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ccurrence of Powdery Mildew on Eggplant in Korea

가지 흰가루병의 발생

  • 이상엽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식물병리과) ;
  • 황순진 ((주)그린바이오텍) ;
  • 이상범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식물병리과)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Powdery mildew of eggp1ant was found in Yeoiu, Korea in autumn 2000. Many white and Powdery mycelial colonies appeared on leaves, petioles and branches of the plants. Conidia with fibrosin bodies were ellipsoid to elongate-ellipsoid, 25~40$\times$15~22 ${\mu}{\textrm}{m}$ in size and formed in chains with crenate edge. Conidiophores were erect on superfical mycelium, 47~100 ${\mu}{\textrm}{m}$ in length. Germ tubes from conidia were simple and unbranched. No cleistoth-ecia were observed.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conidial stage, the fungus was identified as Sphaerotheca fusca.

2000년 가을에 경기도 여주의 가지재배하우스포장에서 흰가루병이 발생하여 병원균의 형태 등을 조사하였다. 병징은 잎의 앞면, 뒷면과 잎자루에서 흰가루의 균총이 형성되어서 진전됨에 따라서 잎이 황화되어 말라서 결국 낙엽이 되었다. 이 병원균의 분생포자는 분생자경의 끝에 연쇄적으로 생기며 , 무색, 단세포, 타원형내지 장타원형으로 피브로신체를 가지고 있으며, 그 크기는 25~40$\times$15~22 $\mu\textrm{m}$ 이었다 분생포자의 발아관은 단순발아관이며,부착기는 뚜렷하지 않았고,분생자경은 거의 수직으로 분지하였고, 기부는 대부분 직선상이었으며, 그 길이는 47~100 $\mu\textrm{m}$ 이었다. 기부세포는 길이가 15-81 $\mu\textrm{m}$(평균 44$\mu\textrm{m}$), 폭이 10~16 $\mu\textrm{m}$ (평균 13 $\mu\textrm{m}$)이었다 그리고 분생자경상의 연쇄상 미성숙 분생포자들이 곡상외선(crenate edge)을 가지고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Sphaerotheca fusca에 의한 가지흰가루병으로 동정되어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Keywords

References

  1. Amano,K.1986.Host range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powdery mildew fungi. Japan scientific societies Press, Tokyo.741pp
  2. Braun,U.1987.A monograph of the erysiphales(Powdery Mildews).Beiheft zur Nova Hedwigia 89: 1-700
  3. 平田幸治. 1942. 白澁病菌の分生脆子の發芽管に就いて. 千葉高園學術報告 7:34-49
  4. 平田幸治. 1955. 白澁病菌の分生胞子の發芽管に就いて. (第2報). 新渴大農硏報 7:24-36
  5. 한국식물병리학회.1998.한국식물병명목록.제3판.436pp
  6. 이준호,이배함.1969.한국산미기록白澁病菌類에 관한연구 (제2보).한국미생물학회지.7:22-28
  7. 野村幸彥. 1997. 日本產ウドンコ病菌の分類學的 硏究, 養賢堂, 東京. 281pp
  8. 신현동.2000.흰가루병균科.농업과학기술원.320pp
  9. Shin,H.-D.and La,Y-J.1993.Morphology of edge line of chained immature conidia on conidiophores in powdery mildew fungi and their taxanomic significance. Mycotaxon.46: 445-451
  10. Thomas,A.Zitter,Donald,L.Hopkins and claude, E. Thomas. 1996. Compendium of cucurbit diseases. APS Press. 87pp

Cited by

  1. Yield Loss Assessment and Determination of Control Thresholds for Powdery Mildew of Eggplant (Solanum melongena) vol.20, pp.2, 2016, https://doi.org/10.7585/kjps.2016.20.2.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