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Soybean Sprouts between Glycine max and G. soja

콩의 재배종과 야생종의 콩나물관련 특성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Soybean sprout trails were evaluated for soybeans for sprout (Glycine max) and wild soybeans (Glycine soja). Soybeans for sprout are characterized with small seed size of 10-14 grams per 100 seeds and are traditionally used only for producing sprouts.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hypocotyl length and sprout yield between two types of soybean. (However total length, hypocotyl hypocotyl, body weight, and the rate of good quality were greater in soybeans for sprout.) Number of lateral roots and root length were greater in wild soybeans. Contents of crude oil, oleic acid, and sucrose were higher in soybean for sprout, while that of protein and linoleic acid were higher in wild soybeans. There was no difference in sprout isoflavone content. Out of 17 amino acids analyzed, 10 amino acids such as aspartic acid, lysine, and arginine. etc.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ntent in wild soybeans. Hypocotyl color of sprouts estimated by color meter based on the degree of L(brightness), a(red), and b(yellow) values were better in wild soybeans than soybean for sprout.

야생종의 콩나물 관련형질의 특성 및 주요성분을 재배종과 비교하여 야생종을 소립 나물콩 육성을 위한 교배친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야생종과 재배종의 콩나물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하배축의 길이와 수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콩나물의 전체길이, 하배축 두께, 개체당 무게, 상품률에서는 재배종이 우수하였고, 잔뿌리의 수와 뿌리의 길이에서는 야생종이 작고 짧아 야정종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2. 조지방 및 sucrose함량은 재배종이, 조단백질 함량은 야생종이 높았으며, 지방산중 oleic acid는 재배종이 linoleic acid는 야생종이 높았고, isoflavone함량에서는 두 종간 차이가 없었다. 17개의 아미노산 중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된 aspartic acid, lysine, arginine등 10개 아미노산은 모두 야생종에서 높았다. 3. 콩나물 하배축의 색차는 야생종에서 백색도가 높고 적색도가 낮아 재배종보다는 야생종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조호영, 이정동, 권택화, 정연신, 황영현, 정명근. 2001. 재래 콩나물에서의 isoflavone 함량 변이. 韓作誌. 46(별책 2호): 206-207
  2. 최희돈, 김성수, 홍희도, 이진열. 2000. 나물콩 품종별 콩나물의 물리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비교. 한국농화학회지. 43(3) : 207-212
  3. 崔然湜. 2000. 우리나라 재래나물콩 계통의 콩나물 특성 및 성분 함량 변이 .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鄭愚卿. 1998. 나물콩의 품종과 재배기간에 따른 콩나물의 물리화학적 및 관능특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Ertl, D. S. and W. R. Fehr. 1985. Agronomic performance of soybean genotypes from Glycine max Glycine soja crosses. Crop Sci. 25 : 589-592 https://doi.org/10.2135/cropsci1985.0011183X002500040003x
  6. Gai, J. Y., W. R Fehr and R. G. Palmer. 1981. Performance of lines from four generation of a backcrossing program involving Glycine max and Glycine soja. Soybean Gene. Newsl. 8 : 111-114
  7. 황영현, 이정동, 조호영, 정연신, 권택화. 2001. 한국 재래 나물콩계통의 콩나물 특성변이. 韓作誌. 46(별책 1호) : 176-177
