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of GIS in Classifying Land Units for Forest Functional Suitability Analysis

GIS 응용에 의한 산림기능 적합도 분석을 위한 산림구획기법

Chung, Joo-Sang;Kim, Hyeong-Ho;Cha, Jae-Min;Park, Young-Kyu
정주상;김형호;차재민;박영규

  • Published : 2002.03.31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wofold; providing a frame of GIS application for forest functionalsuitability analysis and investigating land unit classification methods. The GIS application model wasbuilt using ArcView 3.1 and used for a case study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three land unitclassification methods based on cell grouping, 6.25ha-mesh unit and subcompartment. The resultsindicated that, assuming the cell grouping method as the basic case for its accuracy, the mesh unit methodhas a potential for future applications because of its easiness for use and land unit classification capabilityassociated with site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land unit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thesubcompartment unit may not eligible because of its limited use, only in national or public forest lands,and wide variation of unit size distribu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산림기능의 적합도 분석을 위한 GIS 응용체계를 제시하고, 산림기능구분을 위한산림구획 방법들을 연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GIS 응용체계는 ArcView 3.1를 이용하여 만들어겼으며, 이 분석체계는 Cell grouping, Mesh 단위 및 소반단위의 3가지 산림구획방법을 검토하기 위한사례연구에 응용되었다. 정확도가 높은 Cell grouping에 의한 산림구획을 표준안으로 가정하고 분석한연구결과에서 Mesh 단위 방법이 웅용의 용이성과 산림입지에 따른 산림구획 능력으로 인해 향후 적용에 대한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소반단위에 의한 구획방법은 국유림 혹은 공유림에만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각 소반크기의 변이가 커서 현실적인 적용상의 한계가 부각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현식. 1996. 삼림환경정보를 이용한 삼림기능평가와 삼림기능 유형구분. 동경농공대학교 석사논문. 11-25
  2. 이경학, 1995. 산림기능 잠재력 평가 및 분류 시스템, 산림과학논문집 52 : 124-137
  3. 이원열, 주진순, 김사일, 김성일. 1991. 자연휴양림 예정지 적지평가. 임업연구원 연구보고 43 : 71-80
  4. 이진규 등. 1989. 산림의 기능분류 및 평가방법 연구. 임업연구원 시험연구보고서(4-IV) : 21-54
  5. 이천용. 1992. 산림환경토양학. 보성문화사. 183-195
  6. 정영관, 손영모, 이광수, 강진택, 정수영. 1996. GIS기법을 이용한 산림의 다목적 기능 개발. 산림경제연구 4(2) : 15-28
  7. 정주상, 김의경, 이헌호, 신웝섭. 1999. 산림기능평가에 관한 연구. 산림청. 216-271
  8. 정주상, 김형호, 차재민. 2001. 공간분석모델링에 의한 산지의 토사붕괴방재기능 적합도 평가. 한국임학회지 90(4) : 535-542
  9. 최경 등. 1982. 산사태발생원인에 관한 연구. 임업시험장 연구보고 29 : 7-31
  10. 高見寬. 1990. 開發と水文環境アセスメント技法. 鹿庸出版會. 6-19, 71-72
  11. 鄭躍軍 . 南雲秀次郎. 1994 GISを利用した 森林機能によゐ 類型區分. 日林誌 76(6) : 552-530
  12. Burrough, P.A. 1986. Principle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for Land Resources Assessment.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 50
  13. Saaty, T. L. 1980. The Analytic Hierachy Process. Mcgraw-hill, New York, 2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