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he Ridge from Gittaebong to Cheongoksan

깃대봉-청옥산지역 능선부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2.03.0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the conservation strategy of Natural forest at the ridge from Gittaebong to Cheongoksan area 34 plots(10m$\times$10m) were set up with random sampling method. Three groups(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ercus mongolica-Tilia amurensis community. Quercus mongolica-Fraxinus rhynchophylla community)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High positive correlations were proved between Quercus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Pyrus pyrifolia and Viburnum sargentii, Euonymus sachalinensis; Fraxinus sieboldiana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Pinus densiflora;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and corylus sieboldiana var. mandshurica, Rhus trichocarpa Lespedeza bicolor;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Weigela subsessilis and Euonymus sachalinensis, Rhus trichocarpa, Lespedeza bicolor; Rhus trichocarpa and Lespedeza bicolor and high negative corrlations were proved between Quercus mongolica and Tilia amurensis, Acer Pseudo-sieboldianum. Species diversity(H') of investigated area was 0.5981~0.8150.

깃대봉에서 청옥산에 이르는 능선부의 산림생육현황과 군집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34개의 방형구(10m$\times$1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분석한 결과 조사 대상지는 3개의 군집(신갈나무 우점군집, 신갈나무-피나무 우점군집, 신갈나무-물푸레나무 우점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신갈나무와 소나무; 돌배나무와 백당나무, 회나무; 쇠물푸레나무와 철쭉 소나무; 노린재나무와 물개암나무, 개옻나무, 싸리, 철쭉과 진달래; 병꽃나무와 회나무, 개옻나무, 싸리; 개옻나무와 싸리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신갈나무와 피나무 당단풍 등의 수종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0.5981~0.8150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갑태. 김준선. 추갑철(1991) 반야봉지역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구상나무림-. 응용생태연구 5(1):25-31
  2. 김갑태 . 김준선 . 추갑철 . 진운학(1994) 덕유산국립공원 백련사-향적봉지구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7(2): 155-163
  3. 김갑태. 백길전(1998) 설악산국립공원 대청봉-한계령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4): 391-398
  4. 김갑태. 백길전(1998) 태백산 장군봉지역 주목림의 임분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2(1): 1-8
  5. 김갑태, 추갑철. 백길전(2000) 지리산국립공원 명선봉,덕평봉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구상나무군집-.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4): 299-308
  6.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6) 오대산국립공원 두노봉-상왕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분비나무림과 주목림-.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0(1): 160-168
  7.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6) 오대산국립공원 동대산, 두노봉, 상왕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9(2): 147-155
  8.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6) 오대산국립공원 상원사. 비로봉, 호령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한국환경생태학회지 10(1): 151-159
  9.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7) 설악산국립공원 대청봉-소청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0(2): 240-250
  10.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7) 지리산 천왕봉-덕평봉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구상나무림-. 한국임학회지 82(2): 146-157
  11. 산림청. 녹색연합(1991) 백두대간 산림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365-451쪽
  12. 산림청(2001) 임업통계연보(제31호). 220쪽
  13. 추갑철, 김갑태, 김정오(2001) 계룡산국립공원 자연보전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4): 287-295
  14. 추갑철. '김갑태. 백길전(2000)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 지대의 구상나무림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1): 28-37
  15. 추갑철. 송재철. 김정오. 민재기(2001) 제암산자연휴양림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진산대 산업과학기술연구소보 8: 240-250
  16. Ludwig, J.A. and J.F. Reyolds(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377pp
  17.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68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