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stimate of the Living Cost for the elderly Couple

노인부부가계를 위한 노후 월평균 생계비 산정 - 최저생계비, 표준생계비, 유락생계비의 산정 -

  • 이선형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연숙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 Published : 2002.04.01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living cost for the elderly couple living in a city in Korea. Living cost means expenditure per month for elderly couple. It was assumed that the elderly couple will need different living cost according to their circumstances. The circumstances are health status, retirement status, and the level of living they want. The subjects were the elderly couple households over the age 65 of household head. Total number of subject was 1,649 households. Used data was Annual Report surveyed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n the Family Income and Expenditure. Analysis of data was done through frequency, percentage, means, median using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ir standard living cost was 844,980 won by pure relative standard line and 842,300 won by quasi relative standard lines. And minimum living cost was 713,400 won by the former, by the latter was 557,600 won (3/2 of median). And abundant Living cost was 1,068,020 won by the former, by the latter 1,263,450 won. The living cost of elderly households was about 81-83%, comparing with non-elderly households. Among the item of expenditure, the proportion of housing and medical care cost was larger than any other items.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개발연구원(1990). 도시빈곤층 대책에 관한 연구. 서울 : 국토개발연구원
  2. 김경자(1997). 도시가계 생계비 산정기준의 다양화를 위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137-148
  3. 김경자(2000). 라이덴 방식에 의한 주관적 생계비와 그 영향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1), 43-52
  4. 김미곤(1997). 최저생계비 계측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97, 10월, 72-81
  5. 류정순(1996). 한국 도시가계의 빈곤선 재정립에 관한 연구. 동국대 박사학위논문
  6. 박태규(1991). 한국의 최저생계비 추계에 관한 연구-라이덴 방식을 중심으로-. 재정논집. 5, 297-313.
  7. 서상목(1979). 우리 나라 빈곤의 결정요인. 한국개발연구, 1, 4, 46-58
  8. 안병근(1992). 한국의 도시부문 최저생계비 추정. 경북대학교 경제논집, 20(1), 89-113
  9. 양세정(2000). 노인가계의 경제수지 분석- 노인생활의 현황과 과제. 가톨릭대생활과학연구소 가을 심포지움. 25-34
  10. 윤석범(1983). 성장, 체제, 빈곤의 경제론. 서울: 학민사
  11. 이두호, 최일섭, 김태성, 나성린(1991). 빈곤론. 서울: 나남출판사
  12. 이보경(1992). 우리 나라 최저생계비 산출방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 석사학위논문
  13. 이선형, 이연숙(1998). 노인생활실태에 따른 생활서비스 요구. 고려대 사대논집, 22, 127-15
  14. 이중희(1987). 홍기용편. 도시빈곤의 실태와 정책. 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
  15. 임경수, 조덕호(1999). 역저당 제도와 노인복지모형개발. 지역사회개발연구, 24(1), 65-85
  16. 장원창(1989). 한국도시지역의 최저생계비추정모형연구.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17. 장현준(1986). 최저생계비산출모형과 도시부문 생계 비계측 결과. 사회보장연구, 2, 97-146
  18. 장현준(1987). 한국도시부문의 표준생계비.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19. 조성자(1991). 도시근로자의 통상적 생계비에 관한 연구. 숭실대 석사학위논문
  20. 한국노동연구원(1996). 최저임금심의를 위한 생계비 연구.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1. 한국노동조합총연맹(1989). 도시근로자 생계비 조사. 서울: 한국노동조합총연맹
  22. 한국노동조합총연맹(1996). 도시근로자 생계비 조사. 서울: 한국노동조합총연맹
  23. 한국노동조합총연맹(1998). 도시근로자 생계비 조사. 서울: 한국노동조합총연맹
  24. 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4). 최저생계비 계측조사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5. 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8a).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6. 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8b). 최저생계비 계측모형개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7. 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9). 최저생계비 계측 조사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8. 한국인구보건연구원(1989). 최저생계비 계측 조사연구. 서울: 한국인구보건연구원
  29. 허 선 (1992). 한국 빈곤선 측정의 동향과 과제
  30. 황재한(1997). 최저생계비 추계방법 및 계측에 관한 연구 경기대 박사학위 논문
  31. 楠田 丘(구스타 오카)(1987). 생계비와 임금. 일본 산업노동조사소. 한국공업표준협회 역
  32. Crown, W. H., Longino, C. F. & Cutler, N. E. (1993), Net Worth and Economic Diversity of the Elderly. J. of Aging and Social Policy, 5(4), 99-118
  33. Hefferan, C. (1987), Family Budget Guidelines. Family Economics Review, 4, 1-9
  34. Hitschler, P. B. (1993), Spending by Older Consumers 1980 and 1990 Compared. Monthly Labor Review, 116(5), 3-13
  35. Monroe (1974), Pre-Engel Studies and the Work of Engel : The Origins of Consumption Research.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3(1), 43-64 https://doi.org/10.1177/1077727X7400300105
  36. Radner, D. B. (1995), Incomes of the Elderly and Non-elderly, 1962-1992. Social Security Bulletin, 58(4), 82-97
  37. Schwenk (1994), Trends in the Economic Status of Retired People. Family Economics Review, 7(2), 1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