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al Effects for Self-Guided Interpretive Panels - With a Special Reference of Hongnung Arboretum -

자기안내식 환경해설판의 기능 효과 분석 - 홍릉수목원을 중심으로 -

Son, Jong-Eun;Song, Hyung-Sop
손종은;송형섭

  • Published : 20021200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functional effects for self-guided environmental interpretive panels with a special reference of Hongnung Arboretum in Seoul. For the this study, 30 measurement items were designed from previous interpretation effect studies. The field survey was performed at 5 Sunday from July to September, 2000. A total of 377 respondents were interviewed in the end site of interpretive trail course. A 5-point Likert Scale was used to record the answers. From the analysis on reliability of 30 functional effects items utilized in this research, it has been proved that these are highly appropriate data. In the survey of Interpretive Panel's 30 items,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was highly helpful in new experience, understanding of nature environment importance. and good quality of recreational experience. etc.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30 items were classified 5 functional effects as new self-actualization, enjoyment of beautiful nature, recognition of useful forest values, acquirement of new knowledge, and promotion of forest and nature interest. From analysis on relation with visit satisfaction, these functional effects of self-guided environmental interpretive panels were affected to increase visit satisfaction level.

본 연구는 방문 이용이 활발한 서울 홍릉수목원내에 설치된 자기안내식 환경해설판의 기능 효과 정보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기존 해설 기능 효과 연구들을 참조하여 30개 환경해설의 기능 효과 항목을 설정하였다. 설문조사는 2000년 7-9월. 일반인에게 개방이 허용되는 일요일을 통해 5회 실시되었다. 분석자료는 환경해설판이 설치된 해설 코스 종점에서 환경해설판의 이용객을 대상으로한 직접면접방법을 이용하여 377명의 유효한 응답자료를 이총하였다. 5점 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된 30개 기능 효과 항목에 대한 높은 신뢰성이 인정되었으며, 응자자들의 반응 평가 결과 '일상과의 다른 분위기 체험', '자연괄경의 중요성 인식', '양질의 휴양 경험' 등 전 항목에 걸쳐 높은 기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환경해설판의 기능 가치 효과는 크게 '새로운 자아 발견 기능', '아름다운 자연 향유 기능'. '숲의 유용 가치 인식 기능', '새로운 지시 충족 기능', '숲과 자연의 흥미 유발 기능'의 5가지 기능 효과로 설명될 수 있었다. 방문 이용 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결과 각 기능 효과 공히 방문 이용 만족도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공원관리공단. 1999. 국립공원 자연학습 탐방프로그램 및 자연해설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자연학습탐방로 조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국립공원관리공단. 327pp.
  2. 김상윤. 2001. 자연체험학교 프로그램의 운영 체계 및 기능 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5(4) : 47-57
  3. 김연가. 1995. 중학생의 환경보전의식 및 행동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2pp
  4. 김정은. 1991. 환경교육에 관한 연구-초 . 중학교 사회교육과교육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2-43
  5. 김진선, 홍수용. 2000. 국립공원 환경해설 프로그램. 한국공원휴양학회지. 2(2) : 122-129
  6. 동북아산림포럼. 2000. 홍릉수목원 숲해설로 개발 및 해설 교재 제작. 94pp
  7. 서태양, 이주회, 이충기. 2000. 석굴암 . 불국사의 방문객 해설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논문집 21 :259-280
  8. 손종은, 송형섭. 2000. 자기안내식 환경해설판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4(3) : 43-54
  9. 송대효, 박석회. 2000. 환경정보제공이 방문자의 환경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원휴양학회지 2(1) : 70-79
  10. 송형섭, 김성일. 2001. 환경해설물 이론과 실무. 충남대학교 출판부. 114pp
  11. 이명진. 1999. 관광자원 교육성의 측정척도 개발 및 관광자 만족과의 관련성 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29
  12. 이수옥, 박석회. 2000. 관광자의 환경지식이 환경태도와 친환경행동에 미치는 영향-북한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한국공원휴양학회지 2(1) : 40-50
  13. 이종수. 1999. 국립공원 환경해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용자 특성에 판한 연구 -북한산국립공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pp
  14. 우수명. 2001. 마우스로 잡는 SPSS 10.0. 361pp
  15. 전경수. 1999a. 내장산 국립공원지역의 환경 해설판에 의한 해설 기능 평가. 원광대 생명지원연구 21 : 104-109
  16. 전경수. 1999b. 환경해설판의 해설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산림휴양학회지 3(1&2) : 29-38
  17. 전영우, 김상윤, 류창회, 박봉우. 1999. 숲체험 프로그램. 수문출판사. 315pp
  18. 황영현, 1996. 산림휴양객을 대상으로 한 ' 스스로 알아보는 환경해설의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pp
  19. 홍두승. 1992. 제 2판 사회조사분석. 서울대학교. p.285-304
  20. 홍성문. 1999. 북부내장산 국립공원 환경해설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양대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8pp
  21. Cable, Ted T. , Knudson, Douglas M. and Theobald William F. 1986.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to evaluation of interpretation. Journal of interpretation 11(1) : 11-25
  22. Hammitt, W. E. 1984. Cognitive Processes Involved in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5(4) : 11-15 https://doi.org/10.1080/00958964.1984.9942685
  23. Ham, S. H. 1992.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North American Press. 456pp
  24. Medlin , N. C. and S. H. Ham. 1992. A handbook for evaluation interpretive services. USDA Forest service. Ogden. p. 51
  25. Mullins , G. W. 1984. The changing role of interpreter,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5(4) : 6-10 https://doi.org/10.1080/00958964.1984.9942684
  26. Regnier K. , M. Gross and R. Zimmerman. 1994. The Interpreter's Guidebook. UW-SP Foundation Press , Inc. 101pp
  27. Wagar, J. A. 1978. Why interpretation? Journal of Interpretation 3(1) : 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