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Night Illumination on Growth and Yield of Sesame and Perilla

야간조명이 참깨와 들깨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2.06.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ight illumination on the growth and yield of sesame(Sesamum indicum) and perilla(Perilla frutescens). Stem length and height of the first pod in sesame increased, whereas number of branch was reduced and flowering date and maturing date delayed as light intensity of night illumination increased.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ripening ratio and seed yield of sesame were reduced as light intensity of night illumination increased. Yield reduction was greater in Ahnsankkae than in Sodunkkae. Number of nodes increased under night illumination in perilla. Two test cultivars showed reduction in number of branch at 6~10 Lx(22 ㎽ m$^{-2}$ ) intensity of night illumination, even though there was a variation between cultivars. Perilla was sensitive to night illumination far flowering and ripening. Flowering date was delayed by 21 to 28 days at 6~10 Lx intensity of night illumination. Number of flower clusters, number of seeds per flower cluster, and 1,000-seed weight in perilla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seed yield was reduced by 89 to 98% at 6-10 Lx intensity of night illumination.

야간조명 광도의 변화가 참깨와 들깨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참깨는 안산깨와 서둔깨, 들깨는 종실용인 옥동들깨와 엽실겸용인 아름들깨를 사용하여 1.0~10.0Lx(5~28 ㎽ m$^{-2}$ , 0.01~0.14 $\mu$㏖ s$^{-1}$ m$^{-2}$ )의 광도로 전 생육기간 동안 밤새조명을 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참깨 생육은 야간조명 광도가 높을수록 경장과 초삭고는 증가되었으며, 분지수는 감소되었고, 개화 및 성숙기가 지연되었다. 2. 참깨 수량은 야간조명 광도가 높을수록 주당삭수와 등숙율이 감소되어 수량이 감소되었으며, 서둔깨보다 안산개의 감소정도가 컸다. 3. 들깨의 생육은 야간조명시 절수가 증가되었으며, 분지수는 감소하였다. 4. 들깨의 개화와 성숙기는 야간조명 광도가 높을수록 현저하게 지연되었으며, 야간조명 광도 2Lx 이하에 비하여 6~10Lx에서는 개화가 21~28일이 지연되었다. 5. 들깨의 수량은 야간광도가 높을수록 화방군수와 화방당 삭수 및 천립중이 감소되어 야간조명 광도 2Lx이하에 비하여 6~10Lx에서는 89~98%가 감소되어 수량을 기대할 수 없었다. 6. 수량과 생육특성과의 상호관계는 참깨와 들깨에서 모두 개화까지의 소요일수와는 고도의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참깨의 주당삭수, 등숙율과 들깨의 화방군수, 화방당 립수와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충국, 서종호, 김동휘, 1998: 야간조명이 주요 콩 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논문집 식작논문집 (I), 40(2), 155-159
  2. 김충국, 서종호, 조현숙, 김시주, 허일봉, 2000: 야간조명에 의한 벼 품종별 출수 반응. 한국작물학회 추계발표회지, 45(별2), 155-156.
  3. 농촌진흥청, 1995: 농사시험 연구조사기준, 603pp.
  4. f柳益相, 1974: 들꺠의 일장 및 온도에 대한 감응성과 그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작지, 17(4), 79-114.
  5. 成愌祥, 1972: Perilla의 화아분화에 미치는 일장의 영향. 진주교대 두류지, 129-134.
  6. 오명규, 유숙종, 김종태, 오윤섭, 정영근, 장영선, 박인진, 박근용, 1995: 광 강도와 야간조명에 따른 들깨의 개화 반응. 한국작물학회지, 40(5), 543-547.
  7. 이희덕, 노태홍, 서관석, 김소년, 1990: 일장 및 야간조명 정도가 들깨의 개화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농시논문집 (전 . 특작편), 32(2), 38-42.
  8. 임채일, 1988: 채소용 잎들깨의 주년재배법 확립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5pp.
  9. 정찬식, 2000: 들깨 属의 개화생리 및 유전분석.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3pp.
  10. 조정래, 강준, 박중춘, 1984: 들깨의 개화특성에 일장 및 온도 처리가 미치는 영향. 농연보, 경상대학교, 18, 27-31.
  11. 池谷保緒, 村松安男, 二宮敬治, 1973: 靜岡農試硏報. 18, 19-22.
  12. 松岡匡一, 1960: 胡麻の品種に關する硏究. (9) 胡麻の生育に及ぽす日長及ぴ溫度効果につぃて. 日本生態學誌, 10, 22-28.
  13. Carr, D.J., 1952: The photoperiodic behaviour of short-day plants. Plant Physol, 5, 70-84.
  14. Evans, L.T., 1969: The nature of flower induction. The induction of flowering. Mac Millian of Australia, 457-480.
  15. Kadman-Zahavi, A. and D. Peiper., 1987: Effects of moonlight on flower induction in Pharbitis nil, using a single dark period. Ann. of Bot, 60, 621-623.
  16. Lam, S.L. and A.C. Leopold, 1961: Reversion and reduction of flowering in perilla. Amer. J. Bot, 48(3), 306-310.
  17. Miyabayashi, T., 1943: The influence upon the heading state of rice plants of the difference in the intensity of night illumination during long day treatment. Agr. Hort, 18, 189-190.
  18. Moshkov, B.S., 1939: Photoperiodic responses of plants an determined by their ontogenesis. Dokl. Acad. Sci. U.S.S.R., 22, 460-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