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to the Biscuits Manufacture of Processed Amaranth Seeds

아마란스(Amaranth) 종실의 가공에 따른 비스킷 제품에의 적용

  • 김진수 ((주)크라운제과 연구소) ;
  • 유희중 (서울보건대학 식품가공과)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For examination, amaranth was first dried its surface after sufficient soaking in water. Dried amaranth was roasted when the moisture contents reached 30∼50%, its nasty smell disappeared and its color turned to yellow and it was puffed. Pretreated amaranth was added to biscuit for the improvement of apparence and merchandise value. The maximum expansion was reported at the moisture percentage of 130∼160%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expansion and moisture percentage. In order to compare gelatinization of different processing, three different amaranth were prepared as follows ; Raw amaranth, steamed/dried amaranth, and roasted amaranth. The degree of gelatinization was increased as the percentage of moisture was increased and the degree of gelatinization of roasted amaranth was higher than the one of steamed/dried amaranth, their moisture contents were 62.10% and 57.59%,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hardness($\times$10$\^$5/dyn/㎠) of roasted amaranth was showed lower values than that of steamed amaranth and raw amaranth were showed the large values. After examining biscuits containing each amaranth, raw amaranth had problem with nasty smell and bad texture, and streamed/dried amaranth were able to remove viscosity but turned brown. Biscuits containing roasted amaranth had good smell and texture, and besides the color of biscuits became bright because roasted amaranth turned white. Biscuits tasted best when it contained 5% of roasted amaranth. The rancidity of biscuits with 5% roasted amaranth were proceeded slowly while roasted amaranth itself had high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For the safety from oxidation, it was fairly safe for about 6 months.

아마란스를 충분한 양의 물에 침지한 후 물기를 제거하고 수분함량이 30~50중량%일 때 가열솥에서 이취가 없어지고 고소한 냄새가 나며 색이 더 노랗게 변하면서 입자가 puffing될 때까지 볶아준 다음 비스킷에 첨가하여 관능성과 상품성을 향상시켰다. 가수량에 따른 팽창용적 측정 결과 1.3배에서 1.6배 가수량에서 가장 큰 부피의 팽창이 있었고, 가공 방법에 따른 호화도 측정 결과 취반의 경우는 가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화도가 증가하였고, 볶은 아마란스의 호화도가 64.10%로 쪄서 말린 아마란스의 호화도 57.59%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찐 후 말린 아마란스와 생 아마란스는 경도($\times$$10^{5}$dyn/$\textrm{cm}^2$)가 각각 16,197과 13,601로 단단한 것으로 측정되었고 볶은 아마란스가 1,580으로 가장 무른 것으로 측정되었다. 생 아마란스와 볶은 아마란스, 찐 후의 아마란스를 첨가하여 비스킷을 제조한 결과 생 아마란스는 이취와 이질감이 문제가 되었고 찐 후 말린 아마란스는 점성은 제거 할 수있었으나 색이 검게 변화하는 것을 개선할 수 없었으며 볶은 아마란스의 경우 비스킷 첨가시 이취나 이질감이 거의 없었고 흰색으로 변화함에 따라 비스킷의 색을 더욱 밝게 해주는 효과도 있었다. 또한 비스킷에 첨가될 볶은 아바란스의 함랑은 5%일 때 가장 적절한 미감을 보이는 것으로 여겨진다. 볶은 아마란스를 5% 첨가한 비스킷과 볶은 아마란스 자체의 시간에 따른 산패도 변화를 측정하였을 때 볶은 아마란스 자체의 산가와 과산화물가는 어느 정도 높고 서서히 산패가 진행되지만, 이를 5% 함유한 비스켓의 산가와 과산화 물가는 매우 낮게 나타나 실험결과로 미루어 제품의 품질은 약 6개월 정도의 유통기한에서는 매우 안정한 것으로 추정되었다.다.of NAA/Cr ratios of lentiform nucleus between the symptomatic and the nonsymptomatic side, the present $^1$H MRS study shows a significant neuronal laterality in Parkinson's disease with unilateral symptom. In vivo $^1$H MRS may provide a diagnostic marker for neuronal dysfunction in Parkinson's disease with unilateral symptom.작용(作用)시켰으나 구등(?等)의 영향(影響)을 받지 아니 하였고 physostigmine의 작용(作用)은 길항(拮抗하였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보아 $PGE_1$은 동물(動物)의 정관(精管)에 대(對)한 작용(作用)에는 종(種)의 차이(差異)가 있으며 $PGE_1$은 교감신경효능제(交感神經效能劑)에 의(依)한 기니아-픽 정관수축작용(精管收縮作用)에 대(對)하여 supersensitivity를 야기(惹起)시켰으며, 이는 정관평활근(精管平滑筋)에 대(對)한 직접작용(直接作用)이 아닌 다른 작용기전(作用機轉)에 기인(基因)할 것으로 사료(思料)되는 바이다.10.41-12.63으로서 호기적 탈질을 일으킨다고 보고된 T. pantotropha 균주를 사용한 실험결과와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고, $N_2$로의 변환에 의한 질소제거를 N-balance로부터 구해보면, R3 반응조의 경우가 가장 높은 제거율(40.9%)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볼 때, Bncillus 균주는 호기적 탈질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Bncillus 균주를 이용한 B3 공정은 탈질에

