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odeling Study of Seasonal Overturn and Vertical Thermal Profiles in the Paldang Lake

팔당호의 계절별 전도 현상과 연직 수온 분포에 관한 모델 연구

Na, Eun-Hye;Ahn, Kyu-Hong;Park, Seok-Soon
나은혜;안규홍;박석순

  • Published : 20020500

Abstract

Seasonal patterns of hydrodynamic and thermal regime were studied in the Pal dang Lake using US Army Corps of Engineer's CE-QUAL-W2 model. We divided the lake into 3 branches. 20 longitudinal segments and 15 vertical layers in the model. where vertical profiles of water temperature and velocity were simulated. The model was validated against water temperature and surface elevation level measured near the dam. The model results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field measurements. Utilizing the validated model. we estimated the seasonal patterns of vertical thermal and velocity profiles. along with the effects of sluice gate operation and high monsoon inflow on hydrodynamics of the lake. Vertical thermal profiles indicated that water temperature were similar at all depths in the entire lake during early spring and late fall. The vertical mixing, however. did not occur during these periods due to an influence of epilimnetic discharges for electric generation from the dam. The thermal stratification was occurred feebly in early summer and winter. During late summer, the thermal stratification was disrupted and thus the thermal differences between epilimnion and hypolimnion were $1.0^{\circ}C$ in the entire lake, indicating a weak thermal stability, This phenomenon was mainly attributed to high monsoon inflows from the main tributary rivers and high discharges by frequent operations of sluice gate. The operation of sluice gate resulted in deep vertical mixings in the lake during late spring and fall. The model results suggest that Paldang Lake would be highly hydrodynamic with weak thermal stratifications during summer period and polymictic depending upon upstream inflow as well as discharge height and flow rate at the dam.

미공병단의 CE-QUAL-W2 모델을 이용하여 팔당호의 계절별 연직 수온 분포와 전도 현상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모델에서 팔당호를 3개의 지류. 20개의 상하류 구획 그리고 15개의 수층으로 구성하였으며 연직 수온 및 유속 분포를 시뮬레이션하였다. 팔당호의 수위와 댐 앞 지점에서 측정된 표층 수온 자료를 이용하여 모텔의 재현성을 검토하였다. 모델 예측값은 실측값과 적절한 일치를 보였으며, 모델을 이용하여 호수 내 연직 수온 분포와 수체 이동의 계절적 변화 그리고 팔당댐의 수문 작동과 장마철 풍수량이 수리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팔당호 에서는 초봄과 늦가을에 전체 수층에서 균일한 수온 분포를 보이나 발전 사용수의 표층 방류에 의한 영향으로 연직 혼합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여름과 겨울에는 수온 성층이 형성되나 그 발달 정도는 미약하다. 늦여름 동안에는 수온 성층이 파괴되어 표층과 심충의 수온차가 $1.0^{\circ}C$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여름철 집중 강우에 의해 유입량과 방류량이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한편 팔당호에서는 늦봄에서 초가을 동안 중층의 수문 방류량이 급격히 감소하거나 중단되는 시기마다 연직 수온 분포 변화와 무관한 수체의 수직 혼합현상이 수차례 발생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 결과 팔당호는 수온 성층이 약하며, 지류 유입량 및 수문 방류량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수직적 혼합이 여러 차례 발생하는 수리 현상의 시 공간적 변화가 매우 심한 수체인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공동수, 정통일, "하천형 인공호(팔당호)의 수환경 특성 및 수질관리." The 6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vironmental Issues and Alternatives for 21C, 경북대학교 환경과학연구소. pp. 41-83(1999)
  2. Chapra. S. C., Surface Water-Quality Modeling, McGraw-Hill. New-York(1997)
  3. Nurnburg, G. K., "Prediction of release rates from total and reductant-soluble phosphorous in anoxic lake sediments, Can. J. Fish. Aquat. Sci., 45, 453-462(1988) https://doi.org/10.1139/f88-054
  4. 서동일. "대청호의 성층현상에 의한 부영양화 특성과 수질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0(9). 1219-1234(1998)
  5. 김윤희, 김범철, 최광순. 서동일. "2차원 수리수질모델을 이용한 소양호 수온성충현상과 홍수기 밀도류 이동 현상의 모델링." 대한상하수도학회지, 15(1), 40-49(2001)
  6. Kim. B. C. and Cho. K. S., "The hypolimnetic anoxic zone and the metalimnetic oxygen minimum layer in a deep reservoir. Lake Soyang." Kor. J. Lim., 22(3), 159-166(1989)
  7. 박옥란. 수지형 호수의 연직 수온분포와 전도현상 모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1)
  8. Owens, E. M. and Effler S. W., "Changes in stratification in Onondaga Lake, New York." Water Resour. Bull., 25, 587-597(1989) https://doi.org/10.1111/j.1752-1688.1989.tb03096.x
  9. 김형표. 팔당호 수질예측을 위한 생태계 모텔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10. 신동석. 류재근. "RMA 모형을 이용한 팔당호 수질의 예측." 한국물환경학회지, 15(1). 99-105(1999)
  11. 조홍연. 전경수. 이길성. 한광석. "WASP4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 - 팔당호를 중심으로." 대한토목공학회 논문집. 13(4). 177-188(1993)
  12. Shoemaker. L., Lahlou , M., Bryer, M., Kunar, D., and Kratt , K., Compendium of Tools for Watershed Assessment and TMDL Development, EPA841-B-97-006. U.S. Environmental Protect ion Agency, Washington. D.C.(1997)
  13. 박석순, 나은혜. "환경영향평가에 사용되는 컴퓨터 모텔에 관한 연구 I: 수질 모델."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9 (1),13-24(2000)
  14. Cole. T. M. and Buchak. E. M., CEQUAL-W2: A Two-Dimensional. Laterally Averaged.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Version 2.0. Instructional Report EL-95-1, U. S. Army Engineer Waterways Experiment Station, Vicksburg, MS(1995)
  15. 한강유역환경관리청 한강환경감시대, 팔당호 등 한강수계 상수원 수질오염원 조사 보고서, 한강유역환경관리청(1999)
  16. 국립환경연구원 한강수질검사소, 호소 내 조류 대발생에 대한 수면제어기술에 관한 연구 (I) : 팔당호 수역을 중심으로 한 제어기술의 개발. 국립환경연구원(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