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al Variation of Primary Productivity in Gangjin Bay

강진만 일차생산력의 계절변화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The primary productivity and physicochemical factors were surveyed seasonally in Gangjin bay from February to October in 1998. The determination of the Primary Productivity Was performed in Situ by isotope-method using NaH/sup 14/CO/sub 3/. The range of primary productivity was 2.78 mgC m/sup -3/ hr/sup -1/-4.92 mgC m/sup -3/ hr/sup -1/ according to seasons. The primary productivity showed the highest value in summer, followed by those of winter, autumn and spring. The primary productivities of station 1, 2 which are located the upper area, were lower than those of station 3, 4, 5 and 6. The correlations showed that the primary productivity correlated with chlorophyll a, underwater light intensity but reversely correlated with suspended solid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rimary productivity in Gangjin Bay was mainly influenced by the inflow of freshwater from Tamjin River.

강진만 해역의 6개 조사정점을 대상으로 1998년 2월부터 1998년 10월까지 계절별로 이화학적 환경요인과 일차생산력을 측정하였다. 일차생산력은 $NaH^{14}CO_3$을 이용한 배양방법을 사용하였고, 조사결과 $2.78mgCm^{-3}hr^{-1}-4.92mgCm^{-3}hr^{-1}$의 범위를 나타났으며, 계절별 일차생산력의 변화는 하계, 동계, 추계, 춘계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정점별로는 강진만의 상류수역에 해당되는 정점 1과 2에 비해 3, 4 ,5 및 6의 조사결과가 크게 나타났다. Chlorophyll a의 분포는 평균 $5.16-17.90mg\;m^{-3}$를 나타났으며 계절별로는 하계에, 정점별로는 정점 4에서 높게 나타났다. 일차생산력과 chlorophyll a를 비롯한 이화학적 조사결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chlorophyll a의 분포, 수중광도와는 정상관을, 부유물질과는 역상관을 보였으며 강진만의 일차생산력의 변화는 상류수역인 탐진강으로부터 유입되는 담수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해양학회지 v.27 no.3 서해 중동부 연얀 수역과 경기만에서의 일차 생산력과 동화계수에 관한 연구 강연식;최중기;정경호;박용철
  2. 한국육수학회지 v.23 팔당호의 일차생산 김동섭;김범철
  3.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6 광양만 생태계의 미생물 군집에 관한 환경요인 분석 박종천;이우범;주현수
  4. 국립수산진흥원 v.23 한국 남해안의 식물성 플랑크톤의 출현량 및 조성과 이들의 먹이와 적조로서 양식생물에 미치는 영향 박주석
  5. 한국해양학회지 v.25 no.4 천수만 미세 플랑크톤의 상대적 중요성: 종조성, 개체수, 클로로필 및 일차 생산력 신윤근;심재형;조순성;박용철
  6. 한국해양학회지 v.21 no.1 한국 동남해역의 해양기초생산력과 질소계 영양염 동적관계 심재형;박용철
  7. 한국해양학회지 v.20 no.2 영일만의 식물플랑크톤 분포 심재형;배세진
  8. 한국해양학회지 v.27 no.2 한국 동해 남부해역의 일차생산계 1. 생물량과 생산력 심재형;여환구;박종규
  9. 한국해양학회지 v.21 no.2 $C^{14}$법과 산소법에 의한 일차생산 비교 연구 심재호;강성현
  10. 여수수산전문대 논문집 v.12 봄철 여수연안의 식물 츨랑크톤 색소량 분포 양한춘
  11. 여수수산전문대 논문집 v.15 광양만 부유생물의 조성 및 양의 계절적 변화 양한춘;김영환
  12. 광양만 환경실태 및 보전 대책 여수대학교 환경문제 연구소
  13.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6 no.4 말똥성게의 배우지를 이용한 광양만 해수의 생물학적 수질평가 유춘만;주현수;박종천;이우범;이원교
  14. 한국해양학회지 v.15 no.1 진해만의 환경적 연구 유광일;이진환
  15.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진해만 식물 플랑크톤 군집의 구조와 동태에 관한 연구 이진환
  16.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환경오염특성에 따른 연안 기초 생태계의 변화 조기안
  17. 한국해양학회지 v.26 no.3 황해 중 · 동부 연안 수역의 조석전선이 식물 플랑크톤 생산력과 분포에 미치는 영향 최중기
  18. 강원대학교 이학석사학위 논문 낙동강 수계의 유기물 수지와 식물 플랑크톤의 일차생산에 의한 내부 생성 부하량의 기여도 최종수
  19. 탐진강 다목적댐 건설사업 강진만 해양환경조사 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20. 환경백서 환경부
  21.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소양호 1차 생산력과 부영양화에 관한 연구 황길순
  22.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소양호의 부영양화와 남조류 bloom 허우명
  23.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16th edn.) APHA;AWWA;WPCF
  24. Fish Bull. v.70 Temperature and phytoplankton growth in the sea Epply RW
  25. Limnol Oceanogr. v.18 An evaluation of liquid scintillation Counting techniques for use in aquatic primary production studies Pugh PR https://doi.org/10.4319/lo.1973.18.2.0310
  26. Sewage and Ind Wast. v.24 no.6 Stream pollution : some new aspects of phosphates in relation to lake fertillization Sawyer CN
  27. J cons Int Explor Mer. v.18 The use of radio-active carbon$(C^{14})$ for measuring organic production in the sea Steemann NE https://doi.org/10.1093/icesjms/18.2.117
  28. Bull Fish Res Bd Con. v.167 A practical handbook of sea water analysis Strickland JDH;Parsons T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