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Structure of the Ridge Area in the Cheongoksan, the Baekdudaegan

백두대간 청옥산지역 능선부의 식물군집구조

  • Published : 2002.03.0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forest structure and to suggest the basic data of forest in the Cheongoksan and near the ridge area, the Baekdudaegan, thirty-five plots were set up and survey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lassification by TWINSPAN, the community was divined by four groups of Quercus mongolica-Fraxinus rhynchophylla(I). Q. mongolica-Acer pseudosieboldianum(II). Q. mongolica-Tripterygium regelii(III), and Q. mongolica-Rhododendron schlippenbachii community(IV). The structure of communities were investigated using importance value by layer. The survey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1) the results of annual ring analysis revealed that the age of forest in the Cheongoksan was about 30~150 years old, 2) number of the average species was 6.5$\pm$1.8 and number of average individuals was 68.3$\pm$39.9 per a plot(100$m^2$).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anticipated that Q. mongolica stand will be old-growth forest because they do not have competitor species and a specific ridge environment.

백두대간 중 청옥산 능선부주변의 삼림군집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35개 조사구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 기법 중 하나인 TWINSPAN을 이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한 결과, 모두 신갈나무 우점종인 가운데 부 수종으로 군락 I은 물푸레나무. 군락 II는 당단풍, 군락 III은 미역줄나무, 군락 IV는 철쭉꽃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각각의 군락은 층위별 상대우점치를 이용하여 군집구조를 밝혔다. 연륜분석결과 청옥산 능선부 지역의 신갈나무의 임령은 약 30~150년 이상으로 밝혀졌다. 단위면적당(100$m^2$) 평균출현종수는 6.5$\pm$1.8종, 평균출현개체수는 68.3$\pm$39.9주이었다. 이상의 분석결과 청옥산 능선부의 신갈나무림은 노령임분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 (1991) 한국기후표 제2권 - 월별평년값(1961-1990). 기상청 ,418쪽
  2. 박인협. 이경재, 조재창(1987) 북한산 지역의 삼림군집 구조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1(1): 1-23
  3. 산림청. 녹색연합(1999) 백두대간 산림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602쪽
  4. 서재철(1999) 백두대간의 환경실태와 문제점. 백두대간의 개념 복원과 관리방향 모색을 위한 심포지엄.23-53쪽
  5. 이경재. 조재창, 이봉수. 이도석(1990) 광릉삼림의 군집구조 ( I ):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방법에 의한 소리봉지역의 식생분석. 한국임학회지 79:173-186
  6. 이경재, 최송현. 조현서, 이윤원(1994) 덕유산국립공원의 삼림군집구조 분석. 응용생태연구 7(2): 135-154
  7. 이경재. 조재창, 최영철(1996) 오대산국립공원 상원사-비로봉지역 노령임분의 군집구조. 환경생태학회지 9(2): 166-181
  8. 임덕순(1999) 백두대간식 산맥표기에 대한 역사 ·지리적 고찰. 백두대간의 개념 복원과 관리방향 모색을 위한 심포지엄 . 1-22쪽
  9. 조재창(1994) 울진군 송광리지역 소나무의 임분구조 및 생장양상과 산불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최송현. 이경재, 김종엽(1998) 울릉도 성인봉지역의 해발고별 식생구조. 환경생태학회지 12(3): 290-296
  11. 최송현, 조현서(2001) 계룡산국립공원 동학사-남매탑구간의 삼림군집구조 분석. 환경생태학회지 14(4):252-267
  12. Curtis, J. T. and R. P. Mc1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13. Hill, M. O.(1979a) DECORANA -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Cornell University, Ithaca, N. Y
  14. Hill, M. O.(1979b)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 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ersity, Ithaca, N. Y
  15. Moir, W. H.(1992) Ecological concepts in old-growth forest definition, In: Proceeding Old-Growth Forests in the Southwest and Rocky Mountain Regions Rocky Mountain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16. Oliver, C. D. and B. C. Larson(1990) Forest stand dynamics. McGraw-Hill, 467pp
  17. Pielou, E. C.(1977)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 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