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Mugwort and Pine Needle Extracts

쑥과 솔잎의 항산화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 박찬성 (경산대학교 생명자원공학부) ;
  • 권충정 (경산대학교 생명자원공학부) ;
  • 최미애 (양산대학 식품가공제과제빵과) ;
  • 박금순 (대구가톨릭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 최경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Mugwort and pine needle were extracted with water and 70% ethanol.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of extracts were ranged from 50% to 57% in mugwort water extract(MGW) and ranged from 51% to 64% in mugwort ethanol extract(MGE) at 300-1,000ppm. EDA of extracts were ranged from 52% to 60% in pine needle water extract(PNW) and ranged from 68% 71% in pine needle ethanol extract(PNE) at 100-500ppm. EDA of PNW was 70% and that of PNE was 77% at 1,00(ppm. Nitrite scavenging ability(NSA) of extracts measured at various pH(1.2, 3.0, 4.2, 6.0) was the highest in all extracts at pH 1.2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pH, suggesting it is pH dependent. NSA of mugwort extracts at 1,000ppm, water extract was 37% and ethanol extract was 27% at pH 1.2. NSA of pine needle extracts at 1,000ppm, water extract was 65%and ethanol extract was 53% at pH 1.2. EDA and NSA of pine needle extracts were higher than mugwort in both of water and ethanol extract. EDA of ethanol extracts were higher than water extracts while NSA of water extracts were higher than ethanol extracts in both of mugwort and pine needle.

쑥과 솔잎을 각각 물과 70% 에탄올로서 추출하여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쑥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300-1,000ppm 농도에서 물추출물은 50-57%였으며, 에탄올추출물은 51-64%로서 에탄을 추출물이 우수하였다. 솔잎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추출물은 100-500ppm에서 52-60%, 1,000ppm에서는 70%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을 추출물은 100-500ppm에서 68-71%, 1,000ppm에서는 약 77%로서 물추출물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 3.0, 4.2, 6.0에서 측정한 결과, pH 1.2에서 가장 높았으며 pH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쑥추출물 1,000ppm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물추출물은 37%, 에탄올추출물은 27%였다. 솔잎 추출물 1,000ppm의 경우에는 pH 1.2에서 물추출물은 65%, 에탄올추출물은53%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소거능은 솔잎추출물이 쑥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쑥과 솔잎 추출물에서 전자공여능은 에탄을 추출물이 물추출물보다 우수하였으나 아질산염소거능은 물추출물이 에탄을 추출물보다 우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Roma, P.. Catapano, A.L., Bertulli, S.M., Varesi, L., Fumagalli, R. and Bemini, F. (1990) Oxidized LDL increase free cholesterol and fail to stimulate cholesterol esterification in murine macrophage. Biochem. Biophys. Res., 171, 123 https://doi.org/10.1016/0006-291X(90)91365-Y
  2. Branen, A.L. (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AOCS, 52, 59 https://doi.org/10.1007/BF02901825
  3. Farag, R.S,, Ali, M.N. and Taka, H.S. (1990) Use of some essential oils as natural preservatives for butter. JAOCS, 68, 188
  4. Shank, R.C. (1975) Toxicology of N-nitrosocompounds. Toxicol. Appl. Pharmacol., 31, 361
  5. Masuda, T., Jitoe, J., Nakatani, N. and Yonemori, S. (1993)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curcumin-related phenolics from rhizomes of Curcuma domestica. Phytochemistry, 32, 1557 https://doi.org/10.1016/0031-9422(93)85179-U
  6. Kozloska, H. and Zadernowski, R. (1983) Phenolic acids in rapeseed and mustard. J. Am. Oil Chem. Soc., 60, 1119 https://doi.org/10.1007/BF02671339
