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ategies for Public Health Service Development in the Times of Local Autonomy

지방자치시대의 공공보건사업 발전 전략

  • 박정한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2002.09.01

Abstract

Health is a fundamental human right and a sine qua non for happiness of people and for national development. Government has a responsibility for the provision of health services for their people. Recent changes of disease pattern, i.e. decrease of Infectious diseases and increase of chronic and degenerative diseases Including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s, together with universal coverage of health insurance and improved living standard have prompted medical care utilization and skyrocketed the national health expenses. The goal of national health policy is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betterment of health level. To achieve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healthcare system for lifetim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healthcare delivery system, and to strengthen the public health services for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The current public health service programs are Inefficient due to an inconsistent policy for health service program, lack of health information system, irrational health program planning and evaluation, and Inadequate training of health workers. Local government has a legal responsibility for health service program planning and promoting the competence of health workers. Thus, municipal and provincial health departments should expand their roles and strengthen their function. The strategies for developing public health service programs at local level are ${\circled}1$ stipulating the goals of health policy, ${\circled}2$ promoting the ability for health program planning and evaluation, ${\circled}3$ establishing health information and surveillance system, ${\circled}4$ training of health workers, ${\circled}5$ establishing an institution for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and training of health workers, and ${\circled}61$ collaboration with local universities.

