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status measure for the elderly

한국형 노인 건강 상태 평가 도구의 개발

Shin, Ho-Cheol;Kim, Cheol-Hwan;Cho, Be-Long;Won, Jang-Won;Song, Sang-Wook;Park, Young-Kyu;Yun, Young-Ho;Chung, Seung-Pil
신호철;김철환;조비룡;원장원;송상욱;박영규;윤영호;정승필

  • Published : 20020000

Abstract

Background: According to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health dimensions and its consisting items contents, valid and useful health status assessment tool for the elderly is rare. Because of the continuous increase in elderly population with functional disability in Korea, the need for a valid Korean health status assessment tool for the elderly is growing. Therefore, we have attempted to develop a Korean Health Status Measure for the Elderly in this study. Methods: We gathered important health related items from 671 individuals aged 60 years and over to form item pool with interview. Then we classified all items into representative items according to its meaning with the experts in geriatrics. With these representative items we constructed a preliminary questionnaire. After wards we performed a pilot study for evaluation understandability, accessibility, item analysis, reliability and for detecting other modifiable limitations. After completing the pilot study we finally developed the Korean Health Status Measure for the Elderly(KoHSME V1.0). Results:The number of collected health related items were 2,500 in the item pool. After classification of items in the pool, 40 representative items were selected for constructing preliminary version of the KoHSME. And we added 3 items of 'general health perception' dimension to 40 common representative items to construct a preliminary version of the KoHSME. It took an average of 18.8 minutes to complete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by the elderly in the pilot study. Most responders(90.9%) thought the questionnaire was not difficult to understand. After the pilot study we added 2 items (wearing clothes, pain frequency) and omitted 1 item (eating). Finally, the KoHSME V1.0 questionnaire consisted of 44 items and 6 domains such as physical function, emotional function, social function, pain sexual function, and general health perception. All items were Likert scale except pain intensity item, which was visual analogue scale. Conclusion: The KoHSME V1.0 to assess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for the Korea elderly was developed. We think the KoHSME V1.0 is a reliable instrument for assessing health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After documenting the validity, the KoHSME v1.0 can be a useful tool for comprehensive assessment of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and for the medical outcome study.

연구배경: 일차 의료 영역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의 평가는 포괄적인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한 도구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노인들은 다른 연령층의 성인들에 비해서 만성 퇴행성 질환의 유병률이 놓아 상대적으로 건강상태가 나쁠 가능성이 높다. 그렇지만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건강 상태 평가 도구들은 노인들의 건강 상태를 정확하게 평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점점 늘고 있는 노인 연령층에서 널리 사용할 수 있는 건강 상태 평가 도구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이 연구를 통해서 노인을 위한 한국형 건강 상태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자 했다. 방법: 가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60세 이상의 노인 환자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통해서 건강 상태의 변화로 나타나는 일상적인 기능상의 변화 항목을 수집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의 측면에서 건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항목 집단을 구성하였다. 이 항목 집단에서 대표 항목을 설정하고 그 중에서 다빈도 항목들과 다빈도 항목은 아니지만 노인 건강 상태 평가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항목들, 그밖에 항목 집단에서는 얻어지지 않았지만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추가 항목을 결정하여 예비조사용 기초 설문을 작성하였다. 이 기초 설문을 이용하여 60세 이상의 노인 한자 및 건강한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의 용이성 평가, 항목 분석과 신뢰도 평가를 위한 예비 조사를 실시한 다음 항목 내용과 형식을 수정 및 보완하여 한국형 노인 건강 상태 평가 도구 (KoHSME V1.0)를 개발하였다. 결과: 671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165 종류의 2,500개 항목으로 이루어진 항목 집단을 설정하였다. 이 항목 집단에서 54종류의 대표 항목을 정리하여 예비 조사용 기초 설문의 항목으로 40개의 다빈도 항목을 선정하였다. 전문가 집단과의 토의를 통해서 다빈도 항목 이외에 '전반적인 건강 상태 인식'에 해당하는 3개 항목을 추가하여 총43개 항목의 예비조사용 기초 설문을 작성하였다. 예비 조사 결과 설문 작성 시간은 평균20분 미만이었고, 설문 내용에 대해서도 이해하기 어렵다는 응답이 9.1%정도로 사용의 편리성과 이해도는 만족할 만 했다. 항목간의 상관관계나 추정 영역의 내적 일치도 신뢰도는 높게 나타났다. 예비 조사결과 '통증' 항목, '옷 입기' 항목의 보완 등이 지적되어 노인 건강 상태 평가 도구의 최종판에는 이를 반영했다. 이렇게 해서 개발된 한국형 노인 건강 상태 도구는 모두 6개 영역의 총 44개 항목으로 이루어진다. 한국형 노인 건강 상태 평가 도구는 시각 척도(Visual analogue Scale)로 제작한 통증 항목을 제외하고는 모든 항목을 5개의 반응 선택을 갖는 Likert 척도로 제작하였다. 노인들의 시력 저하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설문은 14포인트의 활자체로 이루어지며, 응답의 반응성을 높이기 위해 각 항목마다 모두 반응 선택을 제시하였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한국형 노인 건강 상태 평가 도구(KoHSME V1.0)는 향후 일차의료 영역에서 노인 환자들의 포괄적인 건강 상태 평가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의료 중재 수단의 결과 연구의 지표로서 이용할 수 있고, 국가의 노인 보건 정책의 입안을 위한 기초 자료조사 및 결과 평가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