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pes of the Pollutograph versus Types of Watershed during Rainfall Events

강우시 유역특성에 따른 유출 오염물질 농도곡선의 형상

Kim, Young-Chul;Lee, Jae-Soo
김영철;이재수

  • Published : 20020400

Abstract

This paper reports some interesting aspects in a change of pollutograph versus the shape and land use of agricultural watersheds. and rainfall type over them as well. The results imply that they significantly affected and determined the shape of hydrographs as well as the distribution of diffuse pollutants with respect to the rainfall runoff time. In particular. a first flush effect occurred usually in urban runoff. was observed even in a rural basin with an isolated-impervious road with a heavy traffic. Also. a detention pond greatly changed the shape of pollutograph, depending on its overflow conditions. In a watershed including terrace-paddies. a pseudo-first flush effect was observed due to the storage of rainfall runoff. When a reservoir for water supply under the strict protection for the point or diffuse sources. is at the upper part of watershed from a sampling station. its discharge and overflow caused an increase or a dilution in concentration of the storm water. Those informations can be gathered prior to sampling from the preliminary watershed survey. and they would be helpful and essential for properly designing a storm water sampling program.

본 논문에서는 농촌 소유역의 형태 및 토지 이용도. 그리고 강우의 형태에 따라서 과거 관측된 다양한 오염물질 농도곡선의 변화양상을 다루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유역특성은 수문곡선의 형태뿐만 아니라 유출시간에 따른 비점원 오염물질의 유출분포에 즉각적인 변화와 영향을 주었다. 특히, 농촌유역에 교통량이 많은 고속도로와 같은 폐쇄된 불투수 지역이 존재하는 경우 도시지역에서 흔히 관측되는 초기강우 효과가 발생되었다. 또한. 유역에 소류지가 존재하는 경우 강우시 그것의 월류여부는 수문곡선뿐만 아니라 오염물질 농도곡선의 형태에 큰 변화를 야기하였다. 계단식 논을 포함한 유역에서는 논의 저류효과로 인하여 유사 초기강우 효과가 관측되었다. 오염물질의 시료채취 지점 상류에 상수도 보호구역으로 설정된 수원지가 존재하는 경우 강우시 배수 및 월류여부는 마찬가지로 수문곡선의 형태와 오염물질의 분포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는 강우시 비점원 오염물질의 유출연구에서 조사에 앞서 유역에 대한 토지 이용도, 저류시설의 유무, 그리고 불투수 지역의 존재, 배수체계 및 경로 등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함을 입증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Bras. R. L., Hydrology: An Introduction to Hydrologic Science. Addison-Wesley(1990)
  2. Viessman. W. Jr., Knapp. J. W., Lewis. G. L., and Harbaugh. T. E., Introduction to Hydrology, 2nd ed., New York. Harper & Row(1977)
  3. Wanielista. M., Kerstern. R., and Eaglin. R., Hydrology : Water Quantity and Quality Control. John Wiley & Sons. Inc.(1997)
  4. APHA. AWWA and WEF. Standard Methods for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8th ed., Washington D. C., USA(1993)
  5. 수질오염 공정시험법. 환경부 (1999)
  6. 배재호. 서형준. 김종윤. '승기천 유역의 강우 및 무강우시 오염물 유출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23(3). 461-472(2001)
  7. 이현동, 안재환, 김운지. 배철호. '토지 이용별 강우시 비점오염 물질의 유출특성.' 한국물환경학회지. 17(2), 147-156(2001)
  8. 신온성. 최지용. 이동훈. '농업지역의 비점원 오염물질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물환경학회지. 17(3). 299-311(2001)
  9. Novotny. V. and Olem, H., Water Quality Prevention.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Diffuse Pollution,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1994)
  10. 이재수, 김영철.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 유역으로부터 비점원 오염물질 유출특성 및 오염물질제거를 위한 체류지 용량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1(5-B), 575-588(2001)
  11. 유명진, 홍대벽. 조용균, 권은미, 구윤희. '새만금 유역의 강우시 오염물질 유출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22(9), 1609-1616(2000)