Keywords

References

  1. Wegerle, N. and Zeller, F. J. : Grain amaranth (Amaranthus ssp.): cultivation, breeding and properties of an old Indian plant. (Korner-Amarant (Amaranthus ssp.), J. of Agro. Crop Sci., 174, 63-72 (1995) https://doi.org/10.1111/j.1439-037X.1995.tb00195.x
  2. Ayiecho, P. O., Singh, S. P. and Thimba, D. : Popping quality of grain amaranths, East African Agri. Fores. J., 54, 85-89 (1988)
  3. Mendoza, M. C. and Bressani, R. : Nutrition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extrusion-cooked amaranth flour, Cereal Chem., 64, 218-222 (1987)
  4. Hubbard Edward S. and Guanella Terry J. : Apparatus and process for expanding raw amaranth, U. S. Patent, 5069923 (1991)
  5. Slimak Karen M. : Processes for products from amaranth, U.S. Patent, 4911943 (1990)
  6. Gorinstein, S., Nue, I. A and Arruda, P. : Alcohol-soluble and total proteins from amaranth seeds and their comparison with other cereals, J. Agri. Food Chem., 39, 848-850 (1991) https://doi.org/10.1021/jf00005a005
  7. Pedersen, B., Kalinowski, L. S. and Eggum, B. O. : The nutritive value of amaranth grain (Amaranthus caudatus). I. Protein and minerals of raw and processed grain, Qual. Plant.-Plant Foods for Human Nutr., 36, 309-324 (1987) https://doi.org/10.1007/BF01892352
  8. Pedersen, B., Hallgren, L., Hansen, I. and Eggum, B. O. : The nutritive value of amaranth grain (Amaranthus caudatus). Ⅱ. As a supplement to cereals, Qual. Plant.-Plant Foods for Human Nutrtion, 36, 325-334 (1987) https://doi.org/10.1007/BF01892353
  9. Pedersen, B., Knudsen, K. E. B. and Eggum, B. O. : The nutritive value of amaranth grain (Amaranthus caudatus). Ⅲ. Energy and fibre of raw and processed grain, Qual. Plant.-Plant Foods for Human Nutr., 40, 61-71 (1990) https://doi.org/10.1007/BF02193780
  10. Bressani, R. : Amaranth : the nutritive value and potential uses of the grain and by-products, Food Nutr., Bull., 10, 49-59 (1988)
  11. 최훈재 : 아마란스와 차조 및 찰수수전분의 특성,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2. 한국식품공업협회 : 일반성분시험법, 식품공전, p.537-576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