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linical research of tsutsugamushi disease occured in and around Jeoung-up in the autumn of 2000

2000년 가을 정읍 및 인근지역에서 발생한 쯔쯔가무시병의 임상조사

Kim, Heyon-Sook;Jo, Kwan-Ho;Kang, Sang-Gun;Cha, Mann-Jin;Hwang, Hye-Hun
김현숙;조관호;강상건;차만진;황혜언

  • Published : 20020000

Abstract

Background: In korea, tsutsugamushi disease in one of the common diseases which occurs in more than 40% among acute febrile diseases during Autumn. The diagnosis is confirmed with Rickettsia tsutsugamushi antibody, and is characterised by fever, chill, headache, myalgia, skin rash, escha and lymphadenopathy. Methods: We have conducted a survey on 16 clinically and serologically confirmed cases of Tsutsugamushi disease occurring during the period of October-November, 2000. Results: Of 16 cases, 7 were males and 9 were females with an average age of 57.75. Most patients had fever, chill, headache, myalgia, sore throat, conjunctival injection, cough, abdominal, pain, nausea, vomiting, hematuria in order of frequency. The physical findings were eschar (81.25%) and skin rash (62.5%). Serologically 7 cases (43.75%) of 16 cases were confirmed positively R.tsutsugamushi antibody. General hematologic findings were decreased platelet count (37.5%), increased or decreased WBC (31.25% and 25% each other), and anemia (25%). Test for liver function included elevated AST, ALT (68.75%), alkaline phosphatase (62.5%), hypoalbuminemia (12.5%), and hyperbilirubinemia (6.25). Urinanalysis showed hematuria (50%), proteinuria (50%), and pyuria (12.5%). Doxycycline therapy decreased fever in 2.85 days and after 5-6 days patients were discharged with improvement of almost all symptoms. Conclusion: Primary care physician in a community should always consider tsutsugamushi disease when he encomunters patients with acute febrile disease in late Autumn and early winter and expect good prognosis with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연구배경: 쯔쯔가무시병은 우리나라에서 1986년 처음으로 R. tsutsugamushi에 대한 항체가 증명된 후 가을에 발생하는 급성열성질환의 약 40%이상을 차지하며, 감염된 진드기유충에 물렸을때 감염되며 발열과 오한, 두통, 근육통의 증상 및 가피, 발진, 임파선 증대등의 임상소견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열성질환이다. 방법: 2000년 10월 11월사이에 전북 정읍시 및 인접 농촌지역에서 발병했던 급성열성 질환자 중 임상적 및 혈청학적으로 쯔쯔가무시병이 확인된 1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성별로는 남자가 7예, 여자가 9예로 여자환자가 많았으며 평균연령은 57.75세였다. 모든 환자가 고열 및 오한, 두통이 있었으며 그외 근육통, 인후부 동통, 결막충열, 기침, 복통, 오심구토, 혈뇨 등의 빈도를 나타냈으며, 가피형성은 81.25%에서 관찰되었고 피부발진은 62.5%에서 관찰되었다. 검사결과 혈청학적으로 R.tsutsugamushi Ab 양성은 16예증 7명으로 43.75%의 양성률을 보였다. 일반혈액검사상 혈소판 감소(37.5%), 백혈구 증가(31.25%) 또는 감소(25%), 빈혈(25%)이 관찰되었고 간기능검사상 AST, ALT증가(68.75%), ALP증가(62.5%), 저알부민증(12.5%), 과빌리루빈혈증(6.25%)가 관찰되었다. 뇨검사상에서는 혈뇨, 단백뇨가 각각 50%씩 농뇨가 12.5% 관찰되었다. 치료는 doxycycline을 투여 후 약 2.85일에 해열되어 증상개선 후 5-6일경에 퇴원한 예가 가장 많았다. 결론: 농촌지역에서 일차진료를 담당하는 가정의는 늦가을과 초겨울에 급성열성질환인 쯔쯔가무시병을 흔히 접할 수 있으므로 항상 염두에 두고 임상적 및 혈청학적으로 쯔쯔가무시병을 조기에 진단하고 조기에 치료함으로써 좋은 예후를 기대하도록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Abraham.I.Braude. Infectious disease and medical biology. 2nd ed.Philadelphia: W.B.Saunders Compony, 1986: 1242
