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munity Structure of Quercus acuta Forest at Wando Warm-Temperate Forest Arboretum

완도난대림수목원 지역 붉가시나무림의 삼림군락구조

Kim, Sang-Oh;Chin, Sang-Chul;Oh, Chan-Jin
김상오;진상철;오찬진

  • Published : 2002120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of Quercus acuta in Wando WarmTemperate Forest Arboretum during August, 1999. Twenty nine plots (lOrn x 10m) were set up in the areas in which Q. acuta were dominant, and surveYed. Twenty nine plots were classified into four communities using cluster analysis: 1) Quercus acuta, 2) Quercus acuta-Camellia japonica, 3) Quercus acuta-Carpinus tschonoskii, and 4) Quercus acuta-Quercus serrata. The order of the importance value of Q. acuta forest by tree stratum was: Quercus acuta, Carpinus tschonoskii, Styrax japonica, Albizzia julibrissin,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and Meliosma oldhammi in tree layer; Quercus acuta, Camellia japonica, Styrax japonica, Carpinus tschonoskii, Cornus kousa, and Ligustrum japonicum in subtree layer; Camellia japonica, Quercus acuta, Eurya japonica, Cinnamomum ja/JOnicum, Ligustrum ja/JOnicum, Neolitsea sericea, and Styrax jajxmica in shrub layer. Species diversity was ranged from 0.8748 to 1. 2429. Human interference may be one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range of species diversity among the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pecies correlation analysis. Quercus acuta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Styrax ja/JOnica, Camellia japonica, CarPinus tschonoskii, and Cornus Kousa,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importance value. tree diameter of breast height (DBH). and species correlation analysis. if Quercus acuta forest in Wando Warm-Temperate Forest Arboretum is not interfered by further human activities, Quercus acuta in tree layer and Camellia ja/JOnica in subtree layer will remain as dominant species.

본 연구는 붉가시나무림의 군락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완도난대림수목원 내에 분포하고 있는 붉가시나무림을 대상으로 총 29개 조사구(lOm xlOm)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29개 조사구를 Cluster 분석한 결과, 4개 군락, 즉 붉가시나무 군락, 붉가시나무-동백나무 군락, 붉가시나무-개서어나무 군락, 붉가시나무-졸참나무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각 층위별 중요치는 교목층의 경우 붉가시나무가 가잠 높았으며, 개서어나무, 때죽나무, 자귀나무, 벚나무, 합다리나무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교목층의 중요치는 붉가시나무, 동백나무, 때죽나무, 개서어나무, 산딸나무, 광나무 순으로, 관목층의 중요치는 풍-백나무, 붉가시나무, 사스레피나무, 생달나무, 광나무, 참식나무, 때죽나무 순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종다양도는 0.8748-1.2429로 군락간에 차이를 보였는데, 수목원내 붉가시나무림에 대한 인위적 간섭도 한 요인이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종상관 분석 결과, 붉가시나무는 때죽나무, 동백나무, 개서어나무, 산딸나무와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치, 흉고직경 분석, 및 종상관성 분석 등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볼 때, 완도난대림수목원의 붉가시나무림은 인위적 간섭이 없다면 교목층에서는 붉가시나무, 아교목층에서는 동백나무가 우점종으로서 그 세력을 유지하리라 예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영, 이정석, 오광인, 장석기, 박진홍. 2000. 보길도 붉가시나무림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한국임학회지 89(5) : 618-629
  2. 배행근, 박문수. 2001. 완도 백운봉 상록활엽수림의 산림군락구조 연구. 한국임학회지. 90(6) : 756-766
  3. 신현철, 박남창, 송호경. 1999. 남해안 지역 붉가시나무림의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산림과학논문집 60: 11-25
  4. 오구균, 오찬진, 이석면, 박화식. 1997. 난대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니터링. 전라남도 완도수목원 연구보고서 (제 2권) : 115-174
  5. 이경재, 조재창, 류창회. 1990.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방법에 의한 용문산 산림의 군집구조 분석 . 한국식물학회지 33(3) : 173-182
  6. 이정석, 유한춘, 오찬진. 1990. 완도 상황봉 일대의 식물상 및 천연군락지에 대한 연구. 전남대학교 논문집 35: 39-78
  7. 이창복. 1980. 한국식물도감. pp. 990
  8. 차정선, 박화식, 이석면, 김주호. 1997. 붉가시나무 사면별 맹아발생 및 생태적 연구. 전라남도 완도수목원 연구보고서(제2권) : 55-68
  9. 추갑철, 김갑태, 김정오. 2001. 계룡산국립 공원 자연보전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4) : 287-295
  10. 홍성천, 변수현, 김삼식. 1987. 원색한국수목도감. 계명사. PP. 310
  11. 전라남도 산림환경연구소. 1999. 완도난대수목원 확대 조성기본계획. pp. 271
  12. Brower, J.E. and J.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 Iowa. PP. 194
  13. Curtis, J.T. and R.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14. Harcombe, P.A. and P.H. Marks. 1978. Tree diameter distribution and replacement processes in southeast Texas forests. Forest Science 24(2) : 153-166
  15. Ludwig. J .A. and J. F . Reynolds. 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p. 337
  16. Odum, E.P. 1969.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Science 164 : 262-270 https://doi.org/10.1126/science.164.3877.262
  17.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p.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