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의 생리적인 최적 번식적령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ptimum Age of Physiological Reproduction in Korean Native Cattle

  • 성환후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이연근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최선호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장원경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 이장형 (한국농업전문학교)
  • 발행 : 2002.06.01

초록

본 연구는 한우의 생리적인 번식적령기를 구명하는 기초자료를 확보하여 조기번식에 따른 번식능력의 감소를 방지하고 한우 암소의 번식능력을 증진하여 농가의 소득증대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각 처리구당 4구로 나누어 총 32두를 공시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만후 송아지의 평균 생시 체중은 전 구간에서 평균 23.5$\pm$0.6kg으로 나타났으며 암송아지는 21.8$\pm$0.8kg에 비해 수송아지는 평균 25.0 $\pm$0.8kg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송아지 성장단계별 체중은 T2구에서 유의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따라서 송아지의 체중변화는 어미소의 영양상태에 따라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발정일령은 전 구간에서 평균일령과 평균체중은 각각 263.3$\pm$6.4일과 181.1$\pm$11.3일로 나타났다. 1회째 인공수정에 의한 수태율은 T1구에서 25%로 가장 낮았으며 T4구에는 75.0%로 가장 높았다. 수태당 종부회수는 T1와 T2구의 2.3, 2.4회에 비해 T3, T4구가 1.5회로 낮았다. 초임 월령별 분만후 발정재귀일수는 T1구에서는 평균 66.2일, T2구에서는 76.7일, T3구에서는 62.4일, T4구에서는 68.5일이었으며 전 구간의 평균 발정재귀일수는 65.7일로 나타났다. 초발정 전후의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전 구간에서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즉, 혈중 progesterone 분비는 생후 12개월령이 지나야만이 전 개체에서 정상적인 호르몬 분비상태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12개월 이전에 난포의 배란과 정상 발정주기가 반복되는 개체는 총 32두중 5두만(15.6%)으로 확인되었다. 임신기간중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임신 중기 이후에 비해 착상과 태반형성이 이루어지는 시기인 임신 초기에 다소 높은 경향이었으며 임신중기에는 다소 감소되었다. 분만 전후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전 구간에서 분만 7일전부터 급격하게 감소되었으며 분만후부터 포유 약40일까지 progesterone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며 분만후 35일부터 본격적으로 progesterone이 분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분만후 정상 발정주기의 반복은 분만후 약 40일 이후 비로소 시작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한우의 초임유도시 최적 초임시기의 결정요소는 14개월령과 체고 약 110cm, 체중 약 265kg 정도의 3가지 요건을 갖춘 후 초임유도를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physiologic mating time in Hanwoo for protection to decrease of reproductivity and improvement of production of offspring. We observed 32 cows that were devide into 4 parts of treatment : T1(12 months of age and 0.5kg daily gain), T2(12 months of age and 0.8kg daily gain), T3(15 months of age and 0.5kg daily gain) and T4(18 months and 0.5kg daily gain). The first heat of treated cows was 263.3$\pm$6.4 days and average weight was 181.1$\pm$11.3kg. It was revealed the conception rates of first insemination were 25%(T1), 75%(T4) and number of insemination of T3 and T4(both 1.5) was lower than T1 and T2(2.3 and 2.4). In return of estrus after heifer's first parturition, they(T1, T2, T3 and T4) showed 66.2 days, 76.7 days, 62.4 days and 68.5 days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was 65.7 days. Plasma progesterone(P4) concentration was nearly the same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s of treated cows and P4 was released just after 12 months. Only 5 cows (15.6%) in 32 were showed normal estrus cycle and ovulation before 12 months. Before and after parturition, P4 concentration was decreased fastly and then there was no detection of P4 from after parturition to 40 days after milking. P4 would be released again on 45 day after parturitio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that the optimal mating time of Hanwoo heifers was decided by the 14 months of age, 110 cm height and 265kg weight.

키워드

참고문헌

  1. Arthur, G. H., Noakes, D. E. and Pearson, H. 1989. Veterinary reproduction and obstetrics (Sixth edition). Bailliere Tindall. pp. 341-443
  2. Day. M. L., Imakawa, K., Garcia-Winder, M., Zalesky, D. D., Schanbacher, B. D., Kittok , R. J. and Kinder, J. E. 1984. Endocrine mechanism of puberty in heifers : estradiol negative feedback regulation if luteinizing hormone secretion. Biol. Reprod. , 31:332-341 https://doi.org/10.1095/biolreprod31.2.332
  3. Dunn, T. G. and Moss, G. E. 1992. Effects of nutrient deficiency and excesses on reproductive efficiency of livestock. J. Anim. ScL, 70: 1580
  4. Einspanier, R, Miyamoto, A., Scharns, D., Miller, M. and Brem, G. 1990. Tissue concentration, mRNA expression and stimulation of IGF- I in luteal tissue during the oestrous cycle and pregnancy of cows. J. Reprod. Fert., 90:439 -445
  5. Foster, D. L. and Ryan, K. D. 1979. Endocrine mechanism governeng transition intoadulthood : a marked decrease in inhibitory feedback action of estradiol on tonic secretion of luteinizing hormone in the lamb during puberty. Endocrinology, 97:985-994 https://doi.org/10.1210/endo-97-4-985
  6. Ferrell, C. L. 1991. Nutritional influences on reproduction in Domestic Animals. fourth edition. pp. 577-597
  7. Robison, T. J. 1979. In : Reproduction in Domestic Animals, ed. H. H. Cole and P. T. Cupps, 3rd ed., p. 433. New York: Academic Press
  8. Short, R. E., Bellows , R. A., Staigmiller, R. B., Beradinelli , J. G. and Custer, E. E. 1990. Physi이ogical mechanisms controlling anestrus and infertility in postpartum beef cattle. J. Anim. Sci., 68:799
  9. 고응규,성환후,백광수,나승환,최창용,신원집. 1998. 한우 초발정 전후 혈중 Progesterone 및 Insulin-like Growth Factor- I 농도의 변화. 한국가축번식학회지, 22(4):341-347
  10. 백광수, 고응규, 성환후, 이명식, 최순호, 김영근. 1998. 사육규모에 따른 한우 번식 실태 조사. 한국가축번식학회지, 22(4):367-373
  11. 성환후, 우제석, 임석기, 고응규, 백광수, 박진기, 구용범, 이장형. 1997. 한우에 있어서 발정주기중 혈중 Progesterone 및 Insulin-like Growth Factor- I 농도의 변화. 1997. 한축지, 39(3):237-242
  12. 森 純一, 金川弘司, 浜名克己,. 1995. 默醫緊植學. 文永堂出版. p. 53
  13. 金重桂, 金文哲, 金承贊, 1985. 濟州韓牛의餉養管理 緊殖狀況의 隔年分媒에 미치는 影響. IV. 濟州韓牛에 있어서 部落別 緊植狀態와 隔年分娩에 관한 調査鼎究. 韓畜誌, 27(5):270
  14. 한우개량단지사업 연구조사 결과보고서. 1996. 축산업협동조합중앙회
  15. 韓讀奎, 朴瑱弘, 李南珩. 1987. 韓午의 繁殖實 態調査. 韓畜誌, 29(12):566
  16. 한찬규, 이남형, 박연진, 정영채. 1989. 한우의 번식실태 조사. 한국가축변식학회지, 1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