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act of Recent Weather Variation on Yield Components and Growth Stages of Winter Barley in Korea

최근의 기상환경 변화에 따른 가을보리의 수량구성요소 및 생육단계 변화

  • Published : 2002.03.0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atmospheric influences and grain yields including yield components as well as growth stages.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the long-term field experiment at Suwon for the period between 1974 and 2000. Mean grain yield of barley cultivar, Olbori, for the recent 14 years(1987∼2000) with warm winters was higher by 0.42 ton per hectare than that for 27 years(1974∼2000) at Suwon as a result of the higher numbers of spikes per unit land area and grains per spike. However, the 1000-grain weight decreased by about 0.6 gram. Mean first day of regrowth for the recent 14 years was earlier by five days than that for 27 years. Also, beginning date of regrowth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at of heading and ripening. Mean period of ripening for the years of 1987 through 2000 was similar to that for 27 years, but mean period of overwintering was shorter by nine days than that for 27 years. On the other hand, mean periods of seedling and tillering were longer by three days than those for 27 years. Meteorological elements at various growth stages affecting grain yield of winter barley were air temperature (positive correlation) and sunshine hour (negative correlation) of overwintering stage, precipitation (negative correlation) of tillering stage, and potential evapotranpiration (positive correlation) of tillering stage. The 1000-grain weight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meteorological elements. Culm length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high temperature and dry weather situations during the ripening period, but spike length was positively influenced. Overall, it was found that grain yield of barley, cultivar Olbori, was iufluenced by meteorological elements of overwintering, tillering, and ripening stages.

근래 지구 온난화 현상과 더불어 우리나라에 '춥지 않은 겨울' 날씨가 지속되어 가을보리를 비롯한 겨울(월동)작물의 생육과 수량에 큰 변동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바, 최근의 기상환경 변화에 따른 가을보리의 생육시기, 생육기간, 수량, 수량구성요소의 변동양상을 분석하였으며, 각 생육단계별 기상요소가 보리의 수량과 관련되는 재배적 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원에서 14년(1987∼2000년)동안 올보리 품종의 평균수량은 지난 21년(1974∼2000년) 평균보다 헥타르(ha)당 0.42톤이 증수되었다. 증수의 요인은 단위면적당 수수 확보이고, 1수입수의 증가도 다소 기여하였으나, 천립중은 평균보다 오히려 0.6그램(g)정도 가벼워졌다. 2. 풍년에는 흉년보다 단위면적당 수수는 많았고, 1수입수는 비슷하였으나, 천립중은 가벼웠다. 그리고, 월동기간은 짧았고, 유묘기간과 분얼기간이 길어졌다. 출현기간에 기온이 높아 발아율이 높았으며, 단위면적당 수수가 증가되었다. 반면에 흉년에는 월동기간의 저온과 분얼 및 등숙기간의 많은 강수량으로 단위면적당 수수가 감소하였다. 3. 올보리 품종에서 수량은 단위면적당 수수와는 밀접한 정의 상관이었지만, 1수입수 및 천립중 하고는 유의성이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단위면적당 수수는 천립중 및 수장과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4. '춥지 않은 겨울' 날씨로 지속된 14년(1987∼2000년) 동안에 생육재생기의 출현초일은 평균(1974∼2000년) 출현초일 보다 5일 일찍 나타났다. 또한 생육재생기는 출수기 및 성숙기의 출현초일과 높은 정의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이 기간의 등숙기간은 평균 등숙기간과 비슷하였으나 월동기간은 평균보다 9일 짧아졌다. 반면에, 유묘기간과 분얼기간은 평균보다 3일 길어졌다. 5. 올보리 품종의 수량에 영향을 주었던 생육단계별 기상요소는 월동기간의 기온(+상관)과 일조시간(-상관), 분얼기간의 강수량(-상관), 등숙기간의 증발산위(+상관) 였다. 천립중에 유의적 영향을 주는 생육단계별 기상요소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분얼기간의 고온과 건조한 대기는 줄기의 신장에 불리하였지만, 이삭의 신장에는 유리하였다. 즉, 올보리 품종의 수량에는 월동기간과 그 이후 생육단계에서 기상요소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용균, 노재식, 1985: 과거 30년간(1954-1983) 한국 기온의 연변화 연별 변동, 한국기상학회지, 21, 1-10.
  2. 서형수, 이태호, 정근식, 1986: 기상요인이 맥류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31(3), 318-325.
  3. 심교문, 이정택, 윤성호, 황규홍, 2000: 가을보리 재배기간 중의 기상변화.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3), 95-102.
  4. 유용환, 하용웅, 1986: 대맥의 생육 및 수량구성혈질연구. II. 지역 및 파종기에 따른 대맥의 주요생태와 수량구성 형질의 변이. 한국작물학회지. 31(1), 97-103.
  5. 유용환, 이창덕, 하용웅, 1992: 파종기 차이가 보리의 등숙과 등숙관련 형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37(1), 93-103.
  6. 윤진일, 1999: 농업기상학. 도서출판 아르케 발행, 177-178.
  7. 이정택, 윤성호, 박무언, 1995: 우리나라의 계절별 일조시간과 기온의 상관관계 및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농학회지, 14(2), 155-162.
  8. 정용승, 윤마병, 1999: 한국의 최근 기후변화와 관련된 요소들. 한국기상학회지, 35(3), 309-318.
  9. 조하만, 1992: 지구온난화 한반도 부근의 기후변화. 생태계 위기와 한국의 환경문제, 도서출판 따님 발행, 103-123.
  10. Chmielemski, F.M. and W. Köhn, 2000: Impact of weather on yield components of winter rye over 30 year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2, 253-261.
  11. Doorenbos, J. and W.O. Pruitt, 1977: Guidelines for predicting crop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24, FAO, Rome, Italy, 144pp.
  12. Hansen, J. and S. Lebedeff, 1987: Global trends of measured surface air temperatur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2, 13345-13372.
  13. Jones, P.D., T.M.L. Wigley, and P. Wright, 1986: Global temperature variations between 1861 and 1984. Nature, 322, 340-434.
  14. Parker, D.E., P.D. Jones, C.K. Folland, and A. Bevan, 1994: Interdecadal changes of surface temperature since the late nineteenth centur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9(D7), 14373-14399.
  15. Vinnikov, K. Ya., P. Ya. Groisman, and K.M. Lugina, 1990: Empirical data on contemporary global climate changes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Journal of Climate, 3, 662-6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