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n the Groundwater Level Change and Rainfall-Runoff in Moojechi Bog

무제치늪 지역의 지하수위 변동과 강우의 유출 특성

  • 이헌호 (영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김재훈 (영남대학교 대학원 산림자원학과)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level change and rainfall-runoff processes at the Moojechi Bog located in Mt. Jeungjok, Ulsan. The average runoff rate of bog was 0.58 which is similar to that of general mountainous watershed. In the short term hydrograph, runoff was increased slowly and It took a long time to arrive peak flow. After that time, the decreasing pattern of runoff was slower than that of general mountainous watershed. In case of the long term water budget, the Moojechi Bog had a abundant base flow and runoff was continued in spite of non rainfall period. The groundwater level was arrived peak flow immediately after rain stop but was decreased very slowly until the next rain. The change pattern of long term groundwater level wa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amount of rain and discharge. The higher rainfall intensity was, the lower slope of recession curve on the groundwater level was and the longer rainfall duration was, the longer peak flow was. Judging from these results, Moojechi bog could be evaluated to have a constant groundwater level.

울산시 정족산 산정상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무제치늪의 수문학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유역 환경과 몇 가지 기초 수문조사를 실시하여 늪의 강우유출 특성과 지하수위 변동 특성을 파악하였다. 늪 지역의 평균 유출률은 0.58로 일반 산지유역과 비슷하였다. 단기유출 수문곡선에서 유량상승부가 완만하게 증가하여 첨두유량이 출현할 때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며, 그 이후에도 유량의 감소형태가 일반 산지유역에 비해 천천히 감소하였다. 늪지역의 유출 성분 구성은 기저유출량이 풍부하고, 무강우 기간에도 유출량이 크게 감소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출하였다. 지하수위는 강우 직후에 피크에 도달하고 그 후 강우가 멈추면 다음 강우기간까지 지하수위의 감소가 아주 완만하게 일어나고 있었다. 강우강도가 클수록 지하수위의 감수곡선 기울기가 완만하였으며 지속시간이 길수록 피크부분이 오래 지속되었다. 장기 지하수위의 변화 경향은 강우와 유출 수위의 변화 경향과 거의 일치하였다. 향후의 늪지역의 물환경은 항상 일정한 지하수위를 유지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재기. 이은복. 전의식(1995) 수원 칠보산 습원의 식생과 습원 및 주변부의 식물상. 자연보존 89: 39-50
  2. 박재근(1998) 화분분석에 의한 정족산 무제치늪의 이탄의 식생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32쪽
  3. 박재철(2000) 물순환모델에 의한 산지소유역의 유출 특성 및 계류수의 수질변화 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논문. 74쪽
  4. 울산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2000) 2차년도 연구사업과제 결과보고서 -무제치늪 복원 및 생태 관광지 활용방안 연구. 39쪽
  5. 이동영, 최기룡. 김주응. 양동윤(1998) 정족산 무제치늪의 성인과 자연 환경. 한국제4기학회지 12(1):63-75
  6. 최기룡(2001) 무제치늪의 화분 분석 연구. 한국제4기학회지 15(1): 13-20
  7. 한국생태학회(2002) 습지보전을 위한 생태학적 접근한국생태학회 2002년 심포지움. 98쪽
  8. 환경부(1997) 정족산 무제치늪 조사 결과 보고서(1차년도). 환경부, 133쪽
  9. 환경부(1998a) 대암산 용늪 복원 타당성 조사연구. 환경부.73쪽
  10. 환경부(1998b) 정족산 무제치늪 조사 결과 보고서 2차년도. 환경부. 84쪽
  11. 환경부(1999) 생태계보전지역 관리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환경부, 115쪽
  12. Dobson, M. and C.Frid(1998) Ecology of Aquatic System. Longman: 158-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