건강은 개인과 가족의 행복, 그리고 국가 발전의 기본 조건이며 국민건강은 국력이다. 건강보호와 증진에 필수적인 의료서비스는 모든 국민이 누려야 할 기본권이며 국가는 이를 제공할 의무가 있다. 산업화로 환경오염의 심화, 국민생활수준의 향상, 생활양상의 변화, 노인 인구의 증가, 의료기술의 발달,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향상 등으로 감염성 질병은 감소 하고 암, 심장질환, 당뇨병과 같은 만성, 퇴행성 질환이 중요한 국민건강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질병들은 난치병으로 예방이 매우 중요하나 흡연, 음주, 운동, 스트레스 등 행태학적 요인이 중요한 위험인자이므로 예방을 위한 접근방법이 전염성 질병과는 다르다. 질병양상의 변화, 전국민건강보험의 도입, 의사와 의료기관의 증가로 의료공급량의 증가, 의료기술의 발달 등으로 의료이용량이 폭증하여 국민의료비가 연간 30조원을 넘어섰고, 앞으로 계속 증가할 전망이다. 정부는 국민건강수준을 향상하여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중요한 정책목표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위해 보건의료서비스 공급체계를 효율화하고 평생건강관리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표달성을 위하여 공공보건사업을 강화하여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을 통하여 건강수준을 높이고, 질병치료에 필요한 의료비 증가를 억제해야한다. 주요 공공보건사업의 문제점은 공공보건사업을 위한 정책의 일관성 부재, 보건의료정보체계의 미비, 보건사업계획 및 평가의 합리성 결여, 보건요원의 업무수행능력 부족 등으로 보건사업이 비효율적으로 수행되어 자원이 낭비되고 있다. 지방자치제 하에서 광역자치단체는 능동적으로 보건시책을 세우고, 일선 보건요원들의 사없수행능력을 키우는 역할을 담당할 법적 의무가 있으므로 시 \ulcorner도보건과의 역할을 확대하고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차원의 전략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광역자치단체 차원에서는 ${\circled}1$ 보건정책목표의 확립 : 평생건강관리체계 구축과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체계 효율화로 삶의 질 향상, ${\circled}2$ 보건사업기획 및 평가기능 강화, ${\circled}3$ 보건의료정보체계 및 주민건강/질병발생 감시체계 확립, ${\circled}41$ 보건요원의 훈련강화, ${\circled}5$ 건강증진센터(가칭) 설치 . 보건의료정보관리, 보건요원 훈련, 보건사업 기획 및 평가 업무담당, 그리고 ${\circled}6$ 지역대학과 협력체계 구축 등이다. 기초자치단체 차원에서는 ${\circled}1$ 보건소 기능의 재정립(전체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보건통계자료수집과 관리 및 주민건강/질병발생 감시, 지역보건사업 계획, 수행 및 평가, 안전하고 건강한 환경조성 및 식품위생관리, 취약계층을 위한 일차의료, 의약관리), ${\circled}2$ 보건소 조직 개편 및 민간의료기관과 협력체계 확립, ${\circled}3$ 전문인력 확보 및 인력구성 조정, 그리고 ${\circled}4$ 방문보건사업의 강화 등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민건강보험공단자료실. http://www.nhic.or.k
  2. 김정순. 우리나라 사망원인의 변천과 전망. 한국역학회지 11(2):155-174, 1989.
  3. 남정자, 김혜련, 최정수, 윤경일, 문상식, 지역보건의 정책과제와 활성화 방안.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6
  4. 박노례. 우리나라 보건공무원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21세기 보건공무원 교육의 발전방향 - 1997년도 국제학술세미나, 1997. 7. 10. 국립보건원
  5. 박정한. 여성과 어린이 보건사업. 보건소 기능 재정립을 위한 정책토론회, 1999. 5. 10.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6. 박정한. 우리나라 모자보건의 현황과 대책. 예방의학회지 1997; 30(2)부록: 25-64
  7. 박정한, 이영숙, 이정애, 조 현, 정영해, 박순우, 전혜리. 출생 및 영아사망 신고체계 및 전산정보 체계 개발. 보건행정학회지 1998; 8(2): 125-148
  8. 박정한, 박순우, 이주영,이석구, 이정애, 김영택. 출생 및 영유아 신고체계 개발. 보건복지부, 2000.
  9. 박정한, 이창익, 김장락, 송정흡, 예민해, 조성억. 농촌지역의 법정기간내 출생신고율과 신고된 생년월일의 정확도. 예방의학회지 1988; 21(1): 70-81
  10. 박종구, 김춘배, 최서영, 김달래, 전세일, 이선동, 이종찬, 강명근, 조경숙.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시론. 보건행정학회지 2000; 10(1): 1-30
  11. 보건복지부. 보건복지통계연보. 1999, 2000
  12. 보건복지부. 1999년도 주요업무 참고자료. 1999a
  13. 보건복지부. 새 천년 복지 비전 2010-생산적 복지의 구현. 1999b
  14.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백서 2000
  15. 보건복지부, 보건사회통계연보. 1998
  16.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년도 환자조사보고서. 2000
  17. 보건사회부. 보건사회통계연보. 1994
  18. 신영석, 신현웅, 신종각. 의료보험 진료비 증가요인과 정책과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 : 쪽77-81
  19. 신영수, 김용익, 김창엽 등. 농촌지역 방문보건사업 체계 개발. 서울대학교 지역의료체계 시범사업단, 1993
  20. 양봉민. 보건경제학. 서울, 나남출판사. 1999 : 쪽359-389
  21. 유인협. 의료수가의 국제적 비교. 대한의사협회지 2001; 44(4): 382-391
  22. 이정애, 정 호, 임순자, 손석준, 신준호. 고흥군 고혈압예방사업 중간평가보고서. 전광주광역시, 전남대학교의과대학, 1999
  23. 정기혜, 김정근. 건강보조식품의 유통 및 가격체계 개선.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
  24. 조재국, 이상영, 신무식, 이우백, 정민순. 양.한방 협진실태와 정책방향.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
  25. 통계청. 한국의 사회지표. 1994, 1998
  26. 통계청. 주요경제지표. 1992
  27. 통계청. 홈페이지. http://www.nso.go.kr
  28. 통계청.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 www.nso.go.kr
  29. 통계청, 2000년 전국인구통계총람, 2000
  30.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연보. 1991, 1996, 2001.
  31. 한국보건의료관리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1세기 보건의료발전 종합계획(안).1998
  32. 한영자, 도세록, 박정한, 서 경. 1996년도 영아사망 및 주산기사망의 수준과 원인분석.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33. Dever GEA. Community health analysis, 2nd ed. Gaithersburg, Maryland, Aspen Publishers Inc. 1991: 1-30
  34. WHO, UNICEF. Alma-Ata 1978 primary health care. Geneva, WHO,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