  8. 황영현, 박근룡, 홍은희, 정길웅, 함영수. 1980. 수집재래종 나물콩의 특성 몇 입중과 콩나물 수량과의 관계. 우전 손응용교수 회갑기념논문집 . PP.123-129
  9. Jong, S. K., H. S. Kim, S. Y. Son and S. I. Park. 2000. Relative genetic contribution of parental lines in Korean soybean lines. Korean. J. Breed. 32(1):1-5
  10. 강정렬, 강선철, 박 신. 2000. 콩나물의 생장과 품질에 미치는 황토 지장수의 효과. 한국농화학회지 . 43(4) : 266-270
  11. 金吉煥. 1981. 豆菜의 生育特性에 關한 硏究. 한국식품과학회지.13(3) : 247-251
  12. 김철재. 박진숙, 김상웅, 오덕근. 1996. 발아 및 성장중에 일어나는 콩나물의 품종간 변화. 한콩연지. 13(1) : 55-61
  13. 김미리, 김혜영, 이근종, 황용수, 구자형, 1998. 콩나물콩 품종에 따른 콩나물 및 콩나물 무침의 품질특성. Korean J. Soc. Food Sci. 14(3) : 266-272
  14. 김선림, 황종진, 손영구, 송 진, 박금룡, 최광수. 2000a. 청정콩나물재배기술. I. 재배온도 및 수온이 콩나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콩연지. 17(1) : 69-75
  15. 김선림, 송 진, 송정춘, 황종진, 허한순. 2000b. 청정콩나물 재배기술. II. 관수간격 및 관수량이 콩나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콩연지. 17(1) : 76-83
  16. 김석동, 홍은희, 김용호. 1994. 우리나라 콩 생산과 품종개발 현황. 한국콩연구회 10주년기념발표 논문집 . PP.5-37
  17. 金成蘭, 金奭東. 1996. 콩의 機能注 成分 Isoflavone에 관한 硏究. I. 콩 isoflavone의 含量分析 및 分布特性. 農業論文集(96博士後硏究科程). 38 : 155-165
  18. 김성란, 홍희도, 김성수. 1999. 콩 및 콩제품 중의 isoflavone 함량과 특성 . 한콩연지. 16(2) : 35-46
  19. 김용호, 김석동, 홍은희. 1994. 콩나물 콩의 콩나물 특성비교. 농업과학논문집 . 36(2) : 107-112
  20. 權臣漢, 李榮日, 金在利. 1981. 나물콩용 品種育成을 위한 特注形質의 比較. 韓育誌. 13(3) : 202-206
  21. 이상호, 정동효. 1982. 식물성장조절제가 콩나물의 성장 및 성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농화학회지. 25(2) : 75-82
  22. LeRoy, A. R., W. R. Fehr and S. Rodhguez de Cianzio. 1991. Intro-gression of genes for smalled size from Glycine s딘'a into G. max. Crop Sci. 31 : 693-697 https://doi.org/10.2135/cropsci1991.0011183X003100030029x
  23. 박규환, 백인열. 2000. 오존수가 콩의 발아와 콩나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콩연지. 17(2) : 20-26
  24. 朴錦龍, 崔元烈, 鄭東熙, 金奭東. 1993. 콩의 種實크기와 種子活性間의 關係. 韓作誌. 38(2) : 139-150
  25. Rodriguez de Cianzio, S. and W. R. Fehr. 1987. Inheritance of agro-nomic and seed composition trait in Glycine max Glycine soja crosess. J. Agric. Univ. P.R. 71(1): 53-63
  26. 송 진, 김선림, 황종진, 손영구, 송정춘, 허한순. 2000. 재배기간에 따른 콩나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한콩연지. 17(1) : 84-89
  27. 梁車範. 1981. 콩나물製造中 窒素化合物의 變化와 그 營養學的評價. 第二報. 總아미노산 組成의 變化. 한국농화학회지. 24(2) : 94-100
  28. Yang, G., H. Zheng, C. Han and F. Ji. 1993. A preliminary study on protein and oil contents94-100 of wild soybean (G. sojd) in Jilin Province .Soybean Genet. Newsl. 20 : 35-38
  29. Yang, G., H. Zhen, C. Han, F. Ji and H. J. Feng. 1994. The study on the techniques of usage of wild soybean in soybean breeding. Soybean Genet. Newsl. 21 : 27-31
  30. Yu, Hongiun. 1992. Genetic and morphological variation and differen-tiation of Sou Korean natural population of wild soybean, Gly-cine soja. Sieb. and Zucc.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w Hampshire, Durh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