 실시한 직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령, 근무기간, 부서, 직종, 부위, 원인 및 요양기간 등 근골격계 질환의 양상을 조사하였다. 결과 : 질병 부위는 요부질환이 68.4%였고, 요부질환 이외의 근골격계 질환이 31.6%였으며, 발생원인은 반복성이 34.8%였고, 비반복성 원인이 65.2%였다. 요부질환의 경우 비반복성 원인이 83.3%인 반면에 요부질환 이외의 근골격계 질환은 74.0%가 반복성이었다. 도장업무의 경우 반복성 손상에 의한 요부 질환 이외의 근골격계 질환의 빈도가 높았으며 중량물을 취급하는 직종의 경우 요통의 빈도가 타업무에 비해 높았다. 요양자의 50%가 작업에 복귀하는데 걸린 시간은 요부질환은 32.0주, 요부질환 이외의 근골격계 질환은 25.4주였으며, 원인이 비반복성인 경우가 반복성에 비해 작업 복귀에 걸린 기간이 짧았으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작업 복귀에 걸린 기간이 길었다. 근골격계 질환 관리 프로그램 운영 후 전년도 동일기간에 비해 요양자의 재해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 조선소 근로자의 요부질환은 비반복성 원인에 의해, 요부 질환 이외의 근골격계 질환은 반복성 손상에 의하여 주로 발생되며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중재적 보건관리 프로그램의 운영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한 재해율 저감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여 주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상백, 김형식, 최홍렬, 김지희, 송인혁 등. 일부조선업근로자의 직업성 요통 발생실태 및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2000;12(1):1-11.
  2. 권순용, 이승구, 장일석, 김지홍, 임일영. 재해성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역학 및 임상적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2000;12(2):277-291.
  3. 김규상, 이세휘, 최용휴, 진미령. 상지 단순반복 작업자의 수근관 증후근에 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998;10(4):505-523.
  4. 김덕수, 정해관, 권용욱. 작업자의 손목비와 수근관 증후군 위험도. 대한산업의학회지 2001;13(3):242-252.
  5. 김양옥, 박종, 류소연. 전자렌지 조립작업자에서 발생한 경견완 증후군의 조사연구(Ⅰ). 대한산업의학회지 1995; 7(2):306-319
  6. 김지용. 중량물 취급 근로자의 요통발생 형태와 인간공학적 평가. 대한산업의학회지 1998;10(3):343-361.
  7. 박수경, 최영진, 문덕환, 전진호, 이종태 등. 미용사들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장애에 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2000;12(3):395-404.
  8. 노동부. 2001 산업재해 현황. 서울: 노동부, 2002.
  9. 노동부. 노동백서 2002년판. 서울: 노동부, 2002.
  10. 박동현, 한상환. 범용위험도 평가서를 이용한 조선업체 작업에서의 누적 외상성 질환에 대한 인간공학적 분석.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998;8(1):24-35.
  11. 박정일, 조경환, 이승환. 여성 국제교환원들에 있어서의 경견완 장애 I. 대한산업의학회지 1989;1(2):141-150.
  12. 박종, 김양옥, 류소연, 하상호, 박병권. 전자렌지 조립작업자에서 발생한 경견완 증후군의 조사연구(Ⅱ). 대한산업의학회지 1995;7(2):320-331.
  13. 백남종, 조수헌. 만성요통으로 이행한 직업성 요통 증례. 대한산업의학회지 1994;6(2):429-438.
  14. 법률제6100호.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일부개정 1999. 12. 31.
  15. 손지언, 장태원, 김윤규, 홍영습, 정갑열 등. 상지단순반복 작업 근로자의 수근관 증후군 유병률에 대한 조사. 대한산업의학회지 2001;13(3):209-219.
  16. 안연순, 최용휴, 강성규, 정호근.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으로 요양승인된 사례 분석. 대한산업의학회지 2002; 14(2):154-168.
