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ntification of Inform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earching Value Types of Internet Consumer Information -Focused on the Classification of Internet Consumer Information-

인터넷소비자정보 탐색가치유형에 따른 정보특성인지 -인터넷소비자정보분류를 중심으로-

  • 황은애 (건국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 이승신 (건국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Published : 2002.04.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earching value types of Internet consumer information and to identify difference of information characteristics by searching value types.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y 262 netizens. We used SPSS10.0 package and statistical analysis as follows :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searching value types of Internet consumer information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 high benefit/high risk type, middle benefit/middle risk type, high benefit/low risk type. 2)In the degree of significance for information characteristics, consumer recognized accuracy as the most important then comes variability, utility, up-to-dateness, and reliability in that order. 3) high benefit/high risk type among searching value types was evaluated the most affirmative types for Internet consumer information.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옥, 김난도, 김민정, 김효정, 이희숙 (2000). 소비자정보 홈페이지 개발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11(34),153-171
  2. 김기옥 (2000). 소비자의 정보격차분석: 정보사회가 가져올 또하나의 소비자문제. 대한가정학회지, 38(10), 97-115
  3. 김기옥, 김난도, 이승신 (2001). 소비자정보론. 시그마프레스
  4. 김상용, 박성용 (1999). 전자상거래에서의 구매의도 결정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10(3), 45-66
  5. 김채환(2000). 디지털과 미디어. 이진출판사
  6. 박기영(2001). 인터넷상의 소비자정보 만족도 -가전 제품정보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박준식(1999). 정보기술의 발전.정보사회의 이해 (정보사회학회 편). 나남출판
  8. 박 철(2001). 인터넷탐색 가치에 의해 분류한 온라인 소비자집단별 특성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12(1),31-51
  9. 오문석(2000). 디지털경제의 도래와 우리 경제에의 시사점, 디지털경제. 디지털 경영. LG경제연구원 창립 14주년 기념 세미나자료집, 1-21
  10. 유동근(1988). 소비자의 외부적 정보 탐색 량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유현정(1994). 정보원속성과 정보내용의 측면에서 평가한 소비자정보원의 질수준. 성균관대 석사학위논문
  12. 유현정, 김기옥(2000). 전자상거래에서의 소비자만족도 척도개발. 소비자학연구, 11(3), 87-107
  13. 이득연, 최선경(1994). 소비자의사결정과정에서의 소비자정보활용도 평가. 한국소비자보호원
  14. 이은희(1993) 소비자정보의 요구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5. 이수진(2001) 인터넷소비자정보 요구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조희경, 이기춘(2000). 전자상거래에서의 소비자정보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8(2), 139-53
  17. 허경옥(2000). 정보화사회와 소비자 교문사
  18. 황미현(2002). 인터넷소비자정보의 분류 및 실태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Bailey J.E & Pearson S.W (1983). Development of a Tool of a Measuring and Analyzing Computer User Satisfaction. Management, 29(5), 530-545
  20. Bariudi J.J & Wanda J.O (1988). A Short-Form Measure of User Information Satisfaction: A Psychometric Evaluation and on Use. Journal of MIS, 4
  21. Capon, N. and Lutz, R. J. (1979). A Model and Methodology for the Development of Consumer Information Programs. Journal of Marketing, 43(Jan), 58-67 https://doi.org/10.2307/1250759
  22. Debons A, Ramage W & Orien J (1978). Effectiveness Model of Productivity, in L.F. Hanes and C. H. Kriebel(Eds), Research on Productivity Measurement Systems for Administrative Services: Computing and Information Services, Vol.2
  23. Hoffman. D.L. & Novak. T.P. (1999). The evolution of the Digital Divide: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Race to Internet Access and Usage Over Time.
  24. Maynes, E.S. (1976). Decision-Making for Consumer: An Introduction to Consumer Economics,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Inc
  25. Neumann S & Segev E (1980). Evaluate Your Information Systems. Journal of Systems Management, 31
  26. Swagler, R, M. (1979). Consumer and Market, 2nd ed. D. C. Health and Company
  27. Valerie B. (1994). The Consumer Revolution Redressing the Balance, Robin John, Holder & Stoughton, Chicago; Dryden. and Involvement. Management Science,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