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chool Vision Screening for 3 to 6-Year Old Children in Seoul

서울시 만 3세에서 6세 사이의 취학 전 아동에 대한 시력검진

Kim, Kwon-Il;Ahn, Sang-Ki;Koo, Bon-Sool;Kim, Shin-Ja
김권일;안상기;구본술;김신자

  • Published : 20020400

Abstract

Purpose : To prevent permanent visual disturbance, we performed a mass screening for the detection of ocular disorders of preschool children. Methods : Ocular examination was performed on 33,955 children in Seou(3~6 years of age)l,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to December, 2000. 435 children were shown to have either visual acuity of less than 0.5 or anisometropia of over 2 lines. Detailed Eye examination. was conducted on those 435 children. Results : Diagnoses consisted of refractive errors in 325(74.7%), amblyopia in 91(20.9%), strabismus 21(4.8%) and anterior segment abnormalities in 34(7.8%). Among th types of refractive errors, hyperopic astigmatism 98(30.4%) was the most common type. Astigmatism was combined with all other types in 257(79.9%) children. In cases of strabismus, exotropia was 12(57.1%) and esotropia was 4(19.0%). Refractive error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amblyopia(88(96.7%)). Conclusions : To prevent and treat amblyopia or strabismus, easily detection and adequate care at preschool age seemed to be very effective. Participation rate for this mass-screening of eye disease during preschool age will be more increased by efforts of constitutional support and parental coperation.

목적 : 취학 전에 안과적인 집단검진을 통해 조기에 안과적 이상을 발견하여 조기치료를 가능케하여 영구적인 장애를 예방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2000년 1월부터 12월까지 한국실명예방재단과 보건복지부 보건정책국의 지원으로 각 시, 도 보건소를 통해 전국적으로 만 3세에서 6세사이의 취학 전 아동에 대한 안과검진을 실시하여 그 중 서울시 거주 33,955명에 대한 1, 2차 집단검진에서 시력이 0.5 미만이거나 양안의 시력차가 2줄 이상인 경우, 그리고 안과적 이상증상을 보인 435명의 아동에 대한 정밀 검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정밀검사를 받은 435명 중 굴절이상은 325명(74.7%), 약시 91명(20.9%), 그리고 사시 21명(4.8%)의 이상을 보였으며, 굴절이상은 원시성 난시가 98명(30.4%)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으며, 굴절이상을 보인 아동의 257명(79.9%)에서 난시를 동반하였다. 사시의 경우 외사시가 12명(57.1%), 내사시가 4명(19.0%)으로 나타났으며 약시는 굴절이상이 그 원인인 경우가 88명(96.7%)으로 가장 많았다. 결론 : 취학 전 아동에서 안과 질환에 대한 조기발견과 치료는 영구적인 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임으로 장차 이러한 전국적인 집단검진과 사회적인 제도의 뒷받침 그리고 부모들과 보건의료인의 관심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Ehrlich MI, Reinecke RD, Simons K. Preschool vision screening for amblyopia and strabismus. Programs, Methods, 1983. Surv Ophthalmol 1983;28:145-65. https://doi.org/10.1016/0039-6257(83)90092-9
  2. 남세현, 김창헌, 박성희, 신환호. 취학전 유치원생에 대한 안과검진. 한안지 1990;32:1089-1095.
  3. 유영석, 김상민, 권정윤등. 한안지 1991;32:1092-6.
  4. 김준수, 장용, 오숙, 지남철. 취학전 아동의 안과검진. 한안지 1993;34:790-8.
  5. 박형복, 박성희, 신환호. 집단검진으로부터 의뢰된 만 4, 5세 아동의 안과적 정밀검사의 분석. 한안지 1997;38:1244-1254.
  6. Duke-Elder S, Wybar K. Ocular motility and strabismus. St Louis: CV Mosby, 1973: 294.
  7. Nelson LB. Strabismus disorders. In : Harley, Calhoun, Nelson ed. Pediatric Ophthalmology, 3rd ed. Philadelphia: W.B. Saunders, 1991; 128-75.
  8. Vaughan, Asbury, Riordan-Eva. General Ophthalmology, 13th ed. Appltone and Lange, 1992;231-53.
  9. 진용한. 사시학, 개정판, 울산대학교출판부, 1999;205-8.
  10. Samuel G. J, Indra M, Richard H. Visual acuity of infants with ocular diseases. Am J Ophthalmol 1982;93:198-209.
  11. Romano PE. Preschool vision screening starts at 6 months of age. Arch ophthalmol 1988;106:307-15. https://doi.org/10.1016/0002-9394(88)90366-2
  12. Oliver M, Neumann R, Chaimovitch Y, Gotesman N, Shimshoni M. Compliance and results of treatment for amblyopia in children more than 8 years old. Am J Ophthalmol 1986;102:340-5.
  13. Roland G, Anne B. Amblyopia. Principles and practice of ophthalmology, 2nd ed. Philadelphia: W.B. Saunders, 2000;4340-58.
  14. Fulton AB, Dobson V, Salem D, et all. Cycloplegic refractions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Am J Ophthalmol 1980;90:239-47.
  15. Gwiazda D, Scheiman M, Mohindra I, Held R. Astigmatism in children changes in axis and amount from birth to six years. Invest Ophthalmol Vis Sci 1984;25:88-92.
  16. 홍순각, 김성덕, 이장우. 학동의 굴절상태. 한안지 1967;8:7-10.
  17. 森實秀子, 湞須純之助. 町田市て試行した幼兒の眼科檢診つ いて. 日本の眼科 1987;58:383-9.
  18. 湞須純之助, 午興司. 東京都多摩地區における三歲兒視力檢 診の實積. 日本の眼科 1990;61:1289-94.
  19. 河本良平, 富山昭三. 奈良縣ての3歲健康診査の現況. 日本の 眼科 1993;64:405-408.
  20. Palmer EZ et al. Amblyopia, Prepared by the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Quality of care committee: Pediatric Ophthalmology Panel, 1992;1-24.
  21. Von Noorden GK. Amblyopia, Amultidiciplinary approach. Invest Ophthalmol Vis Sci 1985;26:17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