  17. 윤철수, 이세훈. 자동차 관련직종 근로자에서 상지 근골격계 증상 호소율과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999; 11(4):439-448.
  18. 이강진, 최인성, 이소영, 한재영, 이삼규 등. 표면근전도와 적외선체열촬영을 이용한 요통의 평가. 대한산업의학회지 2001;13(3):306-314.
  19. 이중정, 정종학. 수핵탈출증 발생과 관련된 작업요인 평가. 대한산업의학회지 2001;13(1):31-43.
  20. 임상혁, 이윤근, 조정진, 손정일, 송재철. 은행 창구 작업자(VDT 작업자)의 경견완 장애 자각증상 호소율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997;9(1):85-88.
  21. 임현술, 김수근, 김덕수, 김두희, 이종민 등. 철강압체와 용접봉 제조업체에 근무하는 생산직 근로장의 직업성 요통 유병률과 관련 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999;11(1) :52-65.
  22. 장은철, 김현주, 권영준, 박시복, 이수진 등. 일부소규모시계조립 사업장의 상지 누적 외상성 장애의 유병률. 대한산업의학회지 2000;12(4):457-472.
  23. 정해관, 최병순, 김지용, 유선희, 임현술 등. 전화번호안내원의 누적 외상성 장애. 대한산업의학회지 1997;9(1): 140-155.
  24. 정현기, 노영만, 임현우, 박정일, 정춘화. 단순 반복 작업자의 작업대 및 의자의 형태와 누적 외상성 질환 증상과의 관계. 대한산업의학회지 2001;13(2):152-163.
  25. 정희경, 임현술, 김지용. 모 연와제조 공장 근로자의 작업과 관련된 요통 및 대책에 대한 연구.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997;7(2):289-297.
  26. 조경환, 박정일, 이승한. 여성 국제 교환원들에 있어서의 경경완 장애 II. 이학적검사. 대한산업의학회지 1989; 1(2):151-159.
  27. 천용희. 경인 일부지역 요통호소 근로자의 요통관리 방법에 대한 추적관찰. 대한산업의학회지 1995; 7(1): 3-9.
  28. 최재욱, 염용태, 송동빈. 반복 작업 근로자들에서의 경견완장애에 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996;8(2):301-319.
  29. 한상환, 백남종, 박동현, 장기언, 이명학 등. 조선업 근로 자의 누적 외상성 질환 실태와 누적 외상성 질환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도구를 이용한 작업분석. 대한산업의학회 지 1997;9(4):579-588.
  30. 홍윤철, 하은희, 박혜숙. 조선업 생산직 근로자의 요통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방의학회지 1996;29(1): 91-102.
  31. Alex B, Bart N, Wendel P. Prognostic factors for musculoskeletal sickness absence and return to work among welders and metal workers. Occup Envion Med 1998;55(7):490-495. https://doi.org/10.1136/oem.55.7.490
  32. Amell T, Kumar S.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Design as a prevention strategy. A review. J of Occu Rehab 2001:11(4):255-265.
  33. Melhorn, JM, Wilkinson Larry, Gardner Peggy, Horst WD, Silkey BS. An Outcomes study of an occupational medicine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reduc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cumulative trauma disorders in the workplace. J Occup Environ Med 1999;41(10):833-846. https://doi.org/10.1097/00043764-199910000-00004
  34. Melhorn, JM, Wilkinson Larry, James D. Riggs. Management of musculoskeletal pain in the workplace. J Occup Environ Med 2001;43(2):83-93. https://doi.org/10.1097/00043764-200102000-00003
  35. National Research Council.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Reports, workshop summary and workshop paper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999.
  36. Roland M, Morris R. A study of the natural history of low back pain. Part Ⅱ-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trials of treatment in primary care. Spine. 1983 Mar;8(2):145-50.
  37.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Industry Injury and Illness Data - 2000. Washington, D.C :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