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vegetation of Hypochoeris radicata community group in Jeju Island

제주도 개민들레군락군의 분포와 식생에 관한 연구

  • 양영환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 ;
  • 김문홍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Published : 2002.10.01

Abstract

The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actual vegetation by using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on Hypochoeris radicata community group in Jeju-Island. 1. Tracheophyte belonged to the flora species is composed of 194 taxa which comprise 47 families,136 genera, 171 species, 22 varieties and 1 forma (Naturally plants 16 families, 47 genera, 67 taxa, including 64 species, 3 varieties). 2. According to the character species, the Hypochoeris radicata community group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two communities; Erigeron annuus - Conyza sumatrensis, 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s -Zoysia sinica community, distributed species. 3. This species is distributed from the shore to 1,700m the sea, on Jeju Island. 4. In terms of dominance and sociability of Hypochoeris radicata, the Seohong-dong, Seogwipo city site ranked highest site and the Seongsan-ri, Namjeju-gun site ranked lowest. 5. Catapodium rigidium which is belonged Gramineae was for the Hirst time found in JeJu.

본 연구는 제주도의 개민들레군락군(Hypochoeris radicata community group)에 대하여 식물 사회학적 방법으로 현존식생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 조사지역에서 출현하는 관속식물상은 47과 136속 171종 22변종 1품종 (귀화식 물 16과 47속 64종 3변종 포함)이 확인되었다. 2 제주도에 분포하는 개민들레(Hypochoeris radicata)군락군은 식생학적으로 기 보고된 표징종에 의해서 개망초 - 큰망초군락(Erigeron annuus - Conyza sumatrensis community Miyawaki 1982)과 갯강아지 풀 - 갯 잔디 군락(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s -Zoysia sinica community)으로 대별되었다. 3. 개민들레는 해안에서 해발 1,700m 윗세 오름까지 분포하고 있었다. 4. 개민들레의 우점도와 군도가 가장 높은 곳은 해발 120m 서귀포시 서흥동 근처이며 , 가장 낮은 곳은 해발 2m인 남제주 성산리 해안지역이다. 5. 금번조사 중 제주도에서 처음으로 벼과의 고사리새(Catapodium rigidium)가 발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Can. J. Sci. v.61 Hypochoeris radicata L. Aarssen,L.W. https://doi.org/10.4141/cjps81-051
  2. Bot. Rev. v.23 The Zrich-Montpellier school of phytisociology Becking,R.W. https://doi.org/10.1007/BF02872328
  3.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Wien Pflanzensoziologie Braun-Blanquet,J.
  4. Maunal of the plants of Colorado. Harrington,H.D.
  5. M.S.A. Thesis. Dep. of Plant Science.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The biology and control of some turf weeds Ho,L.S.
  6.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Mueller-Dombois,D.;H.Ellenberg
  7. The dispersal of plants throughout the world. Ridley,H.N.
  8. Korea. J. Ecol. v.35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subalpine Forests on Mt. Halla of Cheju Islnad Song,Jong-Suk;S.Nakanishi
  9. 日本の植生 Miyawaki,A.
  10. 日本植生便覽 Miyawaki,A.
  11. 植物地理·分類硏究 v.27 no.1 濟州道の海岸植生 Ohba,T.;H.Sugawara
  12. 東京農工大學 博士學位論文 濟州道の植生に關する植物社會學的硏究 金文洪
  13. 大日本圖書 歸化植物の生態學的特性 沼田眞
  14. 新版千葉縣植物誌 千葉縣の歸化植物とその形態 岩瀨澈;小瀧唵一夫
  15. 植物調査法Ⅱ 植物社會學的硏究法 鈴木兵二;伊藤秀三;豊原原太郞
  16. 제주식물도감 김문홍
  17. 제주대학교 환경논문집 v.2 no.1 제주도의 해안사구식생 김문홍
  18.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박수현
  19. 한국 귀화식물 원색도판(보유편) 박수현
  20. 한국식물분류학회지 v.22 no.3 한국 귀화식물 잡초군락에 대한 식물사화학적연구 선병윤;김철환;김태진
  21. 한생지 v.20 no.3 한국경작지 및 휴경지의 잡초군락에 대한 식물사회학적연구 송종석
  22.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제주도활엽수 2차림의 식물사회학적연구 양영환
  23. 한초지 v.9 no.1 제주도 放牧用 野草地의 식생조사에 關한 연구 양창범;정창조
  24.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25. 이창복, 1989.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p.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