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ception of a Good Death in the Elderly

좋은 죽음에 대한 노인들의 인식

Han, Na-Young;Yoon, Hong-Joo;Park, Eal-Whan;Cheong, Yoo-Seock;Yoo, Sun-Mi
한나영;윤홍주;박일환;정유석;유선미

  • Published : 20020000

Abstract

Background: Family doctors are usually point of contact when the elderly think their death is imminent. To properly treat their disease and to provide good care of them and their families, family doctors must know the elderly's perception of a good death and dy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onents of a good death from the elderly. Methods: We composed 9 questions focusing on good death and dying. A family medicine resident interviewed 35 people ages sixty five or over in Cheonan Welfare Center. The contents were recorded into audiotapes, and then translated and analyzed by quantitative method and coding technique. Results: Among the total 35 respondents, many elders answered that they had thought about death and that the meaning of a death was the end of life, or transition from one world to another in religious belief. In their dying, they hoped that they would be with their offspring or spouse and that they would be in their home or hospital. Old people identified 8 major components of a good death: proper age, death without disease, death before death of their offspring and spouse, dying when whole family get together, death after seeing their family happy, death during sleep, and death without pain. They pointed out that the most meaningful event in their lives were related to their family, occupation and society. Conclusion: The elderly identified a good death in view of family as well as personal conditions such as proper age, a death without pain or disease. And most elderly pointed out that meaningful events in their lives were related to their family, occupation and society.

연구배경: 죽음을 멀지 않게 생각하는 노인환자들은 흔히 접하게 되는 가정의학과 의사가 노인들 및 그들의 가족을 보다 효과적이고 인격적으로 진료하고 돌보기 위하여, 노인들이 생각하는 좋은 죽음 및 임종에 관한 인식, 자신의 삶에서 의미 있었던 일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좋은 죽음 및 임종에 대한 노인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홉 가지의 초점 질문을 구성 한 후 연구자가 직접 천안시 노인복지회관의 노인 35명을 만나 면담을 하고 노인들의 이야기를 녹음하여 필요한 부분을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질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코드 분류표를 구성하여 전사된 내용을 코딩한 후 범주별로 구분하였다. 결과: 총응답자 35명 중 많은 사람이 죽음에 대하여 생각해 본 적이 있다고 하였고, 대다수가 죽음을 삶의 끝 또는 종교적인 내세가 존재한다고 대답하였다. 임종 시 함께 있고 싶은 사람으로는 자녀들, 배우자가 많았으며, 임종을 맞이하고 싶은 장소로는 대부분이 집과 병원이라고 대답하였다. 노인들이 생각하는 좋은 죽음의 조건으로는 적절한 수명, 무병사, 자식이나 부인을 먼저 보내지 않고 죽는 것, 자손들에게 폐 끼치지 않고 죽는 것 , 가족들이 다 있는 앞에서 죽는 것, 자손들이 다 잘사는 것을 보고 죽는 것, 수면사, 무통사 등이 있었다. 자신의 삶에서 무엇이 가장 의미가 있느냐는 질문에 대하여 노인들은 가족들에 관한 것, 자신의 직업 및 생계에 대한 것, 사회에 관한 것들을 이야기하였다. 결론: 노인들은 좋은 죽음의 조건으로 적절한 수명, 고통이나 질병이 없는 죽음 등 본인 스스로와 관련된 조건뿐만 아니라 남아있는 가족들의 행복과 경제적 부, 정신적인 면을 함께 중요시하였다. 자신의 삶에서 의미 있는 것에 대하여는 가족과 관련된 기억들이 많았으며 긍정적인 기억들과 부정적인 기억들을 함께 이야기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유형준. 노인병학. 의학출판사; p. 36-40
  2. Bishop Anne H, John R. Scudder. Nursing: The practice of caring; NLN Press, New York, 1991
  3. Karen E, Steinhauser, Elizabeth C, Clipp, Maya Mclveilly, Nicholas A, Christakis. In search of a good death: Observation of patients, families, and providers. Ann Int Med 2000;132(10):825-32 https://doi.org/10.7326/0003-4819-132-10-200005160-00011
  4. 이주헌, 문유선, 이혜리. 생활주기의 일부로서 죽음에 관한 예견지도에 대한 예비조사. 가정의학회지 1997; 18(5):511-20
  5. 조명옥. 노인이 체험하는 죽음의 의미. 중앙의학 1998; 63(2):137-56
  6. 조명옥. 한국인의 죽음 의식에 관한 연구. 중앙의학 1996;61(9):725-45
  7. 최윤선, 신종민, 이영미, 이태호, 홍명호, 김준석 등. 대학생들의 임종진료에 대한 태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1999;2(1):16-22
  8. 신동학. 가정의학. 임종환자의 관리. 2nd Ed., 1994: 200-13
  9. 김달숙, 서문자. 소생불가능한 환자가족의 안락사에 대한 의식구조. 충남의대잡지 1983;10(2):383- 95
  10. 김일순. 새롭게 알아야 할 의료윤리. 서울: 현암사; 1993:158-75
  11. 남미영, 이수찬, 서영성, 김대현, 신동학.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의료인의 태도. 가정의학회지 1995; 16(12): 874-79
  12. 홍영선, 염창환, 이경식. 안락사.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1999;2(1):1-6
  13. 노유자. 호스피스와 죽음. 현문사; 1994
  14. Duvall EM. Family Development. Copyright 1957
  15. Taylor RB. Family Medicine. 3rd edition, Springer-Verlag, 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