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 GUI Program for the Position Prediction of Distressed Vessel

조난 선박의 위치추정을 위한 GUI 프로그램 개발

  • 강신영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관리기술대학원)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To provide an easy operation of drift prediction model in SAR(search and rescue) mission a GUI program running on Windows environment has developed. Users can make choice of input data on the screen by just clicking the mouse and the prediction results of datum points and trajectories of vessels are drawn on the electric chart. The program contains both Leeway Equation model and Mathematical model. The FORTRAN language was used in programming and Lehay Winteraction 4.0 software was utilized for graphic presentation. The result of May, 2001 Busan field experiment was plotted with that of model prediction for demonstration purpose.

수색구조 작업에서 표류지점 추정 모델을 윈도우 운영체계에서 쉽게 운영할 수 있는 GUI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운영자가 화면의 선택사항을 보고 표류물체의 종류와 해상환경 조건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계산된 추정 점 및 선박의 표류 궤적이 좌표와 함께 전자해도상에 표시되게 하여 현장에서 쉽게 예측결과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에는 Leeway공식을 사용하는 방식과 Newton의 운동방정식에서 해를 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래밍에 사용된 언어는 FORTRAN이고, 그래픽 처리를 위해 Lahey의 Winteracter 4.0을 활용하였다. 모델의 시연을 위해 2001년 5월 부산 근해에서 수행된 현장실험 결과와 예측 모델에 의한 결과를 비교·도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영(2000a), '조난물체의 표류지점 추정 모델', 해양환경.안전학회지 통권11호, pp.111-120
  2. 강신영(1998), '수색구조 작업에 사용되는 표류지점 추정 공식 분석', 한국항만학회지 12권 2호, pp.373-384
  3. 강신영(2000b), '유체역학 이론에 근거한 조난물체의 위치 추정 모델', 한국항만학회지 14권 3호, pp.353-360
  4. U.S. Coast Guard(1991), Commandant Instruction M16120.5A, 'National Search and Rescue Manual', Washington D.C
  5. Allen, A. A. and Plourde, J. V(1999), 'Review of Leeway: Field Experiments and Implementations', U.S. Coast Guard RN CG-D-08-99
  6. Raunig D. L., Robe R. Q. and Perkins, B. D.(1995) 'Computer Aided Search Planning Version 1.0 Validation', Interim Report, U. S. Coast Guard
  7. Canadian Coast Guard(1996), 'National Search and Rescue Manual', TP 5421 B-GA-209-001/FP-001, English Version
  8. IM0(1999), IAMSAR Manual
  9. 강신영, 이문진(2002), '부산항 연안해역에서의 소형선박 표류 거동특성 관측 및 분석', 한국항해항만학회 26권 2 호, pp.22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