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ree Dimensional Thermal-Elastic Plastic Analysis of GMAW Considering the Melting of Weld Bead

비드의 용용상태를 고려한 가스메탈 아크용접의 3차원 열탄소성 변형 해석

  • 이장현 (서울대학교 공학연구소) ;
  • 신종계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해양시스템공학연구소) ;
  • 김지훈 (한국 IBM PLM 사업본부)
  • Published : 2002.02.01

Abstract

Welding is essential in ship production since welding is very popular method for joining two or more metals. However, welding causes residual stress and distortion and these give a bad influence to the structure strength and assembly of ship blocks. Therefore, prediction and treatment of residual stress and distortion is a key to accuracy control in shipyard. In this paper, a computational procedure, based on thermal-elastic-plastic 3-dimensional FEA, has been suggested to simulate butt and fillet welding process. In the simulation process, temperature distribution at each time step is obtained by heat transfer analysis and then thermal deformation analysis is done with obtained temperature distributions to find the residual stress and distortion. In heat transfer analysis, enthalpy method is used to realize phase change at melting temperature. Also element birth and death method is used to simulate adding of weld metal in both heat transfer analysis and thermal elastic plastic analysis. The proposed procedure is verified by related researches and the results show good agreement with those of related researches.

용접법은 선박 생산 공정에 있어서 금속 접합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용접은 금속 접합을 위해 유용한 방법이지만 국부적 가열, 용융, 냉각으로 이어지는 열하중에 의하여 잔류응력과 잔류변형을 발생시킨다. 잔류응력은 구조물의 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잔류변형은 조립 작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그러므로 역학적 방법에 의한 잔류응력과 잔류변형의 예측은 이들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작업 전에 제시할 수 있도록 하므로, 선체 강도 확보와 선박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배경에서 용접 현상을 가장 잘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방법인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3차원 열탄소성 해석을 이용하였다. 열탄소성 해석을 위하여 온도분포를 계산한 후 계산된 온도분포를 이용하여 용접변형 및 응력을 순차적으로 계산하였다. 온도분포 계산을 위하여 용융과정을 엔탈피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며, 용접비드의 용입은 요소생성법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해석과정은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실험결과와 정성적으로 일치하는 결과를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병일, 장창두 1997 '판구조물의 열탄소성 해석,'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34권 제1호, pp. 68-76
  2. 김원훈, 나석주 1997 '용접 아크 및 용융 풀의 유동을 고려한 용접부 수치 해석,' 대한용접학회지 제 15권 제1호, pp. 26-34
  3. 노재규, 신종계 1999 '자중과 용접변형을 고려한 평블록 조립 시뮬레이션,' 대한조선학회 논문집, 제36권 제3호, pp. 123-134
  4. 박주용 1995 '퍼지 전문가 시스템을 활용한 적정 용접조건의 설정과 최적화,'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32권 제4호, pp. 136-141
  5. 방한서(1990) '유한요소법에 의한 박판용접의 2차원비정상열전도 해석,' 대한조선학회, 제27권제4호, pp. 43-50
  6. 서승일, 장창두 1990 '적층보 이론을 이용한 1차원 열탄소성 해석,' 대한조선학회논문집, 제27권 제4호, pp. 51-57
  7. 이동욱 1995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GMAW의열탄소성 모델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이장현 1999 '유한요소법과 가변수 해석을 이용한 선상가열 가공조건과 변형량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9. 장창두, 이창현 2000 '선체 블록의 용접변형 예측 및 제어를 위한 연구,' 대한조선학회 논문집, 제 37권 제2호, pp. 127-136
  10. Birk-Sorenson, M. 1999 'Simulation of Welding Distortions in Ship Section,' Ph. D. Thesis, Dept. of Naval architecture and Offshore Engineering,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11. Patel, B. 1985 'Thermo-Elasto-Plastic Finite Element Formulation for Deformation and Residual Stresses Due to Welds,' Ph. D. Thesis, Carleton University, Ottawa, Ontario, Canada
  12. Tekriwal, P. , Mazumder, J. 1991 'Transient and Residual Thermal Strain-Stress Analysis of GMAW,' ASME Journal of Engineering Materials and Technology, Vol.113, pp. 336-343
  13. Ueda, Y. and Yuan, M. G. 1993 'Prediction of Residual Stresses in Butt Welded Plates Using Inherent Strains,' ASME Journal of Engineering Materials and Technology, Vol.115, pp. 417-423 https://doi.org/10.1115/1.2904240

Cited by

  1. Analytical Methodology Obtaining an Optimal Welding Sequence for Least Distortion of Welded Structure vol.31, pp.3, 2013, https://doi.org/10.5781/KWJS.2013.31.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