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ducational Need Assessment for Developing Curriculum for Field Epidemiology Specialist Training Program on Infectious Disease

전염병관리 전문요원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사정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ducational need for management of communicable disease prior to developing curriculum for Field Epidemiology Specialist Training Program on Infectious Disease. We sent questionnaires(72 items) to two personnels who were related to communicable disease in each public health center through e-mai and 300 were returned(62.0% of response rate). The subject for education which showed the highest educational need was management(2.31 point), followed by immunization(2.30 point), and the lowest was surveillance(2.10 point). Generally, the educational need was higher in the aspect of attitude or practice than in that of knowledge. The subject which showed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need by job titles were immunization(p<0.01), outbreak investigation(p<0.01), and case management and sanitation(p<0.01).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ble disease management-working duration and educational need. Considering this result, the curriculum should be focused on strengthening the ability for problem-solving especially in management and immunization.

본 연구는 국가의 위기관리 차원에서 실시되는 보건소 전염병 관리 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앞서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것이다. 전국 242개 보건소에서 실제 전염병 관리 업무나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 484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3문항)외에, 전염병 감시체계의 효율적 운영(12문항), 역학조사(11문항), 환자관리 및 방역조치(9문항), 예방접종률 제고(14문항), 관리(15문항), 교육 및 홍보(8문항) 등 7개 영역으로 구성한 설문지를 배부하였는데 300명이 응답하여 62.0%의 응답률을 보였다. 4점 만점 척도에서 전채적으로 2.10점에서 2.31점으로 교육 요구도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가장 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난 영역은 관리영역(2.31점)이며, 가장 낮은 영역은 전염병 감시체계의 효율적 운영(2.10점)이었다. 직종간 영역별 교육요구도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인 것으로는 예방접종률 제고, 환자 관리 및 역학조사, 그리고 환자관리 및 방역조치이며, 전염병관리 업무의 근무연한과 하부영역별 교육 요구도는 역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이번 교육과정에서는 지식 제공은 최소화하고 기존 지식을 활용하여 실제 문제에 직면하였을 때 어떻게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인가에 초점을 두며, 전염병 감시, 역학조사, 예방접종 사업 등을 통해 얻어지는 자료를 처리하거나 분석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평가하는 기술을 습득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보건원. 집단식중독 발생현황. 감염병발생정보지 2000.4
  2. 국립보건원. 1999년도 국내발생 말라리아 특징. 감염병발생정보지 2000.6
  3. 국립보건원. 세균성이질 발생-제주도. 감염병발생정보 2001; 12: 16-17
  4. 국립보건원. 전염병 위기관리 능력 향상을 위한 시.도 및 시.군.구 전염병관리 관계자 교육훈련계획(FMTP). 2001
  5. 김정순, 고민정. 신종 및 재만연 전염병에 대비한 역학의 역할. 한국역학회지 2001; 23(1): 1-22
  6. 노혜옥, 손영모, 박민수. 경기도지역의 건강한 소아와 청소년에서 A형 간염 바이러스의 항체보유율에 대한 역학조사. 소아감염 1997; 4(2): 232-238
  7. 박우영. 학동기아동에 발생한 볼거리유행: 1999년 경기도 여주군 1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8. 최보율, 신영전, 손정일, 기모란, 오용화, 방금녀, 박항배, 김정순, 최인숙. 볼거리 유행에 대한 역학조사: 경기도 화성군의 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한국역학회지 1995; 17(1): 105-114
  9. 최보율. 한국의 바이러스 간염 현황과 관리. 한양대학교 지역사회보건연구소 국제심포지엄, 1998
  10. 최보율. 1998년의 세균성이질 유행에 관한 고찰. 한양의대학술지 1999; 19: 4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