  7. 박영숙 (2002) 한약재 추출물의 폴리페놀 화합물과 항산화 활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 23-31
  8. Lettron, P., Labbe, G., Degott, C., Berson, A., Fromenty, B., Delaforge, M., Larrey, D. and Pessayre, D. (1990) Mechanism for the protective effects of sikymarin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pid peroxidation and hepatotoxicity in mice. Biochem. Pharmacol., 39, 2027 https://doi.org/10.1016/0006-2952(90)90625-U
  9. 김 청, 박정륭, 김종배, 차명화 (1999) 대추잎 추출물의 생리활성 작용.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8, 593-598
  10. 김현구, 김영언, 도정룡, 이영철, 이부용 (1995) 국내산 생약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생리활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7, 80-85
  11. 최웅, 신동화, 장영상, 신재익 (1992) 식물성 천연 항산화물질의 검색과 그 항산화력 비교. 한국식품과학회지, 24, 142-148
  12. 육창수 (1977) 약용식물학 각론. 진명출판사, p293, 서울
  13. 남상명, 함승시, 오덕환, 강일준, 이상영, 정차권 (1998) 흰쥐의 혈청 및 간지질 저하에 미치는 쑥 에탄올 추출물의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7, 338-343
  14. 김경수, 이명렬 (1996) 쑥(물쑥)추출물이 에탄올에 의한 흰쥐의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5, 581-587
  15. 황윤경, 김동청, 황우익, 한용봉 (1998) 쑥(Artemisia princeps Pampan.) 추출성분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한국영양학회지, 31, 799-808
  16. 강윤한, 박용곤, 오상룡, 문광덕 (1995) 솔잎과 쑥추출물의 기능성 검토. 한국식품과학회지, 27, 978-984
  17. 강정옥 (2000) 쑥 추출물의 사람 low density lipoprotein에 대한 항산화능. 한국조리과학회지, 16, 623-628
  18. 김완희 (1983) 최신 동의보감. p960, 태평양출판공사, 서울
  19. 이종섭, 박경옥 (1996) 송엽 추출물을 이용한 카드뮴 독성의 해독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2, 88-97
  20. 이 은, 최무영 (2000) 솔잎분말이 고 콜레스테롤 급여 흰쥐의 체지질구성과 TBARS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32, 1186-1190
  21. 김은성, 김미경 (1999) 감잎, 녹차, 솔잎의 건분 및 에탄올추출물이 흰쥐의 지방대사와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32, 337-352
  22. 부용출, 전체욱, 오지연 (1994) 솔잎으로부터 항산화성분인 4-hydroxy-5-methyl-3[2H]-furanose의 분리. 한국농화학회지, 37, 310-314
  23. 백태홍, 이민수, 이준홍 (1987) 송엽중의 항산화성 물질이 리놀산의 광산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화학회지, 4, 25-30.
  24. 김선희, 박찬성 (2001) 담자균 추출물의 항균작용 및 항산화작용.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8, 118-124
  25. 김희연, 이영자, 홍기형, 권용관, 이주연, 김소희, 하상철, 조홍연, 장이섭, 이철원, 김길생 (1999) 전통식품 및 천연물에서 천연보존료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31, 1667-1678
  26. 박지윤, 박은미, 이미경, 장주연, 김명주, 조수열 (2000) 감잎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혈청 및 간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9, 537-542
  27. 노광석, 양미옥, 조은자 (2002) 미나리과 산채의 아질산염 소거능. 한국조리과학회지, 18, 8-12
  28. 정소영, 김낙경, 윤 선 (1999) 녹즙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에 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8, 342-347
  29. 김정숙, 이기동, 권중호, 윤형식 (1993) 산사 및 가자 에테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농화학회지, 36, 203-207
  30.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https://doi.org/10.1038/1811199a0
  31. Gray, J.I. and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o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40, 981-984 https://doi.org/10.1111/j.1365-2621.1975.tb02248.x
  32. 도정룡, 김선봉, 박영호, 박영범, 김동수 (1993) 기호음료 성분의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과학회지, 25, 530-534
  33. 정해정, 노경림 (2000) Herb추출물의 전자공여능, 항균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검색. 한국조리과학회지, 16, 372-377
  34. 이기동, 장학길, 김현구 (1997) 버섯류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과학회지, 29, 432-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