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Industrial Service Employees

서비스직 근로자의 감정 노동과 우울 수준

Kim, Soo-Youn;Chang, Sei-Jin;Kim, Hyoung-Ryoul;Roh, Jae-Hoon
김수연;장세진;김형렬;노재훈

  • Published : 20020900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industrial service employees. Methods: The case group consisted of 331 employees who were performing emotional labor at department stores, hotels, and family restaurants in Seoul. The control group in this study consisted of 150 employees (90 officers in Seoul and 60 manufacturing workers in Incheon) who were not expected to perform emotional labor.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estimate each participants level of emotional labor, general characteristics, job content, job satisfaction, and any depressive symptoms. The measurements for emotional labor were performed only on the case group and not the control group. Results: While the mean values of job satisfaction, job insecurity, and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of the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the area of emotional labor were higher than the others, the mean values of job demand, and job control in the same group were lower than those who were not performing emotional labor. Overall, it was found that performing emotional labor and having high levels of job insecurity were related to increased depressive symptoms, and conversely, job satisfaction played a role in reducing depressive symptoms. Similarly, in the sub-sample of the emotional labor group, high levels of job insecurity, and performing high degrees of emotional labor, and low job satisfaction were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forming emotional labor is related to an increase in depressive symptoms. In other words, involuntary emotional expression and low job satisfaction in the workplace may influence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in workers. It is, therefore, imperative that further research be undertaken, which considers the importance of emotional labor, and its adverse effect on the mental health of service workers.

목적 : 본 연구는 조직의 규범화된 감정표현 규칙을 통해 감정 노동을 수행하는 서비스직 근로자들과 감정노동을 수행하지 않는 근로자들 대상으로 우울 수준의 정도를 비교하고, 감정 노동이 우울 수준과 어떠한 관련성을 보이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서울의 백화점, 호텔, 외식업체에서 대면접객 서비스를 수행하는 331명의 감정 노동군과 서울의 한 공공기관의 사무직 근로자 90명, 인천의 한전자제품 조립공장의 생산직 근로자 60명의 총 150명의 비감정 노동군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직무 긴장도 및 직업불안정성, 직무만족도, 감정 노동, 우울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첫째, 감정 노동군이 비감정 노동군에 비해 직업불안정성과 우울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직무만족도와 직무요구도, 직무자율성은 비감정 노동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감정 노동군에서 우울 수준은 직무요구도, 직업불안정성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직무자율성, 직무만족도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감정 노동정도는 직무요구도와 우울 수준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직무자율성 및 직무만족도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 셋째, 감정 노동군과 비감정 노동군을 전체 대상자로 하여 분석한 결과, 감정 노동을 하고 직업불안 정성의 정도가 클수록, 그리고 직무 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았다. 넷째, 감정 노동군에서는 직무에 대한 안정성이 낮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낮을수록, 그리고 감정 노동 정도가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았다. 결론 : 감정 노동군이 비감정 노동군과 달리 감정노동을 수행함으로써 우울 수준이 더 높았으며, 이는 감정의 표현이 개인의 자발성으로부터 표출되는 것이 아닌 외부의 힘에 의해 강요된 노동으로 나타나는 경우 그 것 자체가 개인의 우울 정도와 관련이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낮은 직무만족도 역시 우울 수준의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감정 노동 수행 근로자들의 우울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기업 이윤의 균등 분배, 근로자들의 복지제도 향상, 직무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의 개발 등을 통해 근로자들의 높은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제도적 보완장치가 절실히 요청되며, 그 동안 부수적(complementary) 형태의 노동, 혹은 인격과 같은 개인적 차원의 문제로 축소되거나 은폐되어왔던 감정 노동을 하나의 노동과정으로 새롭게 인식하는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미라. 노동과 페미니즘.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0.
  2. 박홍주. 판매여직원의 감정노동에 관한 일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3. 서동효. 호텔직원의 직무스트레스에 과한 실증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4. 안준수. 서비스 종사원의 감정노동에 따른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5. 윤세준, 김상표, 김은민. 감정노동. 조직의 감정표현 규범에 관한 질적 연구. 산업노동연구 2000;6(1) :215-254.
  6. 이성식, 전신현 역. 감정사회학. 서울: 한울아카데미 1995.
  7. 조맹제, 김계희. 주요우울증 환자 예비평가에서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1993;32(3) :381-399.
  8. 하정. 정서표현 성향과 스트레스 평가 및 대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9. 허지훈. 조직특성, 감정 노동, 종업원 직무태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0. Ashforth BE, Humphrey RH. Emotion in the workplace: a reappraisal. Hum Rel 1995;48(2) :97-125. https://doi.org/10.1177/001872679504800201
  11. Ashforth BE, Humphrey RH.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Acad Manage Rev 1993;18(1) :88-115. https://doi.org/10.2307/258824
  12. Hochschild AR. The Managed heart. 1st ed. Berkeley &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13. Karasek RA. Job demands, job decision latitude, and mental strain: Implication for job redesign. Admin Sci Q 1979;24(2) :285-308. https://doi.org/10.2307/2392498
  14. Leinder R. Emotional labor in service work. Ann Am Acad Polit Soc Sci 1999;561:81-95. https://doi.org/10.1177/0002716299561001006
  15. Martin J, Knopoff K, Beckman C. An alternative to bureaucratic impersonality and emotional labor: Bounded emotionality at the body shop. Admin Sci Q 1998;43(2) :429-469. https://doi.org/10.2307/2393858
  16. Morris JA, Feldman DC. The dimens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 Manag Rev 1996;21(4) :986-1010. https://doi.org/10.2307/259161
  17. Ostell A. Managing dysfunctional emotions in organizations. J Manage Study 1996;33(4) :525-557. https://doi.org/10.1111/j.1467-6486.1996.tb00167.x
  18. Rafaeli A, Sutton RI. Expression of emotion as part of the work role. Acad Manage Rev 1987; 12(1) :23-37. https://doi.org/10.2307/257991
  19. Steinberg RJ, Figart DM. Emotional labor since the managed heart. Ann Am Acad Polit Soc Sci 1999;561:8-26. https://doi.org/10.1177/0002716299561001001
  20. Sutton RI. Maintaining norms about expressed emotions: the case of bill collectors. Admin Sci Q 1991;36(2) :245-268. https://doi.org/10.2307/2393355
  21. Wharton AS. The affective consequences of service work: Managing emotions on the job. Work Occup 1993;20(2) :205-232. https://doi.org/10.1177/073088849302000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