  2. 정희영. 쯔쯔가무시병(tsutsugamushi disease)의 역학. 감염 1986;18:85-9
  3. Tamya T. Recent advances is studies of tsutsugamushi disease in Japan. Tokyo: Medical Culture Inc. 1962
  4. Gorbach SL. Bartlett JG. Blacklow NR. Infectious disease. Philadelphia: Saunders. 1992: 1654-6
  5. Munro-Faure Ad, Andrew R, Missen GAK, Mackay -Dick J. Scrub typhus in korea. J Royal Army Med Corps. 1951;97(3) :227-9
  6. 전종휘, 정희영 이용진. 한국 양충병 (tsutsugamushi disease)에 대한 연구(제1보). 종합의학 1965;10(12) :1248-52
  7. 정희영. 국내 발생이 가능한 감염질환-Rickettsia 감염증. 감염 1985;17(2) :89-93
  8. Jackson EB, Danauskas JK, Smadel JE, Fuller HS, Coale MC, Bozeman FH. Occurrence of Rickettsia tsutsugamushi in Korean rodents and chiggers. Am J Hyg 1957;66:39
  9. 이정상, 안규리, 김윤권. 이문호. 국내 상주 한국인에서 처음으로 확진된 쯔쯔가무시병 9예를 포함한 Rickettsia 감염. 대한의사협회지 1986;29(4) :430-8
  10. 이강수, 정윤섭, 권오현, 이삼열, 우지이에 아쯔오. 쯔쯔가무시병으로 규명된 진해지방에서 발생하던 발진성 질환. 대한미생물학회지 1986:21(1) : 113-20
  11. 장우현, 강재승. 환자에서 Rickettsia tsutsugamushi의 분리. 대한의학협회지 1987;30(9) :999-1008
  12. 장우현. 우리나라 쯔쯔가무시병의 발생 양상과 R. tsutsugamushi의 원형의 분포. 대한의학협회지 1988:31(6) :601-9
  13. 윤방부. 임상가정의학, 서울;수문사. 1991;300
  14. 정희영, 전종휘. 감염질환 1판, 수문사 1987
  15. 장경문, 강문호, 양영선, 황홍곤, 이광평, 이정상 등. 혈청학적으로 확진된 쯔쯔가무시병 20예의 임상적 고찰. 대한의학협회지 1987:30(6) :638
  16. 이강수. 진해지방에서 발생한 쯔쯔가무시병의 임상상 감염 1986;18:93-7
  17. 김영기, 김준명, 김웅, 정동균, 함영환, 홍천수. 1987년 가을 서울. 경기지역에서 발생한 쯔쯔가무시병 18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감염 1988;20(2) : 93-103
  18. 이호왕, 주용규, 최경열, 김연수, 김민자, 박승철, 전성주. 1985년 한국에서 발생한 Scrub Typhus 환자의 혈청진단 및 임상역학적 조사. 감염 1988;20(2) :83
  19. 최동성, 이광훈, 박진현, 신계철, 조한선, 심영학 등. 1988년 가을 강원도 영서지역에서 발생한 쯔쯔가무시병 24예의 임상적 관찰. 대한내과학회잡지 1984;37(3) :362
  20. Osterman JV, Eiseman CS. Rickettsia. In:Rose NR and Friendman H, Editor. Manual of clinical immunology. 2nd ed. Washington D.C.: Am Soc Microbiol. 1980;707
  21. Yamamoto S, Minamishima Y. Serodiagnosis of Tsutsugamushi fever (Scrub typhus) by the indirecr immunoperoxidase technique. J clin Microbiol 1982; 15(6) :1128-32
  22. Walker DH. Biology of rickettsial disease. Vol 1. 1st edition. Florida:CRC press. 1988:98
  23. Neu HC. General concepts on the chemotheraphy of infectious diseases. Med Clin N Am 1987;71(6):1501
  24. 오수용, 정문현, 오세진, 손민수, 안승운. 쯔쯔가무시병에서 Ciprofloxacin, Pefloxacin, Doxycycline의 치료 효과 비교. 감염 1995;27(2):193-8
  25. Li XF Yu ES. Therapy of scrub typhus with doxycycline. In proceedings of the First Chinese National Symposium on Rickettsiae, Chlamydiae, and Toxoplasmae Infection. Chinese Journal Epidemiology-Press 198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