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Pedestrian Capacity for Walkway

보행자 도로의 용량산정

  • 임정실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
  • 오영태 (아주대학교 환경·도시공학부)
  • Published : 2002.02.01

Abstract

The purpose of in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capacity and to suggest the level of service for pedestrian walkway. To estimate the pedestrian walkway capacity, Pedestrian density and speed were collected at the walkways in the subway station and the sidewalks. The simple linear repression of pedestrian density and speed models were developed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destrian flow rate and the pedestrian spe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 : First. the ranges of capacity for walkway were found minimum 106p/m/m and maximum 126p/m/m. The capacity of walkway was suggested to 106p/m/m for 2001 KHCM. Second, it found that the range of the critical speeds were between 40m/minute and 43m/minute and the range of the critical densities were between 2.65 p/$m^2$ and 2.85 p/$m^2$. Third, the range of level of service are similar to that of the 2,000 US HCM. This study suggests that occupancy, density and speed at Los E use 0.38$m^2$/p, 2.6 p/$m^2$ and 40m/minute respectively.

본 논문은 보행자도로의 용량을 산정하고 서비스수준을 제시하여 보행자도로의 계획 및 설계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보행자도로 시설에 해당하는 사당역내 환승로, 수원역내 환승로 강남역 주변보도, 수원역 주변보도에서 출근시간대 통근·통학을 목적으로 하는 보행자를 대상으로 각각 조사지점의 보행속도와 보행밀도 자료를 수집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보행속도와 보행밀도에 관한 일차 직선식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일차 직선식을 통해 보행교통량과 보행속도에 관한 추정식을 구해 각 조사지점의 용량을 산정 하였다. 산정된 결과를 비교해 보면 환승로가 보도의 용량 값 보다 높게 산정 되었으며, 용량 값의 범위는 106인/분/m 에서 126인/분/m 사이에 분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정 된 보행자도로의 용량 값은 미국 도로용량편람에서 제시한 보행자도로의 용량 값(75인/분/m)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한국인과 미국인의 인체타원의 크기의 차이와 보행시 다른 보행자와의 보행간격을 유지하며 걷는 문화적 타이에 따른 보행간격의 타이가 용량 값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의 차이에 따라 국외 또는 조사지점의 특성이 다소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결과로 제시된 보행자도로의 용량과 서비스수준의 기준은 보행자도로의 계획 및 설계기준을 제시하게 되며, 기존의 보행자도로 시설의 운영상태 분석에 기초자료로 활용되리라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보행목적에 따른 보행교통류 특성에 관한 연구 박동주
  2. 도시보행자 공간 설계를 위한 서비스레벨에 관한 연구 박성현
  3. 도료용량편람 개선연구 2단계 보고서
  4. 도료용량편람 개선연구 2단계 보고서
  5. 보행자의 보행속도 조사 도로교통안전협회
  6. 보행자특성 및 통근 통학자의 보행용량산정에 관한 연구 양경희
  7. 지하철 역사내에서의 보행특성에 관한 연구 이은영
  8. 도심가로의 보행공간 특성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류영후
  9. 보행자의 보행속도 조사 도로교통
  10. Pedestrain Planning and Design Metropolitan Association of urban Designers and environmental planners Fruin
  11. Urban Space for Pedestrain B.Pushkarev;J.H.Zupan;
  12. Special Report Highway Capacity Manual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3. Special Report Highway Capacity Manual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4. TRR Special Report 165 Traffic Flow Theory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